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ure discomfort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3초

Exploring the Relation of Smartphone Addiction and Musculoskeletal Pain in the Neck, Trunk, and Upper Limbs: A Cross-sectional Study

  • Yixin Wang;Ye-Jin Kim;Kyeong-Ah Moon;Joo-Hee Park;Hye-Seon Jeo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1-220
    • /
    • 2023
  • Background: Smartphone addiction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social problem. Numerous studies have indic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martphone use and discomfort in the musculoskeletal system of the upper extremities. Objects: This cross-sectional survey aim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musculoskeletal pain in the neck, trunk, and upper limbs between individuals with smartphone addiction and those without addiction. Methods: We collected a total of 326 healthy individuals' data from China and Korea who had owned and used smartphones for more than 5 years between 20-50s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84 questions in four major sections. The first part contained basic information on the participa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martphones. The second part contained questions about smartphone use and posture. The third part was the smartphone addiction. The fourth part was to investigate musculoskeletal pain in various upper body parts. Results: Smartphone addiction has a weak negative correlation with age (r = -0.20, p < 0.01) an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hours of smartphone use (r = 0.376, p < 0.01). Frequent musculoskeletal pain symptoms related to smartphone use were observed in the neck, shoulder, lower back, and wrists. The hours of smartphone use was sligh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pain in the shoulder (r = 0.162, p < 0.05) and lower back (r = 0.125, p < 0.05).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pain in the neck (χ2 = 3.993, p < 0.05), shoulder (χ2 = 6.465, p < 0.05), and wrist (χ2 = 4.645, p < 0.05)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females than male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smartphone addiction should be recognized as a dual concern encompassing both physical health and psychosocial aspects. Furthermore, healthcare professionals, including physicians and physical therapists, should consider clients' smartphone usage patterns when assessing and treating with musculoskeletal pain.

경부 자가 마사지 후 척수부신경병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턱관절균형요법 치험례 (A Patient with Spinal Accessory Neuropathy after Self Neck Massage Treated with TMJ Balancing Therapy: A Case Report)

  • 김하권;최정은;박상수;허왕정;류호룡;박미소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13권sup호
    • /
    • pp.27-33
    • /
    • 2023
  • 본 증례의 환자는 자가 경부 마사지로 인한 척수부신경병증으로 경추부 근력 불균형 및 그에 따른 피로를 호소하였다. 자가 마사지로 인한 일시적 신경 압박은 7일에 걸쳐 자연 회복되었으며, 턱관절균형요법을 통해 자세와 척추 구조의 균형점을 회복시켜 환자의 피로와 자세 불균형을 개선할 수 있었다.

  • PDF

진료자세가 고정성 국소의치의 지대치 삭제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operator's posture on the shape of prepared tooth surfaces for fixed partial denture)

