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verty problem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1초

빈곤과 소득불평등 인식에 따른 문제음주 발달궤적의 변화 (Poverty and perceived income inequality and changes in growth trajectory of problem drinking)

  • 정슬기;이수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3-51
    • /
    • 2015
  • Objectives: Socioeconomic factors are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explaining drinking problems in our society. From the poverty and inequality perspective, not only absolute poverty but perceived level of poverty or inequality has a direct effect on one's health and health behavio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growth trajectories of problem drinking in Korea in relation to poverty and perceived income. Methods: Data from 13,414 adults were analyzed using 4 years of data (2010 to 2014)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Main variables included poverty status, perceived income inequality, and problem drinking. A latent growth modeling was employed for the analysis. Results: The non-poverty group had higher initial level of problem drinking; however, the poverty group showed higher rate of increase in problem drinking rate. The perceived income inequality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itial level, but over time, those with higher level of perceived income inequality showed higher rate of increase in problem drinking. Conclusions: Findings showed that poverty and inequality affect changes in problem drinking. Efforts to prevent and decrease problems related to alcohol should not only focus on changing individuals' behavior but also on decreasing the inequality gap.

음주문제와 우울 간의 인과관계와 빈곤상태 변화의 연관성 분석 (Examining the Association of Poverty Status Transition with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Depression)

  • 허만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2호
    • /
    • pp.203-230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의 원자료를 cross-lagged panel design에 따라 분석자료를 추출하고 인과관계 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음주문제와 우울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빈곤이 음주문제와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음주문제와 우울 간의 인과관계와 빈곤 상태의 변화가 연관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한국복지패널의 1차년도와 2차년도의 자료에서 반복측정된 3,976명의 성인 남녀였으며, 인과관계 분석은 McArdle and Hamagami (2001)에 의해서 정립된 Latent Difference Scores (LDS)모델을 사용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먼저 음주문제와 우울의 인과관계를 밝힌 후에, 이러한 인과관계가 빈곤의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4개의 하위집단 (빈곤 지속 집단, 빈곤 탈출 집단, 비빈곤 지속 집단, 빈곤시작 집단)에서 유지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전체를 이용한 LDS모델의 결과는 우울이 음주문제의 변화를 예측할 뿐 아니라 음주 역시 우울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울과 음주가 상호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연구 대상자를 빈곤 상태 변화에 따른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빈곤지속 집단에서는 우울과 음주가 상호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빈곤 시작 집단과 비빈곤 지속 집단에서는 우울의 음주 변화에 선행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빈곤 탈출 집단에서는 음주와 우울 사이의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주와 우울 사이의 인과관계가 빈곤상태변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새로운 결과로서 기존의 횡단연구들에서 우울과 음주의 관계에 대한 서로 상충하는 다양한 결과들에 대한 종합적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

  • PDF

21세기, '빈곤'을 생각해보다: 주관성연구, Q방법론을 활용하여 (Let's Think about 'POVERTY' in the 21st Century : Using the Q methodology of Subjective Study)

  • 이도희;김기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65-272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가 일상에서 생각하는 '빈곤'은 과연 무엇인가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개인적인 주관적 의견을 살펴보기 위하여 주관성연구방법인 'Q방법'을 활용하여 빈곤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이 4개의 유형으로 정의되었다. 은 "Retraction type"으로, 빈곤이란 'Retraction', 'Individual Effort Problem', 'Social Structure Problem', 'low status', 'Laziness' 등으로 '되물림의 문제'임을 강조하였다. 는 'Individual Effort Problem', 'Laziness', 'Incompetence', 'starvation' 등을 강조하고 있어, "Individual Problem type"으로 명명하였다. 은 'The food and shelter problem', 'starvation', 'Laziness', 'No Money' 등의 삶의 기본적인 요소인 의식주문제를 강조하고 있어, "Basic Problem type"으로 명명하였다. 는 "Resource Distribution Problem type"으로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에 따른 '자원분배의 문제'를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주관성연구방법을 활용하여 21세기 빈곤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였으며, 이에 대한 일반화를 위해서 향후 본 연구에서 출발하여 실증연구로의 융합적 확장연구를 기대한다.

