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dictive actor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냉동 고등어 소비자가격 모형 간 예측력 비교 (A Comparison of Predictive Power among Forecasting Models of Monthly Frozen Mackerel Consumer Price Models)

  • 정민경;남종오
    • 수산경영론집
    • /
    • 제52권4호
    • /
    • pp.13-2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hort-term price predictive power among ARMA ARMAX and VAR forecasting models based on the MDM test using monthly consumer price data of frozen mackerel. This study also aims to help policymakers and economic actors make reasonable choices in the market on monthly consumer price of frozen mackerel. To analyze this study, the frozen wholesale prices and new consumer prices were used as variables while the price time series data were used from December 2013 to July 2021. Through the unit root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time series variables employed in the models were stable while the level variables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conducting information standards and Granger causality tests, it was found that the wholesale prices and fresh consumer prices from the previous month have affected the frozen consumer prices. Then, the model with the highest predictive power was selected by RMSE, RMSPE, MAE, MAPE, and Theil's inequality coefficient criteria where the predictive power was compared by the MDM test in order to examine which model is superio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RMAX(1,1) with the frozen wholesale, ARMAX(1,1) with the fresh consumer model and VAR model were selected. Through the five criteria and MDM tests, the VAR model was selected as the superior model in predicting the monthly consumer price of frozen mackerel.

소아 스테로이드 반응성 신증후군에서 재발과 관련된 예측인자 (Predictive factors for Relapse in Children with Steroid Responsive Nephrotic Syndrome)

  • 조민현;이동원;이태호;고철우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9권2호
    • /
    • pp.167-174
    • /
    • 2005
  • 목 적 : 스테로이드 반응성 신증후군 환아들의 초기 치료 중에 나타나는 임상경과 중 재발빈도와 관련되는 자료들을 선별하여, 재발에 대한 예측인자로서의 의의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대상환아는 1996년부터 2001년까지 6년간 경북대학교 병원 소아과에서 스테로이드 반응성 신증후군으로 진단되어 2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73례로 하였고, 이 환아들을 대상으로 성별, 발병연령, 신장조직 검사결과, 각종 검사실 성적, 첫 치료 후 관해까지의 기간, 첫 치료 후 재발까지의 기간, 재발빈도 등을 의무기록지를 통해 후향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재발빈도와 다른 자료들간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환아의 신증후군 진단 당시 평균 연령은 $4.53{\pm}2.53$세였으며 남녀비는 52:21로 남아가 많았다. 첫 치료 후 완해까지의 기간은 $10.2{\pm}7.4$일이었고 대부분(77$\%$)은 2주 이내에 완해됨을 알 수 있었다. 재발은 전체의 78$\%$인 57명에서 나타났는데, 첫 1년간은 $2.6{\pm}1.4$회, 2년째는 $1.9{\pm}1.3$회를 재발하였으며, 이 중 23$\%$인 13명이 "빈발 재발형"으로 진단되었다. 재발이 있었던 환아들은 첫 치료 후 $4.7{\pm}3.5$개월 후에 첫 재발이 있었다. 진단 당시 시행한 혈액검사 및 요단백-크레아티닌 비, 24시간 요단백배설량, 진단 당시 연령, 성별, 혈뇨의 동반 유무와 재발빈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첫 치료 후 완해까지의 기간과 재발빈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7일 이내에 완해가 온 군은 7일 이후에 완해가 온 군에 비해, 첫 치료 후 1년간의 재발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0.93{\pm}1.28\;vs\;2.22{\pm}1.60$, P=0.006). 또한, Kaplan-Meier 모형을 이용한 누적완해율의 분석에서도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017). 결 론 : 스테로이드 반응성 신증후군 환아에서 첫 발병 당시 경구 스테로이드 투여 후 완해까지의 기간은 이후 재발빈도를 추정할 수 있는 예측인자로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Predictors of Positive Bone Metastasis in Newly Diagnosed Prostate Cancer Patients

  • Chien, Tsu-Ming;Lu, Yen-Man;Geng, Jiun-Hung;Huang, Tsung-Yi;Ke, Hung-Lung;Huang, Chun-Nung;Li, Ching-Chia;Chou, Yii-Her;Wu, Wen-Jeng;Huang, Shu-P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3호
    • /
    • pp.1187-1191
    • /
    • 2016
  •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prostate cancer (PCa)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Treatment strategies are largely based on the results of bone scan screening. Therefore, our aim was to investigate predictors of positive bone metastasis in newly diagnosed PCa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After extensive review, 336 consecutive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PCa between April 2010 and November 2013 at our institution were enlisted in the study.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bone scan results. Univariate analyses (Chi-square test for discrete variables and independent t-test for continuous variables) were applied to determine the potenti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istant bone metastasis.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further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on bone metastasis. Results: The patient mean age was $71.9{\pm}8.6years$ (range: 48 to 94 years). The mean prostate specific antigen (PSA) level and biopsy Gleason score were $260.2{\pm}1107.8ng/mL$ and $7.4{\pm}1.5$, respectively. The body mass index (BMI) for the series was $24.5{\pm}3.4kg/m^2$. Sixty-four patients (19.0%) had a positive bone scan result. Patients with positive bone scan results had a significantly lower BMI ($23.3{\pm}3.5$ vs. $24.8{\pm}3.3$; p=0.003), a higher Gleason score ($8.5{\pm}1.1$ vs. $7.1{\pm}1.5$; p < 0.001), and a higher PSA level ($1071.3{\pm}2337.1$ vs. $69.4{\pm}235.5$; p < 0.001) than those without bone metastasi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employing the above independent predictors demonstrated that a Gleason score of ${\geq}7$, clinical stage ${\geq}T3$, $BMI{\leq}22kg/m^2$, and an initial PSA level of ${\geq}20ng/mL$ were all independent predictors of bone metastasis. Conclusions: A bone scan might be necessary in newly diagnosed PCa patients with any of the following criteria: clinical stage T3 or higher, a Gleason score of 7 or higher, BMI equal to or less than 22, and a PSA level of 20 or higher.

초기 시청시간 패턴 분석을 통한 대흥행 드라마 예측 (Prediction of a hit drama with a pattern analysis on early viewing ratings)

  • 남기환;성노윤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4호
    • /
    • pp.33-49
    • /
    • 2018
  • TV 드라마는 타 장르에 비해 시청률과 채널 홍보 효과가 매우 크며, 한류를 통해 산업적 효과와 문화적 영향력을 확인시켜줬다. 따라서, 이와 같은 드라마의 흥행 여부를 예측하는 일은 방송 관련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12년까지 10년간, 지상파 채널을 통해 방송된, 총 280개의 TV 미니시리즈 드라마를 분석하였다. 이들 드라마 중 평균 시청률 상위 45개, 하위 시청률 45개를 선정하여 흥행 드라마의 시청시간 분포 (5%~100%, 11-Step) 모형을 만들었다. 이들 기준 모형과 신규 드라마의 시청시간 분포와의 이격 거리를 Euclidean/Correlation으로 측정한 유사도(Similarity)를 통해, 시청자의 초기(1~5회) 시청시간 분포로 신규 드라마의 성패 여부를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었다. 또한 총 방송 시간 중 70% 이상 시청한 시청자를 열혈 시청층(이하 열혈층) 으로 분류하고, 상위/하위 드라마의 평균값과 비교하여, 신규 드라마의 흥행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연구 결과 드라마의 초반 시청자 충성도(시청시간)는 드라마의 대흥행 여부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밝혔으며, 최대 75.47%의 확률로 대흥행 드라마의 탄생을 예측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