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dominent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1초

Listeria monocytogenes의 생존성에 관한 식육보존료의 효과 (Effects of Preservatives on Inhibition and Survival of Listeria Monocytogenes)

  • 이우원;김병지;임기재;신종백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0-33
    • /
    • 1993
  • The studi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reservatives such as sodium chloride, sodium nitrite, sodium benzoate and sorbic acid on the survival of L. monocytogenes with regard to interaction of temperature, heat and pH of the medium. Inactivation of L. monocytogenes Scott A was more predominent by combination of sodium chloride and the other preservatives than sodium chloride alone, and inactivation was more exhilarated at $4^{\circ}C$ than at $35${\circ}C.$ The organism was not inactivated when sodium chloride, sodium nitrite, sodium benzoate and sorbic acid were added to 3%, 100ppm, 0.1, or lower, respectively, but was inactivated in the concentration increased twice. In TSB(tryptic soy broth) at pH 5.0 or lower, the organism did not grow regadless of the kinds of preservatives, and inactivation effect particularly was prominent in the presence of sodium nitrite and sorbic acid. On the other hand, at pH 6.0 or higher L. monocytogenes gradually increased in numbers and the effects of inhibition was higher in the presence of sorbic acid than in the other preservatives. When the preservatives were added to the concentration commonly used, incubation in TSB at $4^{\circ}C$ gradually resulted in growth of the bacterium and the organism rapidly decreased in numbers at $20^{\circ}C\; or\; 35^{\circ}C$ after incubation for 1 week. When L. monocytogenes was inoculated in TSB containing various preservatives and heated at $55^{\circ}C$ for 30minutes, the organism decreased in numbers at all preservatives. Particularly, viability rate of the organism was the lowest as 0.07% in the presence of sorbic acid.

  • PDF

우리나라 실내조경식물의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대형건물의 Lobby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tilization Status of the Interior Landscape Plants in Large Buildings in Seoul)

  • 박상헌;심경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3-54
    • /
    • 1989
  • 최근 몇년동안 식물은 빌딩 실내디자인의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서울시 대형건물 28개소를 대상으로 실내조경식물의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몇가지의 사항을 알 수 있었다. 1. 우리나라 대형건물에서 재배되고 있는 식물의 층은 Dracaena속, Monstera속, Philodendron속, Schefflera속, Washingtonia속의 순으로 나타났다. 2. 품종별로는 몬스테라(페루투사 종), 쉐프렐라 홍콩, 와싱토니아 야자, 관움죽, 디펜바키아(하와이 스노우 종) 순으로 나타났다. 3. 실내식물은 대부분이 관엽식물로 99.5%를 차지 하였다. 4. 덩굴성식물은 모두 9품종으로 나타났는데 헤데라(피트스버그 종) 에피프레늄은 지피식물로 군식으로 식재되어 가장 많이 이용되었고, 다음이 옥스카르디움, 신고니움(마크로필럼 종) 순으로 나타났다. 5. 실내식물의 대부분이 프라스틱분을 사용하였으며, 배치형태는 바닥이 전체 58%를 차지하고, 실내정원과 선반위에 배치한 것이 각각 19%, 18%를 나타내었다. 6. 실내식물의 초장은 50cm 이내가 51%를 차지하고 50cm-2.8m가 43%를 차지하였으며, 가장 초장이 긴 것은 카나리아 야자로 4m로 측정되었다. 7. 실내의 조도가 500Lux 이하로 측정된 건물이 43%나 되어 식물이 정상적인 생장을 위하여 인공조명을 필요로 하고, 인공조명을 설치함으로서 화분을 교환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8. 대형건물에서의 실내식물의 구입목적은 탐방객을 위한 것이 88%로 나타났다. 9. 관리자들의 식물재배형태는 화분 받침대를 이용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다. 10. 실내에서 식물생장을 위해 가장 중요한 환경요소는 광과 조도, 수분이었다.유되어 있었으며 당분은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무는 3.2m일 때 10년후에는 30%가, 4.2m일 때 20년 후에 30%가 겹치게 되며, 백목련의 경우는 3.3m일 때 10년 후에 30%가 겹치며, 4.2m 일 때 30%가 겹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0년 후까지는 수종간에 차이가 없으나 20년 후를 고려하면 느티나무의 식재간격은 다소 넓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행동의 설명력있는 이유로 볼 수 없다.때로는 민담에서도 풍수가 주제가 되는 경우가 있고, 일반적으로는 역사적 사실이나 인물을 통하여 취락민이지녀온 자연요소에 대한 인식관 또는 그러한 생활에서 나타나는 윤리관 등이 암암리에 표현되기도 한다. 민담을 통하여 우리는 주민들 의식 속에 남아있는 취락의 중요한 요소나 장소들을 찾아볼수 있고 더불어 이들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을지도 모를 생활모습들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ulcorner$순응$\lrcorner$의 다른 일면 또는 때에 따라서는 극히 의도적인 $\ulcorner$표현$\lrcorner$적인 한 면모 - 그 대표적인 경우로 정원을 구성하는데 개재된 인간의 의미는 무언가를 표현 또는 표출하고자 함에 있다는 점 -라 볼수도 있을, 예로써 성리학적 사고관념으로써 집과 정사 그리고 주변 경관을 자신의 내적본직 또는 윤리적 영역으로 삼아 묘사.표현.구체화 시켜가기도 한다. 최소한 동족부락의 한두 예들에서 그러한 $\ulcorner$표현$\lrcorner$적 의도에 의한 경관구성의 일면을 확인할수 있지만 엄밀히 생각하여 보면 이러한 예의 경우도

