• 제목/요약/키워드: presbyacusi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Ranking subjects based on paired compositional data with application to age-related hearing loss subtyping

  • Nam, Jin Hyun;Khatiwada, Aastha;Matthews, Lois J.;Schulte, Bradley A.;Dubno, Judy R.;Chung, Dongju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7권2호
    • /
    • pp.225-239
    • /
    • 2020
  • Analysis approaches for single compositional data are well established; however, effective analysis strategies for paired compositional data remain to be investigated. The current project was motivated by studies of age-related hearing loss (presbyacusis), where subjects are classified into four audiometric phenotypes that need to be ranked within these phenotypes based on their paired compositional data. We address this challenge by formulating this problem as a classification problem and integrating a penalize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with compositional data analysis approaches. We utilize Elastic Net for a penalty function, while considering average, absolute difference, and perturbation operators for compositional data. We applied the proposed approach to the presbyacusis study of 532 subjects with probabilities that each ear of a subject belongs to each of four presbyacusis subtypes. We further investigated the ranking of presbyacusis subjects using the proposed approach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The data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approach is effective for ranking subjects based on paired compositional data.

디지털 보청기에서의 포먼트 강조에 의한 마스킹 효과 연구 (A Study of Acoustic Masking Effect from Formant Enhancement in Digital Hearing Aid)

  • 전유용;길세기;윤광섭;이상민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5권5호
    • /
    • pp.13-20
    • /
    • 2008
  • 청력 손실을 보상하고 난청인이 다른 사람들과 대화할 수 있도록 디지털 보청기 알고리즘은 개발 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보청기 사용자들은 음성을 듣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불만을 토로한다. 그 이유는 피드백이나 잔여 노이즈 등에 의해 디지털 보청기를 통한 음성의 질이 이해하기에 불충분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로 포먼트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마스킹 현상이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정상 청각 피험자와 노인성 난청을 갖고 있는 난청인 피험자의 마스킹 특성을 측정하여 음성에서의 마스킹에 의한 음성 인지 저하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순음검사, 어음 청취 역치 검사, 낱말 분별력 검사, 수음 마스킹 검사, 어음 마스킹 검사의 5개 테스트로 이루어졌다. 어음 마스킹 검사에서 각각 어음 세트에 25개의 어음이 사용되었다. 각 어음의 왜곡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log likelihood ratio (LLR)를 도입하였다. 결과적으로 포먼트 향상의 양을 늘리면 늘릴수록 어음 인지는 낮아졌고, 각 어음 세트에서 각각의 향상된 어음은 통계적으로 비슷한 LLR을 갖지만 어음인지는 그렇지 않게 나타났다. 이것은 왜곡이 아닌 음향 마스킹이 어음 인지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피험자들 대부분이 맞추지 못한 음성을 주파수 분석한 결과 첫 번째와 두 번째 포먼트 사이의 레벨 차이가 약 35dB이며 이는 순음 마스킹 실험 결과(정상 청각 피험자:36.36dB, 난청인 피험자:32.86dB)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실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음향 마스킹의 특성은 정상 청각인과 난청인 사이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그렇기 때문에 보청기 착용 전 마스킹 특성을 검사하고, 피팅 시에 적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