  • 원인재;권긍록;배아란;최대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8-48
    • /
    • 2011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고정성 국소의치 제작을 위한 상악 좌측 제2소구치 및 제2대구치의 지대치 삭제에 대하여 인체공학적으로 안정된 진료 자세를 확립하고, 치과의사의 일반적 작업 자세와 비교, 분석하고 인체공학적으로 안정된 자세의 임상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 이를 이용하여 향후 치과의사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상악 좌측 고정성 국소의치를 위한 인체공학적으로 안정된 자세를 고안하고 임상 경력 3-6년의 보철과 전공의 과정에 있는 치과의사 8명을 선정하여 임의의 자세로 상악 좌측 고정성 부분의치 지대치 삭제를 시행하고 연구 대상자들에게 인체공학적으로 안정된 자세를 교육하고 연구 대상들에게 인체공학적으로 안정된 자세로 상악 좌측 고정성 국소의치 지대치 삭제를 시행하였다. 임의의 자세로 삭제 시행한 치아와 인체공학적으로 안정된 자세로 삭제 시행한 치아를 KHDP 3-dimensional measuring device를 사용하여 계측해 교합면 삭제량, 변연의 폭경, 변연의 깊이 축면 경사도. 그리고 삭제시간을 측정 비교하였다. 모든 계측된 결과를 윈도우즈용 SPSS 통계 프로그램 (ver. 18.0, SPSS,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교합면 삭제량, 변연의 폭 및 깊이, 축면 경사도, 치아 삭제 시간을 평균값 및 표준편차 분석하고 T-test를 Random Position 와 Home Position에 따른 차이 검정하였다. 결과: 와(fossa) 부위에서의 교합면 삭제량은 상악 좌측 제2소구치 및 제2대구치 모두에서 지시삭제량에 비해 적었으며, 교두정에서의 삭제량은 지시삭제량 1.7 mm에비해 많았으나, Random position과 Home position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P > .05). 변연 폭의 삭제량은 상악 좌측 제2소구치 및 제2대구치 모두에서 지시삭제량에 비해 많았으며, Random position과 Home position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P > .05). 변연 깊이의 삭제량은 상악 좌측 제2소구치 및 제2대구치 모두에서 Random position이 Home position에 비하여 지시삭제량보다 깊었다 (P < .05). 축면경사각은 상악 좌측 제2소구치 및 제2대구치 모두에서 Home position의 축면 경사각이 Random position의 축면경사각보다 작았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P > .05). 피어슨 상관분석 결과, Random position에서 교합면 삭제량, 변연 깊이, 축면경사각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있었으나, Home position에서는 측정결과 들이 거의 독립적으로 서로에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P < .05). Home position 삭제 횟수가 많아질수록 삭제소요 시간은 줄어들었고, 이는 실험에 참여한 8명 모두에서 Random position 삭제시간과 비슷해지거나 더 짧았다. 결론: 고정성 국소의치를 위한 상악 좌측 제2소구치 및 제2대구치 삭제의 경우, 교합면 삭제량, 변연의 폭, 변연의 깊이, 축면 경사각에 있어서 Home position과 Random position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삭제시간, 인접치 인접면 손상 정도는 Home position이 Random position보다 적었다. 또한 자세분석을 한 결과 Home position이 Random position에 비하여 곧은 자세로 인체에 무리를 주지 않았다. 따라서 인체공학적으로 안정된 자세인 Home position의 임상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시술자세가 치관 삭제면 형태에 미치는 영향 -상악 좌측 제 1 대구치의 전부 주조관- (The Influence of Home Position(H.P.) and Random Position(R.P.) on the Shape of Prepared Tooth Surfaces -Upper Left 1st Molar for Full Cast Crown-)

  • 이승정;최대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7권4호
    • /
    • pp.257-274
    • /
    • 2001
  • To properly prepare teeth, dentists require a direct view of the working area and are often placed in a difficult position, moreover, a high proportion of dentists suffer from headache and back pain. Dentists who make use of the dental mirror and position their patients carefully to gain a proper view report less headache, pain and discomfort in the shoulders. It is recommended that dentists learn the "Home Position(H.P.)" which among the various "Random Position(R.P.)" methods, enables dentists to approach their patients in a stable pos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ooth preparation in the H.P. and the R.P., and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the H.P.. Tooth preparation for a full cast crown was performed on the maxillary left 1st molar using the H.P. and the R.P., and the shapes of the prepared tooth surfaces at the two different operating positions were compared. The amount of occlusal reduction, marginal width, height, and axial taper were measured and analyzed. A T-test was performed separately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H.P. and the R.P. with respect to the accuracy of the corresponding tooth redu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mount of occlusal reduction was excessive on the mesiobuccal cusp(P<0.05), and deficient on the lingual cusp in the H.P.(P<0.01). In the R.P., this was excessive on the buccal cusp and deficient on the fossa and distolingual cusp(P<0.01). 2. The amounts of marginal width were excessive in all areas except on the lingual and mesial surfaces in the H.P. and lingual surface in the R.P.(P<0.01). 3. The marginal heights were achieved more accurately in the R.P. than the H.P.(P<0.01). 4. Axial surface taper was excessive in all areas in the H.P.(P<0.01). But the axial taper of measured areas was even, and tooth is more like to retain its original axis after reduction. In the R.P., axial surface taper was excessive on the mesial and buccal area, and deficient on the distolingual area(P<0.01), and therefore, the axis of the prepared teeth was tipped in the distolingual direction. 5. The times needed for preparation were 12 minutes and 49 seconds in the H.P., and 11 minutes and 35 seconds in the R.P., and the R.P. was statistically faster(P<0.01). The tooth preparation in the H.P. achieved its goal, in that it enabled the operator to make even tooth reduction. In conclusion, the H.P. system offers an improved method that can be used in clinic after specific training.