한국 가족문제의 유형과 특성 1940-1980년대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s and Patterns of Family Problems in Korea - An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1940s ~ 1980s -)

  • 이인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3호
    • /
    • pp.171-180
    • /
    • 2003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family problems were explored. What constituted family problems, and how those evolved over the period of drastic changes in the Korean society were examined, by analyzing articles published from the 1940s to the 1980s in the four major national newspapers in Korea. A total of 6542 articles related to family problems in the four newspapers, Chosun, Dong-A, Kyunghyang, and Seoul, were used for the content analysis of this study. The main categories of family problems were classified as poverty, marital issues, issues related to children and adolescents, elderly issues, problems in the family as an institution, and the so-called family-lag problem. Each of these categories consisted of several subcategories: The poverty-related problems included the problems caused by difficulty in making a living and instability of living, for example. The marital issues category consisted of conflicts between the couple, unfaithful spouses, domestic violence, divorce, and so on. Issues related to children and adolescents included juvenile delinquency, difficulty in bringing up children, child abuse, single motherhood, and underage household heads, for example. The elderly issues included the anxiety over the aging society, support for the elderly, conflicts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alienation of the elderly, etc. Problems in the family as an institution consisted of the legal issues in such areas as marriage, succession of the family head, and adoption. Lastly, the family-lag problem included confusion over family values, and conflict caused by the inconsistency between consciousness and actual behavior related to the family or family crisis. From the 1940s to the 1980s, family-lag was the most common problem (26.2% of the total articles), followed by issues related to children and adolescents (23.1%), poverty (16.2%), marital issues (15.9%), elderly issues (12.4%), and problems in the family as an institution (6.0%). During the 1940s and the 1950s, poverty was a prominent problem, and in the 1960s, issues related to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most commonly addressed in the articles. In the 1970s and the 1980s, the family-lag problem was the most frequently addressed.

새로운 도시빈곤으로서 근로빈곤층의 발생과 대책 (Generation of Working Poor as New Urban Poverty and Its Policy)

  • 노대명;최병두;조명래;류정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71-692
    • /
    • 2006
  • 최근 대도시 내부의 노동인구 가운데 새로운 빈곤, 즉 근로빈곤층이 형성되어, 이에 따른 계층 간 사회공간적 갈등을 심화시킬 징후를 보이고 있다. 이 논문은 노동과 빈곤이 결합하여 나타나는 특수한 문제로서 최근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근로빈곤층의 문제에 초점을 둔다. 우선 근로빈곤층에 대한 개념정의에서 출발하여, 근로빈곤층이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근로빈곤층의 실태를 정태적 및 동태적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노동과 빈곤문제가 어떻게 유기적인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존 근로빈곤층 지원 정책의 한계를 살펴보고 향후 대안적 정책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TIP 곡선을 이용한 에너지 빈곤구조의 동태적 변화 분석 (Analysis on Dynamic Change in Energy Poverty Structure using TIP curve)

  • 이은솔;송철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187-20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전체가구, 노인가구, 1인가구의 에너지 빈곤구조의 동태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TIP 곡선을 도출하였으며 에너지 빈곤강도와 빈곤수준의 변화에 집중하였다. 자료는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의 연료비에 대한 연간자료와 분기자료를 이용하였는데, 4개 분기 중 난방비의 비중이 높아 에너지 빈곤 문제가 두드러질 수 있는 1분기 자료를 이용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가구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른 빈곤강도와 빈곤수준의 개선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노인가구와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빈곤강도와 빈곤수준의 개선이 나타났다. 특히, 1분기 자료를 이용한 분석 결과에서 노인가구와 1인가구의 빈곤강도와 빈곤수준이 뚜렷하게 개선되었다. 전체가구에 비해 노인가구와 1인가구의 빈곤강도와 빈곤수준이 크게 나타났으며, 노인가구 보다 1인가구의 에너지 빈곤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빈곤지위의 변화에 정신건강이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 (Poverty Status Transition and Mental Health: The Effect of Mental Health on the Poverty Status Transition)

  • 이상록;이순아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4호
    • /
    • pp.277-311
    • /
    • 2010
  • 빈곤에는 인적자본 및 가족구조 등의 물질적 결핍 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측면이 주요하게 관련되어 있음이 널리 제기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관련 연구성과들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빈곤층의 심리사회적 측면이 빈곤지위의 결정 및 이의 변화에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지를 정신건강 변수들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에서는 한국복지패널 1~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우울 및 자아존중감 등의 정신건강 요인과 빈곤지위의 관계를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였는데, 주요 분석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층과 비빈곤층의 정신건강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빈곤층 내부에서도 빈곤이 심각할수록 정신건강이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빈곤과 정신건강의 부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빈곤탈출 집단과 빈곤지속 집단의 정신건강 수준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정신건강이 빈곤지위 변화와도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빈곤경험 양상은 정신건강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정신건강수준이 양호하지 못할수록 빈곤 경험율 및 빈곤지속의 경험이 높고, 빈곤경험기간도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의 빈곤 탈출율은 낮은 반면 빈곤 지속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타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모델에 대한 분석에서는 정신건강이 빈곤지위 및 빈곤지위 변화에의 주요 결정 요인의 하나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빈곤지위 및 이의 변화에 정신건강의 주요한 영향을 보여주는 바로, 우리사회의 빈곤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물질적 결핍에 대한 지원에만 치중된 정책적 접근에서 벗어나 빈곤층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 및 지원이 요청됨을 정책적 함의로 시사하여 준다.

