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tato dextrin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9초

Effect of dietary glucose, dextrin and starch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 Lee, Sang-Min;Lee, Jong-Ha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72-72
    • /
    • 2003
  • A 10-week feeding trial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glucose, dextrin and starch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starry flounder. Triplicate groups of fish (average weight, 9.7 g) were fed iso-nitrogenous (53% CP) and iso-caloric (3.8 kcal/g diet) diets containing 20% glucose, 20% dextrin and 5-25% alpha-potato starch with 5-14% lipid levels. Survival was not affected by dietary carbohydrate. Weight gain, feed efficiency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20% glucose were the lowest among all groups. The best weight gain was observed in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20% dextrin. Growth and feed efficiency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potato starch level. Lipid contents of whole body and liver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glucose, dextrin and starch at the same level. However, the lipid contents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dietary starch level and those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5% alpha-potato star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receiving 10-25% alpha-potato starch. Liver glycogen content and hepatosomatic index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dietary starch lev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juvenile starry flounder are able to efficiently utilize dextrin and -potato starch compare to glucose in diets and that alpha-potato starch could be incorporated up to 25% in the diet for optimum growth by juvenile starry flounder.

  • PDF

참전복 사료의 탄수화물원 평가 (Evaluation of Dietary Carbohydrate Sources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이상민;윤성종;유성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3-140
    • /
    • 1998
  • 참전복 사료의 적정 탄수화물 종류 및 첨가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카제인, 북양어분 및 대두박을 단백질원으로하나 실험사료에 소맥분, dextrin,참전복 사료의 적정 탄수화물 종류 및 첨가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카제인, 북양어분 및 대두박을 단백질원으로하나 실험사료에 소맥분, dextrin, $^{\alpha}$-potato starch, sucrose를 각각 2-~24%씩 첨가하여 그 이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alpha}$-potato starch를 15%, 20% 및 25% 첨가하여 적정함량을 조사하였으며, 북양어분, 대두박, 콘글루텐밀, 면실박, 소맥분의 첨가 비율을 조절하여 탄수화물 함량이 다른 배합사료와 비슷하게 유지한 배합사료구도 설정하였으며, 천연먹이로 건조 다시마와 건조 미역 공급구를 두어 실험배합사료와 비교하였다. 실험용으로 중간 크기의 건강한 치패(평균체중;125 mg)를 사료마다 4반복으로 20주간 사육 실험하였다. 사육한 후의 생존률은 건조 다시마와 건조 미역구가 타 실험구보다 낮았다(P<0.05). 실험종료시의 평균체중과 증체율은 사료의 탄수화물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건조 다시마와 미역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alpha}$-potato starch 20%와 25% 첨가구와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alpha}$-potato starch 15%첨가구의 성장효과는 다소 낮아져 $^{\alpha}$+$^{\beta}$-potato starch 20%와 sucrose 20%와 25% 첨가구와 유의차를 보였다(P>0.05). 실험 종료시 지질 함량은 소맥분, dextrin, $^{\alpha}$-potato starch 첨가구들이 서로 유의차없이 타 실험구보다 높았고, 천연먹이구와 상($\alpha$)-potato starch 25% 첨가구들이 낮은 값을 보였다(P<0.05). 이상으로부터 본 실험에 사용된 탄수화물원들은 모두 참전복 사료에 적합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혼합물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유색감자 자영(Solanum tuberosum L.) 매쉬드 포테이토 분말의 혼합비 최적화 및 매쉬드 포테이토의 특성 (Characteristics and Optimization of the Formula of Mashed Potatoes Using Purple-fleshed Potato (Solanum tuberosum L.) by Mixture Design)

  • 정화빈;최지일;윤원병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2호
    • /
    • pp.167-17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유의 자색 안토시아닌을 함유하고 있는 PFPP를 이용하여 매쉬드 포테이토를 제조하고 이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PFPP와 전지분유, 덱스트린을 혼합하여 ready-to-eat (RTE) 매쉬드 포테이토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세 구성 성분의 최적 혼합비를 도출하고자 혼합물 실험방법을 이용하였다. 다양한 배합비에서 매쉬드 포테이토의 색도, 안토시아닌 함량, 유변학적 특성의 차이를 관찰하였으며 PFPP와 전지분유의 배합비에 따라 매쉬드 포테이토의 구조가 변화하여 다른 유변학적 gel 특성을 나타내었다. PFPP의 함량은 주로 적색도와 안토시아닌 함량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전지분유의 함량은 전지분유의 친수성 및 수용성 특성에 의하여 유변학적 특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매쉬드 포테이토의 유변학적 특성 및 다양한 배합비에 따른 특성은 모델링을 통하여 구조적 및 성분에 따른 경향을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적색도와 안토시아닌의 함량을 최대로 함유하면서 유변학적 특성은 시판되는 매쉬드 포테이토와 유사한 고품질의 기능성 매쉬드 포테이토의 최적 배합비는 PFPP 90.49%, 전지분유 4.86%, 덱스트린 4.65%임을 도출하였다.