  • PDF

안면부 골절 환자와 두부 손상의 연관성 (Correlation Between Facial Fracture and Cranial Injury)

  • 이승원;조석진;류석용;이상래;김성은;김성준;안지영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19권2호
    • /
    • pp.150-158
    • /
    • 2006
  • Purpose: There are two theories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facial fractures and cranial injuries. One is that facial bones act as a protective cushion for the brain, and the other is that facial fractures are the marker for increased risk of cranial injury. They have been debated on for many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acial fractures and cranial injurie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n 242 patients with facial fractures.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age, gender, cause of injury, Injury Severity Score (ISS), alcohol intake, type of facial fractures, and type of cranial injur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facial fractures with cranial injury and facial fractures without cranial injury. We compar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and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type of facial fracture and each type of cranial injury. Results: Among the 242 patients with facial bone fractures, 96 (39.7%) patients had a combination of facial fractures and cranial injuries. Gender predilection was demonstrated to favor males: the ratio was 3:1. The mean age was $36.51{\pm}19.63$. As to the injury mechanism, traffic accidents (in car, out of car, motorcycl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group of facial fractures with cranial injury (p=0.038, p=0.000, p=0.003). The ISS was significant, but alcohol intake was not significant.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acial fractures and skull fractures was found. Only maxilla fractures, zygoma fractures, and cerebral concussio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ranial injury (p=0.039, p=0.025). Conclusion: There is a no correlation between facial fractures and skull fractures, which suggests that the cushion effect is the predominent relationship between facial fractures and cranial injuries.

성상세포종에서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의 발현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Protein in Astrocytic Tumors)

  • 박세혁;장인복;김창현;조용준;조병문;신동익;오세문;김덕환;남은숙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6호
    • /
    • pp.683-687
    • /
    • 2001
  • Objective : Angiogenesis, the proliferation of capillary endothelial cells, is a vital component in the development, progression, and metastasis of many human tumor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is an endothelial cell-specific mitogen and induces angiogenesis and vascular permeability. The features of glioblastoma, distinct from low grade astrocytomas, are the presence of necroses and vascular endothelial prolifer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VEGF expression in the different grades of astrocytomas and determined whether VEGF expression correlates with development of glioblastoma and progression of astrocytomas. Patients and Methods : Forty seven patients with astrocytic tumors(24 males and 23 females), aged 3 to 65 years, were evaluat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carried out using labelled streptavidin biotin method and primary antibody was a antirabbit polyclonal Ab against N-terminus region of VEGF165(Oncogene research product, MA, USA). Immunoreactivity(IR) was classified into no IR(absent or a trace of stain), moderate IR and intense IR by level of staining amount and intensity. Results : Six pilocytic astrocytomas showed 3 no IR and 3 moderate IR, 10 astrocytomas showed 2 no IR, 6 moderate IR and 2 intense IR, 12 anaplastic astrocytomas showed I no IR, 7 moderate IR and 4 intense IR and 19 glioblastomas showed 1 no IR, 11 moderate IR and 7 intense IR. Immunoreactiv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low and high grade of tumo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naplastic astrocytomas and glioblastomas. Gemistocytic tumor cells represented the predominent VEGF-immunoreactive cell types, as compared with compactly-arranged small tumor cells. In glioblastomas VEGF IR was observed in both perinecrotic and vital tumor areas. Conclusion : VEGF seems to be a important angiogenic factor in anaplastic astrocytomas and glioblastomas and VEGF expression may contribute to neovascularization of human astrocytomas.

