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menopausal working wome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6초

폐경전 성인직장여성의 혈청 25-Hydroxyvitamin D상태 및 관련인자에 관한 연구 (Serum 25-Hydroxyvitamin D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in Premenopausal Working Women)

  • 임화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9-90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2S-hydroxyvitamin D level and associated factors. The subjects were 61 premenopausal working women aged 30 - 49 y in Busan. The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 was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Data fo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lifestyle factors, physical activity and nutrient intake were assessed by questionnair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outdoor activity time, daily activity diary and 24 hr recall method. The mean vitamin D intake was 3.12 ug, which corresponded to $62.5\%$ of the Korean RDA. The mean level of serum 25-hydroxyvitamin D was 31.0 ng/mL. Low 25-hydroxyvitamin D (<25 nmol/L) was not found in the subjects. The serum 2S-hydroxyvitamin D level showed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xercise hours, daily energy expenditure, hours of outdoor activity per weekdays (p < 0.001, P < 0.05, P < 0.05). Exercise hours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 Therefore nutritional education for increasing hours of physical activity including indoor and outdoor exercise, is needed for premenopausal working women to increase vitamin D status.

일부 폐경전 성인직장여성의 겨울철 혈청 25-Hydroxyvitamin D상태에 관한 연구 (Serum 25-Hydroxyvitamin D Status in Wintertime in Premenopausal Working Women)

  • 임화재;김정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7호
    • /
    • pp.649-660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serum 2S-hydroxyvitamin D (25-OHD) level in wintertime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25-OHD level and associated factors in 50 premenopausal working women aged 30-49 y in Busan. The serum 25-OHD level was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Data fo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lifestyle factors, physical activity and nutrient intake was assessed by questionnair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outdoor activity time, daily activity diary and 24hr recall method. The mean vitamin D intake was $4.24{\mu}g$, which corresponded to 84.9% of the Korean RDA. The mean level of serum 25-OHD was 25.7 ng/mL. Vitamin D deficiency (25-OHD < 7nmol/L) and toxicity $(25-OHD{\geq}75\;nmol/L)$ were not found in the subjects. However, the prevalence of vitamin D insufficiency (25-OHD < 15 nmol/L) and hypovitaminosis D (25-OHD < 30 nmol/L) were 12% and 60% respectively. The serum 25-OHD level showed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duration of outdoor activity per weekdays (p < 0.05). Our findings suggest that hypovitaminosis D was common in the subjects in wintertime. So nutritional education for increasing outdoor activities is needed for premenopausal working women to increase vitamin D status in wintertime.

여성 우울증 입원 환자에서 폐경 여부에 따른 인지기능의 차이 (Menopause and Cognitive Function : Hospitalized Female Patients with Depression)

  • 유지영;민정아;전양환;한상익;박이진
    • 생물정신의학
    • /
    • 제23권4호
    • /
    • pp.199-204
    • /
    • 2016
  • Objectives Although forgetfulness is a common complaint among menopausal depressed women, there is still a debat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y impairment and menopau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menopause is related to cognitive decline among women with depressive disorders. We hypothesized that postmenopausal depressed women show generally poorer performance than premenopausal depressed women on various cognitive function tests. Methods With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e identified a total of 87 female patients (45 premenopausal patients and 42 postmenopausal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with depressive disorders from 2000 to 2016. 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and cognitive test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Education year is longer in premenopausal group than postmenopausal group whereas clinical characteristics (illness duration, recurrence, and symptom severity) and mean Intelligence Quotient (IQ) we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The postmenopausal group took longer time for Bender-Gestalt Test (BGT) recall, Trail Making Test (TMT)-A, and TMT-B than the premenopausal group. After controlling for age and education,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mained for BGT recall (p = 0.029). Conclusions Postmenopausal state may be related with decline of visuospatial memory function, in particular, among depressed female patients. Other areas of cognitive function including complex attention, verbal memory, auditory memory, and working memory might be interpreted while considering age and education level.