식혜의 이소말토올리고당에 관한 연구(III) -시판식혜- (A Study on Sugars in Korean Sweet Rice Drink "Sikhye"(III) -Commercial Sikhye-)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2-96
    • /
    • 1997
  • 시판 식혜에는 설탕과 프룩토오스,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및 여러 사이즈의 말토올리고당, 한계덱스트린이 함유되어 있다. 그 중 한계덱스트린은 0.09%, 밥알은 0.2%를 나타냈다. 1H-NMR 분석 결과, 한계덱스트린은 $\alpha$-1,4-결합 및 $\alpha$-1,6-결합이 15:1의 비율을 나타냈다. Pullulanase 처리로, 말토오스에서 글루코오스 10잔기 이상의 말토올리고당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냈다. 한계덱스트린은 여러 아미라아제 처리 결과, 전통식혜보다 가수분해율이 훨씬 높았다. $\alpha$-글루코시다아제와 타액 $\alpha$-아밀라아제를 공동 작용시킨 경우는 62% 가수분해되었다. 그러나, 밥알의 가수분해율이 매우 낮았다. 그래서 전통 식혜에 비해 한계덱스트린의 비피두스 인자로서의 효과는 적고, 밥알의 식이섬유 작용은 커졌다.

  • PDF

식혜의 이소말토올리고당에 관한 연구 -4보 찹쌀식혜- (A Study on Sugars in Korean Sweet Rice Drink "Sikhye" -4. Glutinous Rice Sikhye-)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0-185
    • /
    • 1997
  • 찹쌀 20%, 엿기름 4%를 가하여 7시간 동안 당화시켜 제조한 식혜는 말통스 10.1%, 한계덱스트린 7.3%, 말토트링스 1.3%, 글루코오스 0.18%, 밥알 1.75%를 나타냈다. 알코올 침전, Biogel P-2의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식혜의 한계덱스트린을 정제하여 1H-NMR 분석한 결과 한계덱스트린은 $\alpha$-1,4-글루코시드 결합과 $\alpha$-1,6-글루코시드 결합이 5:1로 이루어졌고, pullulanase 처리한 결과 말토오스와 말토헥사오스까지의 분포를 나타내어 멥쌀식혜에서 얻은 한계덱스트린가 구조가 같은 결과이다. 밥알의 당함량은 26.4%, 단백질 함량은 41.6%를 나타냈다. 참쌀식혜의 한계덱스트린과 밥알에 30unit/ml의 $\alpha$-아밀라아제, 글\ulcorner아밀라아제, $\alpha$-글루코시다아제, $\beta$-아밀라아제를 작용시킨 결과 글루코아밀라아제 외에는 일부밖에 가수분해하지 at하였다. 인체의 효소인 $\alpha$-아밀라아제와 $\alpha$-글루코시다아제를 함께 작용시킨 결과 한계덱스트린의 가수분해율은 18%, 밥알의 가수분해율은 26%를 나타냈다.

  • PDF

Cyclodextrin분해효소의 정제 및 그 특성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Cyclodextrin Hydrolase)

  • 김용휘;심규광;문영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1호
    • /
    • pp.79-86
    • /
    • 1990
  • Bacillus stearothermophilus KFCC 21203를 배양하여 cyclodextrin(CD)을 분해하는 효소를 분리, 정제하고 정제효소의 몇 가지 특성을 조사하였다. 배양액에서 얻은 조효소를 염석,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Ultro AcA 34 gel filtration등의 방법으로 15배 정제하였으며 회수율은 77.2%이었다. 정제효소의 specific activity는 12.30units/mg protein 이었고 분자량은 약 29,500정도였다. 이 효소의 작용최적 PH는 5.5, 작용최적온도는 $55^{\circ}C$였으며 $40^{\circ}C$이하의 온도와 pH $5.0{\sim}8.0$의 범위에서 안정하였고 ${\gamma}-CD$에 대한 Km치는 $3.78{\times}10^{-3}$ M이었다. 정제효소는 ${\beta}-CD$에 대한 활성이 매우 낮았고 ${\alpha}-CD$에는 거의 활성이 없었으나 ${\gamma}-CD$에는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의 분해산물로는 주로 glucose 및 maltose 그리고 소량의 maltotriose였다. 또한 amylose, potato starch, corn starch, amylopectin 및 maltooligomer등에는 높은 활성을, 그리고 glycogen, dextrin에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분해산물로는 주로 glucose와 maltose였다.