  • PDF

대학교 교직원 및 그가족의 의료에 관한 연구 -이화 여자 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ealth Care of Ewha Womans University Staff, Faculty and Families)

  • 강지용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7권1호
    • /
    • pp.163-173
    • /
    • 1974
  • A study on the health care of Ewha Womans University staff, faculty and families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973 to August 1974 using designed questionaire. A total of 196 persons who were randomly sampled as 27.3% of the total staff and faculty 789 were studied. The response rates were 96.0%. The results and finding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 1. The sex ratio of the members the faculty and the staff shows 83.2% and the singles are 37.2% of the total. Their mean family size being 4.6 persons per capita, each family has mean number of 2.3 childeren. 2. The median monthly income of a member of faculty amounts \114,000 and that of a staff \43,077. It amounts \79,333 when the median monthly income of both the members of the faculty and the staff are taken. Consequently, it amounts \91,727\ per family (Assumed mean). 3. 71.4% of the total hold the house of their own. A spouses of 59.4% of them are working for the additional income of the family. 4. Their health condition is rated fair, i. e. 92.3% of them enjoy good health. Out of total members faculty and the staff, 20.6% are cared by family physician. 36.2% of them feel that they are burdened by heavy medical expense. 5. 76.7% of them have affirmatively responded that they would purchase medical insurance policy when they were offered. It reaches 84.0% of the total who consider buying the policy for their dependents. 74.0% of them desire to purchase the policy for their spouse's parents. 6. The monthly prevalence rate reaches 17.0% and the hospital admission rate 4.7%.12.3% of them affirmatively responded that they had chronic diseas. The number of sick call per capita counts 0.2 per month and the hospital admission rate 0.05. 7. To examine the nature of their disease, the respiratory disease is rated to be the top and the gastro-intestinal disease comes to the next. As far as chronic disease is concerned, the gastro-intestinal disease is predominent. 8. As to their treatment, 65.4% of them get the physician's treatment and 17.0% treatment of drug purchasing and 7.7% prefer Chinesedrug. 6.6% of them gets no medical treatment at all. 9. The treatment ratio, including drug purchasing and other means, reaches 93.4%. 60.7% of them affirmatively responded that they did not or could not get physician's treatment at least once even though they thought they had to. It is disclosed that 25.4% of them are caused by economical reason. 10. Average medical expense per case amounts \7,116 and monthly medical expense per capita \1,345. Consequently, average monthly medical expense per family amounts \6,185. 11. The medical expense of a family is rated 7.7% of total earnings of the same period.

  • PDF

한국산 꿩 송과샘의 부화후 발달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the Post-hatching Development of the Pineal Gland in Korean Pheasant (Phasianus colchicus Karpowi))