  • PDF

MRI 검사 시 음악요법을 동반한 의사소통이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Communication Accompanied with Music Therapy on the Anxiety of the Patients during the MRI Examination)

  • 윤용학;윤희정;이성국;김경희;권기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93-102
    • /
    • 2016
  • 본 연구는 MRI 검사 시 음악요법을 동반한 의사소통이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4년 2월 1일부터 2014년 3월 31일이며,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C병원에서 MRI 검사를 시행 받은 환자 중 연구에 동의한 6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실험군이 30명, 대조군이 30명이었다. 실험군에게는 MRI 검사 도중 음악요법을 동반은 의사소통을 제공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제공하지 않았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를 산술하고, 비교검증을 위해 t-test와 ANC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음악요법을 동반한 의사소통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 간의 불안점수는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p=.001), 활력징후 중에서는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심박수가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1). 신체적 불편감은 발한, 안면변화, 자세변화, 성음변화 등 4가지 항목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정서적 불편감은 어지러움을 제외한 공포감(p=.001)과 긴장감(p=.001)에서 실험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음악요법을 동반한 의사소통은 MIR검사 시 환자의 불안 감소 및 활력징후 유지, 불편감 감소에 유용한 대체요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인간공학을 적용한 손전등 디자인 연구 (Research and Application of Ergonomics in the Portable Flashlight Design)

  • 전호;강범규;김성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256-265
    • /
    • 2013
  • 경제와 기술의 발전으로 인류는 '상품이 곧 서비스'인 시대에 진입하였다. 아울러 상품의 혁신 속도가 점차 빨라지면서, 소비자의 상품에 대한 요구에도 변화가 생겼고, 그들은 제품 사용의 편리성, 편안함과 품질의 신뢰성, 안전성 등에 주목하고 있다. 즉 제품의 디자인과 개발에 있어 제품 디자인에서 말하는 '인간 친화적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어떻게 하면 제품 디자인에 인간 친화적 마인드를 구현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디자이너, 유저 그리고 생산자의 공통적 관심사로 떠오르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인간공학(ergonomics)의 원리를 바탕으로 일상생활 도구인 손전등에 대한 조사와 개발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현재 베이징에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손전등에 대한 표본조사를 진행하여, 손전등 제품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손전등 사용법 연구를 통해 손목의 불편함을 줄이고 사용 시부적당한 자세로 인한 신체적 무리를 줄일 수 있는 손전등의 곡선형 손잡이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중국인의 손바닥 길이와 넓이를 측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적당한 손전등의 길이와 넓이 범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손전등의 인간공학적 배려를 통하여 제품의 사용감을 개선한 연구로써 이와 유사한 다른 제품의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이론적인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Effects of Manual Intervention and Self-Corrective Exercise Models of the General Coordinative Manipulation on Balance Restoration of Spine and Extremities Joints

  • Moon, Sang Eun;Kim, Mi Hwa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73-58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manual intervention and self-corrective exercise models of general coordinative manipulation(GCM) on the balance restoration of spine & extremities joints with distortions and mal-alignment areas. The subjects were the members who visited GCM Musculoskeletal Prevent Exercise Center from March 1 2012 to December 31 2013 because of spine & extremities joints distortion and mal-alignments, poor posture, and body type correction. All subjects were diagnosed with the four types of the GBT diagnosis. And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the mobility vs stability types of the upper & lower body, they were classified into Group 1(40 persons) and Group 2(24 persons). For every other day for three times a week, GCM intervention models were applied to all subjects for four weeks, adding up to 12 times in total. Then the balance restoration effects were re-evaluated with the same meth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Balance restoration effects of VASdp(Visual analysis scale pain & discomfort) and ER(Equilibrium reaction: ER) came out higher in GCM body type(GBT) II III IV of Group 1. 2) In case of balance restoration effects in Moire and postural evaluation areas, Group 1 was higher and cervical and scapular girdle were higher in Group 2. The balance restoration of the four GBT types was significant in all regions(p<.05), and the scapular girdle came out as high in the order of GBTII IV I. 3) In case of thoracic-lumbar scoliosis and head rotation facial asymmetric cervical scoliosis ribcage forward, the balance restoration effects of the upper body postural evaluation areas came out the highest in Group 1 and Group 2, respectively. The balance restoration effects of the four GBT types were significant in all regions(p<.05), and came out the highest in lumbar scoliosis GBTIII I, ribcage forward and thoracic scoliosis GBTII IV. 4) The balance restoration effects of the lower body postural evaluation areas came out higher in Group 1 and Group 2 for pelvis girdle deviation patella high umbilicus tilt and hallux valgus foot longitudinal arch: FLA patella direction, respectively. The balance restoration effects of the four GBT types were significant in all regions(p<.05), and came out the highest in pelvis girdle deviation GBTIII I and patella high-direction GBTIV II I. 5) The balance restoration effects between the same GBT came out significant (p<.05) in all evaluation areas and item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as the manual intervention and self-corrective exercise models of the GCM about the mal-alignment of the spine & extremities joints across the whole body indicated high balance restoration effects(p<.05) in spine & extremities joints in all evaluation areas.