  • PDF

OSA-감자 덱스트린의 구조 및 유화 특성 연구 (Structural and emulsification properties of octenyl succinylated potato dextrin upon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 한유진;이순희;한정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8-13
    • /
    • 2017
  • 연구에서는 감자의 소비증진 및 식품산업에서의 활용가치 높이기 위해 OSA기를 도입한 감자덱스트린을 제조하고, 덱스트린의 구조 및 물리적 특성과 실제 마요네즈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호화개시온도는 초음파 처리한 시료와 산 가수분해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호화 엔탈피 값은 $70^{\circ}C$에서 초음파 처리한 시료에서만 유의적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페이스팅 점도특성은 초음파 처리 온도가 높아질수록 최고 점도는 감소하였으나, 산 처리 녹말에서는 오히려 최고점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감자녹말과 OSA-덱스트린 모두 B-타입의 결정도를 보였으나, 초음파 처리 온도가 높아질수록 상대적 결정도는 크게 감소하였고, 산 가수분해로 제조한 OSA-덱스트린의 경우 산 처리 시간에 따른 유의적 변화는 없었으나 $50^{\circ}C$에서 초음파 처리한 시료와 유사한 결정도를 보였다. OSA-녹말 또는 OSA-덱스트린의 유화안정성은 $70^{\circ}C$에서 1시간 초음파 처리하여 제조한 시료가 가장 높았고, 산 가수분해 덱스트린>$50^{\circ}C$에서 초음파 처리한 덱스트린= OSA녹말>$25^{\circ}C$에서 초음파 처리한 덱스트린의 순이었다. OSA-덱스트린을 노른자위의 75%대체하여 제조한 마요네즈의 관능적 특성결과 색이나 맛에서는 모든 시료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인 선호도에서는 노른자위첨가 마요네즈와 50 또는 $70^{\circ}C$에서 1시간 초음파 처리한 OSA-덱스트린 첨가 시료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OSA-녹말첨가 마요네즈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마요네즈의 유화안정성을 4주간 실험한 결과 1주 후에는 $70^{\circ}C$에서 초음파 처리한 덱스트린 첨가 마요네즈가, 2주 후부터는 1 시간 산 가수분해하여 제조한 덱스트린 첨가 마요네즈가 가장 높은 유화안정성을 보였으며, 2-4주까지는 노른자위첨가 마요네즈와 $70^{\circ}C$에서 초음파 처리한 OSA-덱스트린 첨가 마요네즈가 유사한 안정성을 보였다. 반면, $50^{\circ}C$에서 초음파 처리한 OSA-덱스트린 첨가 마요네즈의 안정성은 저장기간 내내 가장 낮았다. 본 실험결과 OSA-감자녹말을 초음파 및 산 처리에 의해 제조한 덱스트린은 OSA녹말보다 유화력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70^{\circ}C$에서 1시간 초음파 처리한 덱스트린의 경우 노른자위를 대체하여 마요네즈나 저지방, 저콜레스테롤 식품제조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자색고구마로부터 붉은 색소 농축물의 추출 및 그 색소 분말의 제조 특성 (Extraction of Natural Red Color Pigment Concentrate and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Pigment Powder from Purple-Fleshed Sweet Potato)

  • 구본순;송대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3-29
    • /
    • 2010
  • Pigment concentrates with violet-red color and sweet taste were obtained from purple-fleshed sweet potato(PFSP) using ethyl alcohol and water. Extract from general potato(GP) were used as a control. The relative stability of PFSP pigment concentrate(PFSPPC) in a storage test over 15 days was confirmed in the order of dark > fluorescence > sun-light irradiation. The relative stability of GP pigment concentrate(GPPC) in a storage test over 15 days was confirmed in the order of sun-light > fluorescence > dark storage. The RRP of PFSPPC was higher than that of GPPC, but the color strength of GPPC was 1/2 that of PFSPPC. Treatment of PFSPPC with aluminum potassium sulfate(0.2~0.3%, w/w) best improved its stability. The improved RRPs of PFSPPC were 45.16~47.31% in sun light irradiation, 55.91~60.22% in fluorescence irradiation, and 76.34~75.97% in dark storage conditions. In substituting aluminum potassium sulfate for chitosan, an amount of 0.2~0.3%(w/w) was suitable, giving similar results in improving pigment stability for all concentrates tested. Also, freeze-dried PFSPPC powder was manufactured as a substitute for dextrin, and also as a substitute for chitosan to the extent of 0.25%(w/w). The results of storage stabilite for freeze-dried PFSPPC and GPPC powder over 15 days, irradiation were, PRRs of 74.47~89.36% and 61.54~76.92%, respectively. The stability improving effect of freeze dried PFSPPC powder was confirmed by the results of storage experiments at various conditions. The use of freeze-dried PFSPPC powder was therefore confirmed to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general foods.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횐쥐의 장기능 및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digestible Dextrin on Bowel Function and Serum Lipid in Rats)

