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itional accuracy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8초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with PET/CT

  • 조병철
    • 대한핵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핵의학회 2006년도 제30차 연수교육
    • /
    • pp.93-99
    • /
    • 2006
  • $\bullet$ PET/CT provides metabolic and anatomic information. $\bullet$ PET/CT provides accurate coregistered data for RT planning. $\bullet$ For RT, positional accuracy is important. $\bullet$ The role of PET in RTP is just began, more experiences are necessary.

  • PDF

XCAT를 이용한 실시간 종양 위치 추적을 위한 비직교 스테레오 엑스선 영상시스템에서의 위치 추정 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Non-orthogonal Two-pair kV Imaging Systems for Real-time Tumor Tracking Using XCAT)

  • 정한성;김영주;오오성;이세호;전호상;이승욱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6권3호
    • /
    • pp.143-15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치료빔 가속기가 사용되는 구조에서 종양 위치 추적을 하는 두 쌍의 kV 영상시스템의 기하학적 설계 및 종양 위치 추적 정확도 분석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병변의 위치추적을 위한 수식 및 알고리즘을 수립하였고, 두 쌍의 kV 영상 시스템이 비직교 위치에 놓일 때 검출기 해상도가 종양 위치 추적 오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모의실험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병변의 위치추적을 위한 수식 및 알고리즘을 수립하기 위해서 각 엑스선원, 검출기 등의 절대좌표는 동차방정식을 이용하여 설정하였으며, 삼차원 상의 두 직선의 방정식을 통하여 병변의 절대위치를 찾아내도록 하였다. XCAT 프로그램을 이용한 모의실험을 통해서 영상 검출기의 해상도가 미치는 영향을 두 개의 kV 영상시스템의 각도에 따라서 분석하여보았다. XCAT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서 팬텀에 병변 추적을 위한 금속 기점 마커를 삽입하였고, CT project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kV 영상시스템의 각도별, 검출기의 해상도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모의실험 결과, 두 kV영상시스템의 각도가 $90^{\circ}$에서 $50^{\circ}$까지는 검출기 해상도가 1.5 mm/pixel보다 고해상도 일 때 약 1 mm 이하의 위치 오차를 보였다. 하지만, 검출기의 해상도가 1.5 mm/pixel 이상으로 나빠질수록 오차가 약 1 mm 이상으로 나타날 뿐만 아니라 각도에 따른 오차의 변동이 컸다. 검출기의 해상도가 개선될 수록 그 각도별 오차의 변동이 줄어들고, $90^{\circ}$에서 가장 적은 오차가 발생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충분한 해상도의 검출기가 사용된다면 듀얼헤드 겐트리 시스템과 같이 공간적으로 제한된 방사선 치료기기에 두 개의 kV 영상시스템을 예각으로 설치하여도 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의실험 방법론은 병변의 위치, 검출기의 특성, kV 영상 시스템의 기하학적 배치에 따른 종양추적 위치 추적시스템의 정확도를 분석하는 도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가기본도 수치지도제작 과정에서 입출력장비에 따른 위치정확도 분석 (The Analysis of Positional Accuracy with Input/Output Instruments in Digital Mapping of National Base Map)

  • 이현직;손덕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91-297
    • /
    • 1998
  • 일반적으로 수치지도제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종이에 인쇄된 원도를 컴퓨터상에서 작업할 수 있는 수치자료로 변환하는 자료입력과정과 작업이 끝난 자료를 출력하는 도면출력과정에 입출력장비가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도 작업과정에 수반되는 입력장비중 벡터형태의 자료를 직접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장점에 의해 부분 도화된 수정도화 원도의 입력시 주로 이용되는 디지타이저와, 작업의 용이성 에 의해 주로 원도의 입력과정에 이용되는 스캐너에 대해 작업방법 및 입출력장비 특성에 따른 위치오차를 분석하였으며, 출력장비에 따른 위치오차분석에서는 플로터방식과 출력도면의 재질에 따른 위치정확도를 분석하였다.