방글라데쉬 농촌 개발을 위한 케이디에이비 농업 개발사업의 평가 (The Review of KDAB Agriculture Project for the Rural Development in Bangladesh)

  • 권병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3권2호
    • /
    • pp.197-209
    • /
    • 1996
  • Bangladesh that is known as the poorest country of the world has the large land of fertile soil and very good environment to live, even though we think she may be very bad to live. People being habituated to that good environment, the population explosion made the people to be starven, but the treatment has been simple support without deep analysis of the root of poverty. As the result it is general that the poverty is severer and severer in spite of continuous support. For the last century Korea changed from the country of poverty and despair to that of development and hope, to be model mid vision of under development countries including Bangladesh.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look back the way of development to help them to solve their poverty problem. That is the goal of this project, and this thesis is the result of it. It is evaluated for the 1st 5 years work of the project to apply the result to the next 5 years plan. This project had been proceeded from 1. Jul. 1990 to 30. Jun. 1995 at Chilmari area of Bangladesh, with teaching and training to wake up the mentality of the people, demonstration farming and cooperative association. It was proceeded as the Agriculture project of KDAB(Korean Development Association in Bangladesh, an NGO registered to Bangladesh) supported by Good Neighbors, KOICA and many churches and individuals. Especially the teaching and training work was proceeded as the branch of the Canaan Farmer`s School of Korea with instruction and support. After the basic survey for project, the confirmation of working place and the preparation of training facility, 10 times of long term training(3 months worse, boarding) was completed, with many times of short term training, informal training, demonstration farm, various demonstrating works. The results of the work are understanding of the not of problem by participatory observation, making plan to solve it, getting the trust from the people and beginning the practical work with the trainees for development of economy and living situation. The biggest problem of Bangladesh is being understood losing the desire to solve the poverty problem and the self-confidence to be able to do it. It is the conclusion that after solving the problem of thought and mentality, the education, technology and money can be effective for development. So the 1st 5 year project is evaluated as the basic work to analyse the root of problem, to chance mentality of people and to search income source. The next goal is to promote practical living level of people. For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e die mentality of people including responsibility and self-confidence by teaching and training, to educate cooperative association and technology for economical development, to proceed integrated rural development work with economical development, educational improvement and reformation of environment. It is very important result that they decided to grow poultry for main economical source of Chilmari area, to do economical development work by joint operation of poultry through cooperative association.

  • PDF

Nutrition Behaviour of Families with Low-Income

  • Jacqueline Koehler;Stephanie Lehmkuehler;Ingrid-Ute Leonhaeuser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5권1호
    • /
    • pp.117-130
    • /
    • 2004
  • Poverty is an important issue, not only in developing countries but also in industrialised societies. In 1999 15% of the European population have been in risk of poverty and the number of people living in poverty in Germany continues to increase. As poverty concerns all aspects of life, it influences health, well-being and the nutrition of the people living on low-income. Although this problem is obvious, only few surveys have been conducted to analyse it and therefore there is only limited information on the nutritional situation and nutrition behaviour of the poor. A qualitative study, which looked closely at the nutrition behaviour of 15 low-income families, was carried out in Giessen, German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tritional situation of poor families differs from that families with a higher income have, the reasons being that their scope for action is restricted by a shortage of money and that there is a lack of skills and knowledge to provide family members with adequate nutri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 nutrition situation of poor families should aim at encouraging them to acquire relevant information and appropriate skills to adopt a healthier diet within their financial, social and cultural constraints. Also there have to be socio-political arrangements, which improve existing financial and social provisions as well as preventive educational measures.

중국의 주택상품화 과정이 주거 빈곤에 미친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Urban Housing Reform on Chinese Urban Housing Poverty)

  • 안창진;이원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36-751
    • /
    • 2009
  • 중국은 개혁 개방과 함께 사회주의 계획경제제도에서 자본주의 시장경제제도로 이행중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주택의 상품화와 함께 빈곤의 문제가 수면위로 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소적 빈곤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국내외 문헌을 통해 중국의 사회보장제도와 주택의 상품화 과정을 분석하고 파악된 내용을 중심으로 중국의 주택상품화의 특징 및 문제점을 지적했다. 아울러, 중국을 8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지역의 특성을 인구 사회적 지표, 경제적 지표, 주택지표로 고찰했다. 분석결과, 주택상품화 과정은 주거빈곤에 영향을 미치고 이었으며 권역별로 상이한 특징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지역별 상황이 매우 다양하므로 주거정책에서 일원적 방법이 아닌 다원적 방법으로 접근해야함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