  • 왕수경;윤은영;임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60-567
    • /
    • 1996
  • 본 연구는 기능성 식이섬유음료의 섬유급원인 난소화성 덱스트린의 장기능 및 혈청내 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Drague-Dawley(평균 체중 819)의 흰쥐를 3군으로 나누어 control군으로 무섬유소 식이군(IC), 섬유소간의 비교를 위해 5% pectin군(IP), 5% 난소화성 덱스트린군(ID)으로 6주간 사육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식이 섭취량, 체중 증가량, 식이 효율은 식이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식이 섭취량이 높을수록 체중 증가량이 증가하였다. ID군이 식이 섭취량, 체중 증가량, 식이 효율이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각군간의 간, 비장, 콩팥의 무게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부고환 지방의 무게도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IP군이 가장 적었고 ID군도 IC군 보다 적은 경향을 보였다. 맹장의 무게는 섬유소를 섭취하지 않은 IC군 보다 ID군에서 유의적으로(p<.05) 무거웠으며, IP군도 IC군 보다는 무거운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장 무게와 길이도 ID군과 IP군이 IC군 보다 더 무겁고 긴 경향을 보였다. 배설된 변량은 ID군과 IP군이 IC군 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으며 , 장 통과시간은 IP군이 다른 군 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ID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혈청 중 총 지질,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모두 IC군에서 높아 pectin이나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고지혈증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변내 지방 함량은 IP군이 가장 많았고(p<.05), ID군도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IC군 보다는 많아서 지방의 흡수율이 IC군 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Ca의 흡수율은 IP군이 가장 낮았고(p<.05), ID군과 IC군과는 별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식이음료 중의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장 통과시간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전반적인 장기능을 증진시키고, Ca의 홉수를 방해하지 않고 지방의 흡수를 감소시켜 체내 지방대사에 다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s of Carbohydrate and Water Temperature on Nutrient and Energy Digestibility of Juvenile and Grower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Lee, Sang-Min;Pham, Minh-An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11호
    • /
    • pp.1615-1622
    • /
    • 2011
  • A factorial ($4{\times}2{\times}2$) experimental design was employed to determine apparent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DM), protein, lipid, energy and nitrogen-free extract (NFE) of the test diets containing either ${\alpha}$-potato starch (A-PS), ${\beta}$-potato starch (B-PS), ${\beta}$-corn starch (B-CS) or dextrin (DEX) as dietary carbohydrate energy for juvenile (average weight 30 g) and grower (average weight 300 g) rockfish reared at 13$^{\circ}C$ and 20$^{\circ}C$. Chromic oxide was used as an inert marker. Feces were collected by fecal collectors attached to rearing tanks from triplicate groups of juvenile and grower rockfish. Digestibilities of DM, energy and NFE of the test die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ary carbohydrate and water temperature (p<0.01), but not by fish size. DM digestibility of the fish fed the A-PS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other treatments, except for the DEX diet at 20$^{\circ}C$. DM digestibility of rockfish fed the B-CS die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ther diets. A similar pattern was observed in apparent digestibility of energy. NFE digestibility of fish fed the test diet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carbohydrate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to DM (r = 0.97, p<0.01) and energy (r = 0.99, p<0.01) digestibilities, regardless of water temperature and fish size. NFE digestibility of the fish fed the ${\beta}$-starch diets was relatively lower compared to that of the ${\alpha}$-starch diets, and ranged from 35 to 43% and 20 to 27% for B-PS and B-CS, respectively. The present findings indicate that carbohydrate and water temperature significantly affected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energy and nitrogen-free extract of rockfish. Among dietary carbohydrates, ${\alpha}$-potato starch could be effectively used as dietary carbohydrate energy for rockfish at 13$^{\circ}C$ and 20$^{\cir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