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초

산불 피해 산림의 식생 발달과 토양 보존을 위한 사면 처리 효과 (Effects of Hillslope Treatments for Vegetation Development and Soil Conservation in Burned Forests)

  • 김창기;정연숙;주광영;이규송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3호
    • /
    • pp.295-303
    • /
    • 2006
  • 국내의 산불 피해지에서 식생 복구를 위해 주로 적용되는 단순 개별과 조림은 초기에 토사 유출을 과도하게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토양 안정화를 위해서 조림 복구 시기의 조절을 고려해야 하고, 자연 복원력이 낮은 지역에는 토양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사면 처리가 필요하다. 본 종설에서는 주로 북미와 유럽 지역에서 산불 피해 산림의 토양 보존을 위해 수행되었던 대표적인 사면 처리 기술인 씨뿌리기, 멀칭, 통나무 경사막이 등의 효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씨뿌리기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식생 피도와 토양 침식에 미치는 영향은 분명치 않으며, 자생 식물의 재생을 저해하는 부정적인 효과가 밝혀졌다. 멀칭은 토양 침식의 감소에 효과적이지만, 역시 외래 식물종의 도입과 자생종 재생의 저해라는 부정적인 효과도 있음이 밝혀졌다. 통나무 경사막이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이지만, 강우량이 적은 시기에는 효과가 있으나 많은 시기에는 효과가 뚜렷하지 않다는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산불 피해지의 사면처리는 자연 복원력이 높은 지역에 불필요하게 적용하였을 때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으로, 자연 복원력이 낮으며 자생종의 재생보다 강우 및 토사 유출의 감소가 시급한 지역에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우 및 토사 유출 감소 여부, 외래 식물종의 도입, 멀칭으로 인한 식생 재생의 저해 등과 관련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충청북도 보련산 삼림식생에 대한 군락생태학적 연구 (Synecological Study of the Forest Vegetation on Mt. Boryeonsan, Chungcheongbuk Province)

  • 송종석;신동국;이장순;김헌규;엄광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6-77
    • /
    • 2009
  • 본 연구는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보련산 일대의 삼림식생을 분류하고 그 환경조건을 해석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삼림식생은 일본잎갈나무식재림, 상수리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졸참나무 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단풍취군집(신갈나무-철쭉나무군단, 신갈나무-당단풍군목, 신갈나무군강) 등 1개의 식재림군락, 5개의 이차림군락, 1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각삼림군락에 대해 종조성과 인위적 영향, 고도, 경사, 지형, 토양의 화학성 등 생육지의 환경조건과의 관계를 해석하였다. 또 군락별로 생활형을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신갈나무-단풍취군집은 식별된 군락 중 가장 안정된 군락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각 군락의 구성종의 우점도에 기본을 둔 집괴 분석의 결과는 식물사회학적 표조작에 의해 구분된 군락구분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진행적 천이가 계속된다면 이 지역의 우점군락은 잠재자연식생인 신갈나무-단풍취군집으로 이행될 것으로 추리되었다.

금호강 유역의 환경특성이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Geumho River Watershed on Stream Water Quality)

  • 박경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85-98
    • /
    • 2003
  • 최근 물환경에 관련된 광범위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유역관리의 관심이 증대되고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금호강 유역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환경정보의 구축과 소유역 단위의 환경특성이 하천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소유역 단위의 환경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GIS 데이터베이스는 축척 1:25,000의 지형도, 정밀토양도, 토지이용도, 10m 해상도의 DEM, 도로망도, 수계망도, Landsat TM 영상에서 산출된 식생지수(NDVI), 강우량, 그리고 RUSLE 모형에 의한 토양유실량으로 구성되었다. 소유역 단위의 환경특성과 하천 수질간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유역의 도시화 또는 산업화에 관련된 주거 상업지역, 공업지역, 도로지역에 관련된 변수들은 BOD, COD, SS, T-N, T-P의 수질자료와 음(-)의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는 달리, 자연환경상태와 관련된 산림피복과 식생상태 변수들은 수질자료와 양(+)의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농업적 토지이용과 농약 및 비료사용량, 토양유실량은 수질자료와 유의한 상관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우리나라 삼림의 변화와 전망 (Changes and Prospects of Forests in Korea)

  • 이효혜미;조강현;김준호
    • 생태와환경
    • /
    • 제47권4호
    • /
    • pp.337-341
    • /
    • 2014
  • 한국에서 산림생태계의 구조적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산림 면적과 임목축적량의 변화와 조림지에서 임상식생구조를 문헌조사에 의하여 파악하였다. 한국의 삼림은 1950년대에 심하게 훼손되었지만, 1970~1980년대에 활발히 조림하여 임목축적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삼림면적은 5,500 ha 년$^{-1}$씩 감소하고 있다. 임목축적량 변화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임목축적량을 기준으로 성숙림으로 기대되는 해는 약 2150년으로 예측된다. 현재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및 아까시나무 조림지에는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산벚나무등의 잠재자연식생이 형성되고 있으므로 미래에 이들의 숲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난온대 식생분포대의 식물기후학적 재검토 (A Phytoclimatic Review of Warm-temperate Vegetation Zone of Korea)