  • PDF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수치정사사진의 제작 (Digital Orthophoto Generation from LIDAR Data)

  • 김형태;심용운;박승룡;김용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7-14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스캐닝 데이터의 일종인 LIDAR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치정사사진 제작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LIDAR를 이용하여 얻은 XYZ 절점자료(point data)로부터 TIN(Triangular Irregular Network)을 형성한 후. 이로부터 DSM(Digital Surface Model) 을 제작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수치정사사진의 품질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절단선(break line)에서의 노이즈가 DSM에서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절단선에서의 노이즈를 처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건물을 추출하여 저지대(低地帶)에 대한 LIDAR DEM과 합성하는 기법이 가장 적절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이렇게 제작된 LIDAR DSM으로 수치정사사진을 제작하고 품질을 평가해 본 결과 도화축척 1:5,000보다 높은 위치정확도를 지닌 수치정사사진의 제작이 가능하였다.

Accuracy Improvement of Low Cost GPS/INS Integration System for Digital Photologging System

  • Kim, Byung-Guk;Kwon, Jay-Hyoun;Lee, Jong-Ki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2권2호
    • /
    • pp.99-105
    • /
    • 2002
  • The accuracy of the Digital Photologging System, design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oad Facility Database, highly depends on the positions and attitudes of the cameras from GPS/INS integration.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of a loosely coupled GPS/INS is presented.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is verified through a simulation as well as a real test data processing. Since the IMU used in this study shows large systematic errors, the possible accuracy of the positions and attitudes of this low-performance IMU when combined with precise GPS positions are assigned. Currently, the integrated system shows the positional accuracy better than 5cm in real data processing. Although the accuracy of attitude based on real test could not be assigned at this time, it is expected that better than 0.5 degrees and 1.8 degrees for horizontal and down component are achievable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

  • PDF

SimMechanics를 이용한 4축 과구동 스테이지의 모델링 (Modeling of a 4-axis redundant stage by using SimMechanics)

  • 이진영;박원준;원종진;정재일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A
    • /
    • pp.827-831
    • /
    • 2008
  • In this paper, kinematic analysis for a planar 3-DOF redundant stage which has four actuators is presented by using SimMechanics software package. SimMechanics is a block sets of the Matlab/Simulink package. The SimMechanics enables a simplified model for a complex kinematic mechanism, since kinematic relationship between joints and linkages for the kinematic chains are expressed as line vectors and block diagrams. Here, positional error and limit values of movement ranges of the stage are evaluated by using the SimMechanics. The validity of the kinematic characteristics model was compared with theoretical kinematic analyses for the 3-DOF stage.

  • PDF

분산 공간데이타베이스의 위치 불일치 해결을 위한 공간질의영역 변형 (Transformation of Spatial Query Region for Resolving Mismatchs in Distributed Spatial Databases)

  • 황정래;강혜영;이기준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1권4호
    • /
    • pp.362-372
    • /
    • 2004
  • 분산 지리정보시스템을 구현하는데 가장 어려운 점 중의 하나는 공간데이타베이스의 불일치이다. 특히,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하는 분산 공간 데이타베이스 사이의 위치 불일치는 공간 질의의 결과를 부정확하게 만든다. 하나의 간단한 해결책은 가장 중요한 사이트에 따라 각 사이트의 공간데이타베이스에 있는 위치 데이타를 보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각 사이트의 자율성이 중시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실용적이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 데이타가 불일치하는 여러 개의 공간데이타베이스에 대하여 공간질의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각 지역 공간데이타베이스를 수정하지 않고 자율성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공간질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탄성변형방법을 이용하면서, 각 질의의 위치를 동적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기초하고 있다. 이 방법의 정확성은 수학적으로 증명이 되었으며, 실험으로도 확인하였다. 더욱이, 이 방법의 유용성 검증을 위하여 상용 데이타베이스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무인항공사진측량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3차원 공간정보 생성 및 비교 (Generation and Comparison of 3-Dimensional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Photogrammetry Software)

