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ference profile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인과 한국계 미국인간의 측모 선호도에 관한 연구 (The survey of preference between Korean and Korean American)

  • 이근혜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7권3호
    • /
    • pp.156-16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 preference to the esthetic profile between Korean women and Korean American women. The interviewee were consisted of 30 Korean women and 30 Korean American women respectively. The survey has been done by using questionnaire. Altered facial profile of each normal male and female was got by moving maxilla, mandible to the front and back to survey the preference among the various profile. Then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Korean women, in choosing the men's profile, 9 people out of 30, picked the standard profile as a most preferred profile, and bimaxillary retrusion and bimaxillary protrusion profile were followed by 6 people and 5people respectively. 2. In Korean American women, in choosing the men's profile, the 18 people out of 30, pick the bimaxillary retruded profile as a most preferred profile, and the standard profile were followed. 3. In Korean women, in choosing the women's profile, 18 people out of 30, picked the bimaxillary retruded profile as a most beautiful profile, and standard profile were followed by having 10people's voting. 4. In Korean American women, in choosing the women's profile, the 14 people out of 30, chose the bimaxillary retruded profile as a best one and the standard profile were followed by 12 people's voting. The preference of men's profil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p<0.05) but the both group picked the bimaxillary retruded profile as a most beautiful when they choose the women's profile and then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 PDF

검색 엔진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용한 문서 순위결정 방법 (Ranking Decision Method of Retrieved Documents Using User Profile from Searching Engine)

  • 김용호;김형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590-159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검색된 수많은 결과 중에서 특정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 한 최적의 문서만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용한 문서 순위 결정기법을 제안한다. 사용자 프로파일을 구축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표현하고 검색결과 문서들을 대상으로 잠재적 구조를 분석 한 다음, 사용자 프로파일과 분석 결과로 표현된 문서들과의 유사성을 비교한다. 그리고 적합성 정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의 문서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내용 기반 협력적 여과 시스템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용한 자동 선호도 평가 (Automatic Preference Rating using User Profile in Content-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 고수정;최성용;임기욱;이정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8호
    • /
    • pp.1062-1072
    • /
    • 2004
  • 협력적 여과 시스템은 {사용자-문서}의 행렬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웹 문서를 추천하는 데 있어서 효율적인 시스템이다. 그러나 협력적 여과 시스템은 초기 평가 문제와 희박성으로 인하여 추천의 정확도가 저하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협력적 여과 시스템의 희박성과 초기 평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선호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프로파일은 협력적 여과 시스템에서의 {사용자-문서} 행렬을 기반으로 생성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내용 기반 여과 시스템에서 연관 피드백을 이용하여 생성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상호정보의 방법에 의해 병합함으로써 생성한 내용 기반 협력적 사용자 프로파일이다. 생성한 내용 기반 협력적 사용자 프로파일을 정규화시키고, 정규화한 프로파일을 협력적 여과 시스템의 {사용자-문서} 행렬에 반영함으로써 자동으로 선호도를 평가한다. 제안된 방법은 사용자가 웹 문서에 대해서 선호도를 평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평가되었으며, 기존의 방법보다 보다 효율적임을 증명한다.

측모에 대한 치과의사와 일반인의 인지도와 선호도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ison study on peference and perception in changed profile between dentists and lay people)

  • 임수정;이근혜;국윤아;모성서;양미선;강윤구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4권12호통권451호
    • /
    • pp.816-82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perception and preference between dentists and lay people to altered facial profile. The assessors consisted of 40 dentists and 54 lay people, the survey was performed using questionnaire asking the order of perception and preference. The profiles presented in the questionnaire were based on the profile of one man and one woman, each morphed according to anterior or posterior direction of maxilla and mandib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ntero-posterior change of man and woman s profile, both dentists and lay people were sensitive to relatively skeletal profile (convex profile) changes than skeletal profile (concave profile) changes. 2. At least dentists needed to be perceived a 2 mm change in convex profile and a 3 mm change in concave profile and lay people needed to be perceived a 2 mm change in convex profile and a 3 mm change in concave profile for profile view. 3. Dentists are more sensitive in perception of man s profile change than lay people,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entists and lay people in sensitivity of detection for woman s profile changes . 4. It seems that there is a general concordance between dentists and lay people in there perception of man s and woman s facial profile. This information might be clinician in comprehensiv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dentists and lay people to altered facial profile.

  • PDF

내용 기반 필터링을 위한 프로파일 학습에 의한 선호도 발견 (Discovery of Preference through Learning Profile for Content-based Filtering)

  • 정경용;조선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8
    • /
    • 2008
  • 사용자가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필터링하는 일을 도와주는 정보 시스템이 등장하였다. 내용 기반 필터링은 아이템의 특징을 기술하는 정보와 사용자의 기호를 가지고 있는 프로파일을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추천하는 방법이다. 이는 학습 방법에 따른 정확도가 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용 기반 필터링을 위한 프로파일 학습에 의한 선호도 발견을 제안하였다.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6단계로 평가한 선호도에 따른 추정치를 부여하여 프로파일 학습을 함으로써 추천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제안한 방법을 MovieLens 데이터에 적용하여 실험 및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기존 연구와 비교 실험을 통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사용자 프로파일을 위한 EPG 아키텍쳐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PG Architecture Using User Preference Profile)

  • 김도영;이만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2)
    • /
    • pp.215-217
    • /
    • 2000
  • 본격적인 디지털 데이터 방송 시대를 맞이하여 TV는 다양하고 인터랙티브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 졌다. 디지털 TV의 데이터 서비스는 매우 다양하다. 그 중 Electronic Program Guide(EPG)는 가장 기초가 되는 서비스이다. EPG의 아키텍쳐를 설계하기에 앞서 TV 프로그램에 대한 분류와 데이터 베이스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렇게 만들어진 Program Content Profile(PCP)와 사용자가 설정해 준 후 자동으로 갱신되는 User Preference Profile (UPP)는 EPG 어플리케이션의 스마트 기능 중 하나인 방송 프로그램 추천 기능을 가능케 해주며, 그 외에도 여러 스마트 기능들을 구현하는 중요한 척도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모든 아키텍쳐를 시험적으로 설계 구현하였으며 그 예를 보여준다.