  • 이영훈;김인식;양홍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67-274
    • /
    • 2001
  • 부화후 성장하는 꿩 송과샘의 미세구조적 발달을 구명하고자 1일령, 1, 2 및 6개월령을 희생시켜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광학현미경적 관찰에서 꿩 송과샘의 실질은 피막에 의해 싸여 있고 여기에서 기시하는 결합조직에 의해 불완전한 소엽 (lobule)으로 구분되었다. 송과샘실질은 소엽상과 불완전한 여포살이었으며, 둥근 핵과 염색성이 옅은 송과샘세포와 약간 짙고 길쭉한 핵을 갖는 지주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송과샘실질에는 길쭉한 송과샘세포와 지주세포가 소엽의 중심부를 향해 배열되어 있었고 광학현미경에서 소엽의 중심부에는 매우 불규칙한 막성층판복합체이나 포상구조물이 출현하였다. 실질은 비교적 밝은 솔과 샘세포와 짙은 핵을 갖는 지주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송과샘세포는 잔유성 광수용세포의 형태를 취하였는데, 그 첨단부위의 밝고 팽대된 세포질에는 세포소기관이 빈약하나 섬모, 약간의 유리리보솜과 사립체가 출현하였다. 첨단부위세포질과 핵위부위세포질 사이의 좁아진 경부는 지주세포와 연접복합체를 이루고 목부위세포질내에는 미세소관이 풍부하였다. 핵주위세포질은 풍부하고 다수의 사립체, 잘 발달된 골지장치, 풍부한 과립형질내세망 및 유리 리보솜 등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핵아래부위세포질에서 여포의 기저부위로 기저돌기를 내고 있었다. 송과샘세포의 핵아래부위 세포질 및 기저돌기에서 60∼90nm 크기의 치밀소포가 관찰된 것이 특이하였고 짙은 핵을 갖고 긴 독기를 갖는 것이 특징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꿩 송과샘세포가 광수용능은 것의 없고 분비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소견이었으며, 성숙 꿩의 송과샘의 미세구조적 연구를 확인하여 번식기와 비번식기에 따른 비교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녹두의 유리 및 결합지질의 조성에 관한 연구 (Composition of Lipid Glass and Fatty Acid in Free and Bound Lipids From Mungbean)

  • 엄수현;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4-171
    • /
    • 1988
  • 녹두(Phasealus radiatus, L)로 부터 유리지질과 결합지질(저온 및 고온)을 얻은 다음, 이들을 다시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로 분획 정량하고 다시 이 분획된 성분을 정량하였으며 아울러 각 분획별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녹두 유리지질의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의 함량비율은 각각 89.1, 7.1, 3.7%였으며 결합지질(저온)은 56.4%, 28.6, 15.0%였으며 결합지질(고온)의 경우는 49.2, 29.0, 21.8%였다. 유리지질 획분의 중성지질조성 중 주된 성분은 triglycerides (82.8%), 1,2-diglycerides(6.6%), esterified sterols(4.6%)이었고, 저온에게 추출한 결합지질은 triglycerides (32.5%), free fatty acid(28.2%), 1,3-diglycerides(26.3%)들이고 고온에서 추출한 결합지질은 triglycerides(57.8%), free fatty acid(21.6%)이었다. 한편 유리지질 획분의 주된 당지질 성분은 esteryl steryl glycosides(89.9%), monogalactosyl diglycerides(8.2%)였고 저온 또는 고온에서 추출된 결합지질의 당지질성분은 esteryl steryl glycosides가 주성분$(76{\sim}93%)$였고 monogalactosyl diglycerides도 함유되어 있었다. 유리지질 및 결합지질의 인지질조성을 보면 phosphatidyl ethanolamine, diphosphatidyl glycerides,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inositol+phosphatidyl serine 등이 주요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각 분획된 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유리지질에서는 linoleic acid(39.6%), palmitic acid(24.9%), linolenic acid(19.7%), 저온 또는 고온 결합지질에서는 linolenic acid, palmitic acid, linolenic acid이었고 유리지질에서는 결합지질에서 나타나지 않는 arachidic acid와 behenic acid가 함유되어 있었다.