  • 양승룡;이학술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427-439
    • /
    • 2019
  • 연구목적: 다양한 목적으로 생성되는 무인비행체 기반의 공간정보를 서로 다른 SW로 생성하고, 정사영상 및 DSM의 위치정확도 분석과 3D mesh의 텍스처 매핑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서로 다른 두 개의 SW를 이용하여 동일한 무인항공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공간정보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공간정보 중 정사영상과 DSM은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 오차의 RMSE를 계산함으로써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고, 정성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무인항공사진측량 SW의 공간정보 생성 결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각각의 SW로 생성된 정사영상 및 DSM의 위치정확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3D mesh의 텍스쳐 매핑에서 차이를 보였다. 3D mesh의 생성에는 무인항공사진측량 SW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무인비행체 기반의 공간분석을 위한 정사영상, DSM의 생성에는 SW에 따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3D 가시화를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SW에 따라 텍스처 매핑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해상도 위성영상 무기준점 기반 다중영상 센서 모델링 (Multi-Image RPCs Sensor Modeling of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Without GCPs)

  • 오재홍;이창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33-540
    • /
    • 2021
  • 고해상도 위성영상은 극지 내륙 지역과 같이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대해서도 공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탁월한 접근성을 가진다. 고해상도 위성영상으로부터 도출되는 공간정보의 위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준점을 활용하는데, 이러한 접근 불가 지역에 대해서는 기준점 획득이 쉽지 않기 때문에 여러 보조 데이터를 쓰기도 하나, 그러한 보조 데이터 마저 획득이 어려운 지역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완전한 무기준점 기반으로 위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멀티 영상의 번들조정을 기반으로 정확도 향상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멀티 영상 조정을 위해 영상 간의 매칭점를 추출하여 활용하였고, 개별 영상 또는 스테레오 영상의 조정이 아닌 전체 영상의 통합 센서 모델링을 구현하여 정확도 향상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으로 아리랑 3A 영상을 활용하였으며, 실험결과 RMSE (Root Mean Square Error) 오차의 현격한 향상은 도출하기 어려웠으나, 최대오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표고 방향으로의 과대오차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선형 대상지에 대한 저가의 무인항공기 사진측량 정확도 평가 (Accuracy Analysis of Low-cost UAV Photogrammetry for Corridor Mapping)

  • 오재홍;장영재;이창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65-572
    • /
    • 2018
  • 최근 들어 운용비용이 저렴하고 신속한 데이터 획득 및 처리가 가능한 무인항공기(드론)를 이용한 측량 및 지도 제작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활용도는 지형 변화분석, 시설물 모니터링, 농업, 임업 등 여러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드론의 높은 활용도의 바탕에는 높은 공간 정확도의 획득이 가능하다는데 있으며, 관련하여 드론 기반 공간 정확도의 평가 결과가 여러 연구를 통해 보고되었다. 대부분의 연구는 잘 분포된 지상기준점을 활용하여 획득 가능한 정확도를 분석한 경우이며, 부분적으로 기준점의 개수의 변화에 따른 정확성을 평가한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관로, 철도 등 선형 대상지에 드론을 이용한 측량을 수행할 경우 획득 가능한 공간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준점 배치를 여러 조합으로 나누어 정확성을 평가 해보았다. 선형 대상지를 따라 기준점의 편위 및 밀도에 따른 정확성을 평가하였고, 추가적으로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의 영향, 횡중복 스트립 개수에 따른 정확성 또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기준점의 밀도에 비해 기준점 배치의 편위가 정확성에 더 큰 악영향을 주었으며, 미리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고 사용하는 것이 현장 셀프 캘리브레이션에 비해 기준점의 배치나 개수가 충분치 못한 경우에 오차를 줄일 수 있었다. 또한, 선형 방향으로의 스트립 수를 늘리는 것은 정확도 향상에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