  • 엄병철;김종원
    • 생태와환경
    • /
    • 제53권2호
    • /
    • pp.195-207
    • /
    • 2020
  • 난온대 동백나무군강의 한국 내 분포 북한계는 연평균 기온 13℃와 14℃, 한랭지수 -10℃로 제안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들 기후요소의 지리적 공간분포 실체를 검토하였다. 세 기후요소의 공간분포 양상은 티센망법과 크리깅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세 가지 기후도를 생산하여 난온대 주요 상록활엽수종의 현존분포와 그 대응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로 난온대 식생의 분포 북한계는 한랭지수 -10℃가 연평균기온 14℃보다 일치하였으나, 연평균기온 13℃가 더욱 정교한 일치를 보여주었다. 한반도에서 연평균기온 13℃를 북한계로 한 난온대 식생역의 잠재 분포 면적은 20,334 ㎢로 다른 두 온도요소의 경우보다 넓었다. 본 연구는 가공하지 않은 직접 기후요소인 연평균기온 13℃가 가공으로부터 생겨난 간접 기후요소인 한랭지수 -10℃보다 난온대 식생 분포 북한계에 대응하는 특정 온도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더불어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의 평가 기준으로 사용되는 난온대 경계선에 대한 학술적 재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LANDIS-II를 활용한 대청댐 유역 식생천이 예측 (Prediction of Forest Succession in Daecheong Dam River Basin Area Using LANDIS-II)

  • 문건수;김성열;송원경;최재용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9-53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pplicability of LANDIS-II model to Korea. The case study was carried out in Daecheong Dam basin. In order to operate the model, a total of 63,107 cells of 100x100m unit were constructed, each cell consists of ecoregion map, initial communities map, plant physiological data, and climate change prediction data using SSP2-4.5 scenario. Forest distributions of year 2050 and 2100 were predicted by distribution intensity and interference among trees based on field surveys of 147 points in 2020. As a result, trees of decreased distribution area in the future are in the order of Quercus mongolica, Pinus rigida, Pinus densiflora and Robinia pseudoacacia, which characterized vulnerable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r artificially planted trees. While warm climate trees of Quercus variabilis, Quercus serrata,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aliana are predicted to increase their distribution area in the order. These results analyzed using the LANDIS-II model are consistent with the studies on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and succession tendency in Korea. In conclusion, the applicability of LANDIS-II model in Korea is highly effective and it is also expected to serve as a scientific basis for determining forest policies on afforestation and restoration.

Mapp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Raccoon Dog Habitats: Spatial Statistics and Optimized Deep Learning Approaches

  • Liadira Kusuma Widya;Fatemah Rezaie;Saro Lee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4권4호
    • /
    • pp.159-176
    • /
    • 2023
  • The conservation of the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in South Korea requires th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natural habitats while additionally ensuring coexistence with human activities. Applying habitat map modeling techniques provides information regarding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raccoon dogs and assists in the development of future conservation strate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potential habitat distribution maps for the raccoon dog in South Korea using geospatial technology-based models. These models include the frequency ratio (FR) as a bivariate statistical approach, the group method of data handling (GMDH) as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nd long short-term memory (LSTM) as deep learning algorithms. Moreover, the imperialist competitive algorithm (ICA) is used to fine-tune the hyperparameters of the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models. Moreover, there are 14 habitat characteristics used for developing the models: elevation, slope, valley depth, topographic wetness index, terrain roughness index, slope height, surface area, slope length and steepness factor (LS factor),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distance to drainage, distance to roads, drainage density, and morphometric features. The accuracy of prediction is evaluated using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The results indicate comparable performances of all models. However, the CNN demonstrates superior capacity for prediction, achieving accuracies of 76.3% and 75.7% for the training and validation processes, respectively. The maps of potential habitat distribution are generated for five different levels of potentiality: very low, low, moderate, high, and very high.