Evaluation of Postural Load during Liquid Weight Measurement Process Using Ratio of Exposure Time

  • Lee, Sung-Koon;Park, Peom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45-453
    • /
    • 2012
  •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prove that if the risk level in combined tasks was improved through evaluation of postural load of liquid weight measurement process, the workload level and ratio of exposure time would be changed, and the time of process would be seen concurrently. Background: According to results of epidemiological studies conducted by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122 musculoskeletal disorders occurred during 1992 to 2008, in which manufacturing industry covers 96(78.7%) of total. However, this is an insufficient level and only occupies 39% based on the South Korea's manufacturing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246 industries). Method: Firstly, the number of batches weighed on one day(460min)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work performed and Weight measured weekly. VCR recording was taken based on the level of liquid ingredients prescribed for 1batch using the Camcorder. After dividing a 356 sec video into 1 sec using the screen capture function in Gom player, the job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by analyzing the change of working postures, which revealed 148 working postures. Time measurement was decided by time of the postures was being maintained. Then, the REBA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working postures. The ratio of Exposure tim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measurement time and REBA Score. In addition, the recommendations were designed and implementation was carried out for the working postures with REBA Score higher than 3. Finally, after the intervention, REBA measurement, time measurement, and ratio of exposure time were calculated for the comparison of works before and after improvement. Results: The number of work elements was decreased by 30.4% from 148 to 103 after improvement. The results of time measurement showed that the time was reduced by 46.3% from 356 sec to 191 sec. And the ratio of exposure time was also improved by 52.1% from 0% to 52.1% after improvement. Conclusion: The reduction of time was foun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management. Furthermore, because the reduction of ratio of exposure time and the improvement of workload level are the improvement of discomfort, it w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worker's psychological working posture. Application: These results would contribute to musculoskeletal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Further studies for other industries would be needed based on this case study.

VDT 증후군의 환경적 요인과 증상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Symptoms of VDT Syndrome)

  • 정승희;이선영;어선미;김덕훈;이은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5-69
    • /
    • 2009
  • 목적: 최근 컴퓨터가 대량 보급되면서 VDT 증후군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VDT 증후군은 VDT 작업자들에게 나타나는 근골격계 질환, 신경정신계 장애, 눈의 긴장, 피로, 자극과 충혈 등 안과적 증상을 포함한다. VDT 증후군의 환경요인으로는 전자파, 컴퓨터 화면의 크기, 밝기, 조명, 모니터 및 작업대의 높낮이, 작업시간, 작업의 종류, 작업자와 스크린과의 거리, 실내습도 및 온도, 사무실내의 공기오염, 환기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거리 시각 작업으로 인한 VDT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주요 신체증상 및 신체 및 심리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적 요인을 조사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19세부터 28세사이의 남자 54명, 여자 66명으로 총 120명이었다. 책이나 문서 읽기, 컴퓨터 작업 등에 대한 근거리 작업을 할 때에 나타나는 신체적 증상과 육체적 불편함을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에는 근업작업에 따른 주요 신체 증상과 눈의 자각 증상, 작업환경에 대한 만족도, 키보드, 마우스 사용시의 손목 통증 경험 등을 포함하였다. 결과: 장시간 컴퓨터, 문서,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에 대부분(70%)이 신체적인 통증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부위는 주로 목과 허리(57.1%), 눈(45.2%), 두통(31%) 등이었다. 환경적 요인에서는 적절치 못한 조명으로 눈의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78.3%였다. 대부분의 증상은 '눈의 피로'(38.3%), '눈의 건조성'(31.9%), '눈의 흐릿함'(23.7%)이었다. 대상자들은 의자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하였고 키보드, 마우스 사용 때 손목의 통증은 대부분 경험하였다. 결론: 전자기기, 문서 등을 이용할 때 빛, 공간, 자세, 작업대 등의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이 조화롭지 못해 눈의 피로, 신체적인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문서작업을 할 때에는 휴식시간에 대한 자기관리와 같은 예방법을 개발하여 눈의 피로를 줄여야 할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해 최적의 시각적인 환경을 위한 인간공학적 디자인으로 작업환경을 바꾸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