폐경전 성인직장여성의 골밀도와 생리적 특성 및 생활습관과의 관련성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with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s in Premenopausal Working Women)

  • 임화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39-348
    • /
    • 2004
  • 본 연구는 부산에 거주하는 폐경전 30대, 40대 성인직장여성을 대상으로 요추와 대퇴부 3부위의 골밀도상태를 평가하고, 생리적 특성 및 1일 활동량, 주중, 주말의 옥외활동시간, 기호성 음료의 섭취 등의 생활습관을 조사하여 골밀도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성인직장여성들의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평균 골밀도는 요추(Ll4) 1.02 g/$\textrm{cm}^2$, 대퇴경부 0.76 g/$\textrm{cm}^2$, 와드삼각부 0.69 g/$\textrm{cm}^2$, 대퇴 전자부 0.66 g/$\textrm{cm}^2$이었다. 대퇴경부와 와드삼각부 부위의 골밀도는 정상 성인 골밀도의 90%이하였으며, 대퇴경부의 골밀도는 동일 연령군의 골밀도 표준값의 90%이하였다. 대퇴경부의 골밀도는 T값으로 판정했을 때 30세군, 40세군 모두 골량감소(osteopenia)에 해당되었다 평균연령은 37세였으며, 초경나이는 14.83세, 생리주기는 30.41일, 출산횟수는 1.94회였으며, 초경연령은 와드삼각부(p<0.05)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출산횟수는 요추 L3, L4부위 (p<0.05, p<0.01)의 골밀도 및 Ll4(p<0.05)의 평균 골밀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1일 평균 활동종류별 생활시간은 직장활동시간 7.86시간, 수면시 간 7.16시간, 기타 신변잡일 시간 6.40시간, 가사활동시간 2.55시간, 운동시간 0.14시간이었으며, 1일 평균 활동계수, 휴식 대사량, 에너지소비량은 각각 1.54, 1326.75 ㎉, 2038.81 ㎉였다. 옥외 활동시간은 1일 평균 주중에는 51.23분, 주말에는 60.74분, 주 전체적으로 53.95분으로 1시간이하였다. 기타 신변잡일 활동시간은 대퇴경부와 대퇴전자부(p<0.05, p<0.05)의 골밀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주말의 옥외활동시간과 주 총 옥외활동시간은 각각 요추 L14 골밀도(p<0.05, p<0.05)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나 주말과 주 총 옥외활동시간이 많을수록 요추 골밀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월 평균 코카콜라 4.51 cup, 커피 32.66 cup, 녹차 13.87 cup, 맥주 1.84 cup, 와인 0.4 cup 섭취하였으며, 녹차섭취 횟수는 대퇴경부와 와드삼각부(p<0.05, p<0.05)의 골밀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와인의 섭취횟수는 대퇴경부(p<0.05)의 골밀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콜라섭취횟수는 요추 L1 (P<0.05) 부위의 골밀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폐경전 성인직장여성들인 본 조사대상자들의 경우 대퇴경부 골밀도는 T값으로 판정했을 때 30세군, 40세군 모두 골량감소에 해당되어 대퇴경부의 골밀도는 이미 30대부터 우려되는 수준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직장생활에 따른 출산횟수 감소, 옥외활동시간감소, 녹차, 와인, 콜라 등의 기호성 음료식품의 섭취기회 증가 등은 직장여성들의 골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보인다. 따라서 직장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해 30대부터 골다공증 예방사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골밀도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주중에 실내 활동이 많은 성인직장여성들의 경우 정적인 기타 신변잡일 활동시간은 가능한 줄이고 주말 옥외 활동량의 증가와 더불어 골밀도의 증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녹차, 와인, 콜라 등의 기호성 음료식품의 적절한 섭취 등 생활습관 요인에 대한 영양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비록 본 연구가 부산지 역의 적은 인원수를 대상으로 짧은 기간에 실시되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있으나, 본 연구결과는 폐경전 성인직장여성들의 골밀도상태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시될 수 있겠으며, 골밀도상태에 관련된 생리적 요인 및 생활습관요인들에 대한 결과는 성인직장여성들의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에 구체적인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