  • PDF

음향집어기의 집어 효과 (Effects an Acoustical Equipment on the Luring of Fish School)

  • 장선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2권4호
    • /
    • pp.75-82
    • /
    • 1986
  • 음향집어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치망내의 수중환경소음과 방성음의 분포 및 집어효과를 실험,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중환경 소음 및 방성음의 중심주파수대는 각각 150Hz~400Hz, 400Hz~1000Hz이고, 음압준위는 원통, 헛통, 장등, 비탈그물의 순으로 , 비탈그물, 원통, 헛통, 장등의 순으로 각각 높았다. 양망작업중의 수중소음은 양망개시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음압준위가 높아지나 양망의 마무리 단계에서는 오히려 낮아졌다. 2. 본 실험에서 제작한 방성장치로서 정치망어포부내에 방성한 결과, 초기에는 어군이 방성기주변으로 모여드는 반응을 나타내었으나, 약 30분이 경과하면서 이러한 반응은 약화되었다. 그리고 방성시간과 휴지시간의 간격보다는 방성음압에 군락이 더 민감하였다. 3. 일본에서 제작된 음향집어기(Dainy 0-8)로 해상에서 방성시험을 하여 본 결과, 대체로 방성개시후 약 20분에 어군이 모여들고 방성을 멈추면 곧 흩어졌다. 유집된 어군은 선박교통소음의 환경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망입구 근처의 장등에 음향집어기를 설치하여 방성하였을 경우와 방성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한 어획량이 방성하지 않았을 때에 비하여 약 3~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람 적혈구막 Band 3의 정제 및 Liposome으로의 도입 (Purification of Band 3 from the Human Erythrocyte Membrane and its Incorporation into Liposome)

  • 김재룡;김정희;이기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41-48
    • /
    • 1986
  • 사람의 적혈구막으로부터 Band 3를 분리정제하고 이를 liposome 내로 도입시켜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적혈구를 약알칼리 저장액으로 용혈시켜 막을 분리한 후, 저이온강도 용액으로 처리하여 Band 4를 추출하였다. Triton X-100 추출액에 p-chloromercuribenzoate를 가하고 sucrose density gradient ultracentrifugation후 fractionation하여 Band 3를 정제하였다. phosphatidyl L-serine과 cholesterol을 1 : 1 molar ratio로 섞고 진공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chloroform을 제거한 후 Triton X-100을 제거한 Band 3용액을 가하고 sonication함으로 liposome(reverse-phase evaporation vesicle)을 만들면서 Band 3를 도입 시켰다 Band 3의 분리정제 및 liposome에 도입되었음은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전기영 동 후 coomassie brilliant blue 염색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식도 및 기도이물의 통계적 고찰 (A Statistical Study of Foreign Bodies in Food and Air Passage)

  • 손영규;양희찬;최정현;신명수;이선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6.2-7
    • /
    • 1982
  • 1976년 9월 1 일부터 1981 년 8월 31 일까지 5년 동안 본원 이비인후과를 내원한 식도 및 기도의 이물환자 270명에 대한 연령 및 성별 분포, 이물의 종류 및 빈도, 각 이물의 개재부위, 그리고 각 이물의 개재기간에 대한 통계적 고찰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식도이물은 전체 270 례중 256 례 (94.8%)로 대부분이었고, 기도이물은 14례 (5.2%)로 나타났다. 2) 연령별로는 식도이물에서 5 세이하가 198 례 (77.7%)였다. 또한 이 연령군의 식도이물에서 주화가 175 례 (87.9%), 기도이물에서는 플라스틱 제품이 7 례 (50.0%)로 주종을 이루었고, 40세이상 연령군에서 골판류가 8례 (47.1%), 육괴가 6례 (35.3 %)로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3) 성별 빈도는 식도이물에서 남자 대 여자의 비가 151 : 105(1.4 : 1) 로 남자가 많았고, 기도이물에서도 남자 대 여자의 비가 10 : 4 ( 2.5 : 1)로 남자가 많았다. 4) 종류별로 보면 식도이물에서는 주화가 199 례 (77.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금속류가 15 례(5.9%), 골련 (5.1%), 육괴 (3.9%)순으로 나타났다. 기도이물에서는 플라스틱류가 7례 (50.0%)로 가장 많았다. 5) 개재부위는 식도에서 제 1 협착부가 가창 많았고(93.4%), 기도에서는 기관지가 가장 많았으며 (71.4%) 특히 우측 기관지가 많았다. 6) 개재기간은 식도의 경우 218명 (85.2%)이 24시간이내에 내원하였고 기도에서는 9명 (64.3%)이 24시간이내에 내원하였으며, 5개월후에 내원한 경우도 1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