  • PDF

취학전 아동의 색선호와 인성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Personality and color preference of preschool children)

  • 이연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3-122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color preference, thereby to suggest a personality profile on the basis of colors selected for children's preference. Materias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lor preference were 24 color papers which were developed and described in a previous research by Lee & Lee. The Instrument used ot determine children's personality was Burks' Behavior Rating Scales-Preschool and Kindergarten Edition. Subjects wee 70 3-, 4- and 5- year old children attending the Y Child Development research institut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using mainly F-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sults showed that among 24 colors used, white, violet, sapphire, sky blue, blue, green yellow, pink, green, red, gold, purple, van dyke brown, blue, green, silver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persionality. Judging from this results, white and violet seemed to be most predictive colors to personality. Personality aspects significantly related to specific colors were discussed and a profile of personality based on color preference were developed.

  • PDF

A Multi-Agent MicroBlog Behavior based User Preference Profile Construction Approach

  • Kim, Jee-Hyun;Cho, Young-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9-37
    • /
    • 2015
  • Nowadays, the user-centric application based web 2.0 has replaced the web 1.0. The users gain and provide information by interactive network applications. As a result, traditional approaches that only extract and analyze users' local document operating behavior and network browsing behavior to build the users' preference profile cannot fully reflect their interest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a preference analysis and indicating approach based on the users' communication information from MicroBlog, such as reading, forwarding and @ behavior, and using the improved PersonalRank method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a user to other users in the network and based on the users' communication behavior to update the weight of the items in the user preferenc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our proposed method outperforms the ontology model, TREC model, and the category model in terms of 11SPR value.

한국인의 연조직측모 선호경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f Esthetic Facial Profile Preference In Korean)

  • 최준규;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27-342
    • /
    • 2002
  • 연조직 측모는 교정치료와 진단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며, 안모 심미성에 대한 개념은 긴 역사를 가지고 변천하여 왔으며 지역이나 문화, 성별, 인종, 관습 등에 따라서 그 심미관이 상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들의 연조직측모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교정환자들의 주 연령층인 사춘기성장가속기 전의 초등학생, 사춘기 연령의 학생, 20대의 대학생들과 보호자의 주연령층인 40-50대 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지의 제작을 위해 기존의 심미적인 안면의 경, 연조직 형태에 관한 연구에서 얻은 연조직 평균계측치에 가까운 연조직 측모를 가진 20대 여성 한 명을 선정한 후 측모천연색 사진을 촬영하여 표준측모로 사용하였다 전체 설문지는 7 set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set는 측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입술의 돌출도, 코, 이부의 높이와 Sn point를 표준측모에서 변화시킨 천연색 측모형들을 포함하고 있다.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안모는 1점, 가장 좋지 않다고 생각되는 안모를 5점의 순서로 통계처리를 하여 각 응답자군들의 연조직측모 선호도를 알아보았으며, 성별, 연령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또한 대중들이 선호하는 안모와 선호하지 않는 안모와 하안면 측모의 심미적 평가를 위해 기존에 사용되는 기준선들간의 신뢰성을 평가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응답자의 신뢰도를 평가시 유년기에서 다른 group들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유년기에서는 아직은 측모선호도에 대한 관심이 없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2. 측모 선호도의 연령, 성별 차이는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가장 선호하는 측모보다 가장 선호하지 않는 측모에 대한 선택의 일치도가 더 높았다. 4.응답자의 group별로 순위의 일치성을 나타내는 Kendall의 일치계수(W)는 2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다른 연령에 비해 측모에 대한 선호성에 대한 기준이 명확한 것을 나타낸다. 5. 응답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측모의 구순돌출도는 심미적인 안모에 대한 이전 연구에서의 Ricketts의 nose tip-Pog line(E-line), Burstone의 Sn-Pog line(B-line)에 대한 평균치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이들 기준선들이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6. 응답자들이 가장 선호하지 않는 측모는 E-line과 B-line에 대해 구순이 너무 돌출되거나 후퇴된 경우였다. 7. 응답자들의 측모 선호도는 straight, concave, convex profile순으로 나타났다.

학령기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놀이 선호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and Play Preferences of School-Age Children)

  • 김예지;김지원;윤나래;장문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1
    • /
    • 2014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놀이선호도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놀이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감각처리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2012년 10월 22일부터 24일까지 경남 김해시에 소재한 초등학교의 S초등학교의 4학년 아동 48명을 대상으로 Short Sensory Profile (SSP)과 Pediatric Interest Profile (PIP)을 사용하여 감각처리능력과 놀이선호도를 평가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자의 감각처리능력과 8가지 놀이 항목의 빈도, 선호도, 숙련도에서. Outdoor activities 선호도는 맛/냄새 민감성, 청각여과, 총점과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Creative activities 선호도와 숙련도는 맛/냄새 민감성과의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Lessons / Classes 선호도는 촉각 민감성, 맛/냄새민감성, 움직임 민감성, 청각여과, 시각/청각 민감성, 총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Lessons / Classes 빈도와 숙련도는 시각/청각 민감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감각처리기능과 놀이선호도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일부 놀이 항목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제시된 학령기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놀이 항목을 확인하여 아동의 놀이 선호도와 놀이 작업치료 시 제공하는 놀이 활동의 수준을 결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