송이생산지의 생태적 관리를 위한 소나무비오톱 유형화 및 지도 작성: 강원도 양양군 동서고속도로 건설구간을 중심으로 (Biotope Types and Mapping for Ecological Management of Tricholoma matsutake Production Area: The Case of Expressway in Yangyang-gun, Gangwon-do)

  • 김정호;최송현;윤용한
    • 환경정책연구
    • /
    • 제11권3호
    • /
    • pp.25-47
    • /
    • 2012
  • 송이생산을 고려한 소나무비오톱유형화 및 지도 작성을 통한 송이생산지의 생태적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동서고속도로 신설구간 중 송이가 다량 생산되는 양양군구간을 대상으로 도로노선중앙에서 좌우 700m씩 범위내 총 $19.79km^2$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4단계로 구분하였으며 첫째, 양양군 송이관련특성, 둘째, 송이관련 선행연구 고찰, 셋째, 송이생산을 고려한 소나무비오톱유형화 기준 및 프로세스 정립, 넷째, 송이생산을 고려한 소나무비오톱지도화 등이다. 송이생산에 적합한 경사도 $30{\sim}40^{\circ}C$ 지역은 24.77%, 남향계열은 17.44%이었고 식생구조는 소나무군락 26.00%, 평균수령, $38{\pm}8.34$ 년생, 교목층 평균식생밀도 $9.55{\pm}4.98$ 주/$100m^2$ 등으로 송이생산에 최적 식생구조였다. 토양산도(pH)는 5.0~5.6(47.96%) > 5.6~7.0(42.90%) > 4.0~5.0(9.14%)로서 송이발생에 적합한 약산성 토양인 pH 4.0~5.6의 면적은 57.10%였다. A0층의 깊이는 평균 $3.39{\pm}2.14cm$이며 4~6cm(78.03%) > 0~2cm(18.10%) > 2~4cm(3.87%)였다. 선행연구와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존식생(소나무우점비율), 지형(지형특성 및 경사도), 수령, 토양특성(토양산도와 A0층 깊이), 식생밀도를 유형화 기준으로 설정하여 총 6개 송이생산을 고려한 소나무비오톱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유형별 분포면적은 송이생산잠재(II)소나무비오톱유형(32.86%) > 송이생산 부적합 소나무비오톱유형(22.17%) > 송이생산적합(II)소나무비오톱유형(17.79%) > 송이생산적합(I)소나무비오톱유형(14.86%) > 송이생산잠재(I)소나무비오톱유형(9.77%) > 송이생산소나무비오톱유형(2.55%) 등의 순이었다.

  • PDF

산지형 체험테마공원 조성을 위한 환경생태계획 및 훼손저감 기법 연구 (Ecological Planning and Mitigation of Deterioration Technique for Plan of Mountainous Experience Theme Park)

  • 이수동;강현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42-163
    • /
    • 2009
  • Taebaek city is located in the mountainous plateau area therefore the major industry was coal industry. According to dramatically declining of the major industry, Taebaek city is need to alternative industry which associated with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tourism resources for increasing the local economy. On the basis of these reasons, this study can be suggested ecological planning and mitigation of deterioration technique about the these study site. That is the reserved area for mountainous experience theme park. As the results of environmental ecology assessment are following as; The natural ecosystem areas, multi-layer structure forest such as forest of Pinus densiflora, forest of Quercus mongolica and deciduous forest have a high value of nature, diversity and potential. In addition, wild bird habitats were important area as a inhabitation, breeding, feeding and hiding. Therefore, on these areas should be preserved. Also, it needs to conserve on there such as more than three types of wild bird inhabitate areas, the fringe of high biological diversity, the wetland that have got good vegetation condition and the function of amphibia, reptiles crossing. In addition, inhabitation, the waterway of wetland form that have got wide waterside width needs to conserve. In conclusion, on the basis of analysis results such as conditions of plan, environment, ecological assessments, survey informations are able to suggest the connectivity of the axis of forest and management plan. Moreover, in the part of forest restoration plan, we suggest the plan of transplant for a compensation of damaged forest by land use.

비진도 식물상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An Ecological Study on the Flora of Bijin Island)

  • Kim, Chang Ho;Kwang Seung Lee;Kyu Ha Par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5권4호
    • /
    • pp.164-175
    • /
    • 1982
  • This paper contains the results obtained by the ecological investigation in Bijin island.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during 3 dyas from Aug. 3 to Aug. 5, 1981. The results are followings. The tracheophyta of this island was recoreded as 64 families, 128 genera, 142 species, 21 varieties and 2 forma. Twenty eight species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comprising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Castanopsis cuspidata var. thunbergii, Camellia japonica, etc. wad distributed in the southern area of the island. And there was the wind-break forest mainly consisting of aged Machilus thunbergii, Celtis sinensis and Zelkova serrata in the northern area. The northern area dominated by the second forest of Pinus thunbergii, where the whole residents lead their lives, shows the high population density and pure farming rate, so the natural degree is low. The other hand, there was the well-preserved forest of broad-leaved trees containing Zelkoba serrata. Acer palmatum and Quercus serrata, etc. in southern area having a steep peak, Seonyudai, and no resident. So, the potential vegetation of this island is assumed as the forest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which belongs to the forest of subtrop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