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bereavement growth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노년기 사별 후 성장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ost-bereavement Growth Inventory in Later Life)

  • 장수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2호
    • /
    • pp.61-8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사별 후 성장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 및 기존 척도들을 참고로 문항을 개발하고,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 예비조사를 거쳐 척도의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배우자 사별노인 308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24개의 문항이 결정되었으며, 사별 후 성장척도의 5요인 구조가 도출되었다. 둘째,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비탄반응척도(HGRC: Hogan and Schmidt, 2001) 가운데 '개인적 성장'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별 후 성장과 HGRC 개인적 성장은 높은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공인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셋째, 대비집단 타당도 검증을 위해 심리적 안녕감척도(PWB: Ryff and Keyes, 1995)와 슬픔극복척도(GRI: Remondet and Hansson, 1987)의 상 하위 30% 집단 간에 사별 후 성장점수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제시되었다. 넷째, 사별 후 성장척도의 내적일치도는 .907(하위요인 .649~.856)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본 척도의 신뢰성을 입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사별 후 성장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특히 학력이 가장 강력한 예측요인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별 후 성장척도의 타당도는 높은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척도는 사회복지 및 임상분야 실천가들에게 사별자에 대한 성장지향적인 실천적 개입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개입 시 활용가능한 객관적인 평가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PDF

Frontal Alpha Asymmetry, Heart Rate Variability, and Positive Resources in Bereaved Family Members with Suicidal Ideation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 Jang, Kuk-In;Lee, Sangmin;Lee, Seung-Hwan;Chae, Jeong-Ho
    • Psychiatry investigation
    • /
    • 제15권12호
    • /
    • pp.1168-1173
    • /
    • 2018
  • Objective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bereavement with suicidal ideation was a critical mental health problem that was accompanied by various neuropsychological symptoms. This study examined the frontal alpha asymmetry (FAA),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several psychological symptoms in bereaved family members (BFM)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Methods Eighty-three BFM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were recruited. We assessed FAA, HRV,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cluding depression, post-traumatic stress, post-traumatic growth factor, anxiety, grief, and positive resources, between BFM with the presence and absence of current suicidal ideation. Results Compared to BFM without suicidal ideation, BFM with suicidal ideation showed a higher FAA with right dominanc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symptoms were observed between the groups. In BFM with suicidal ideation, the low: high frequency (LF:HF) ratio correlated with social resources and support. Conclusion The FAA and LF:HF ratio may be biomarkers that represent the pathological conditions of BFM with suicidal ideation. If researched further, they may shed light on the interaction between bereavement with suicidal ideation and social resource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