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tal blood flow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2초

문맥 고혈압 흰쥐에 있어서 내장혈관의 아드레나린성 수용체의 기능변동과 이에 대한 Propranolol의 효과 (Altered Functions of Adrenoceptors in Splanchnic Vascular Beds in Portal Hypertensive Rat Model: Effect of Propranolol)

  • 김치대;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3-70
    • /
    • 1988
  • 문맥 고혈압 동물에서 내장장기의 혈류역동학적 변동으로서 문맥압의 증가와 동반하여 장간의 혈류량 증가와 혈관저항의 감소뿐만 아니라 전신 혈관저항의 감소가 특징적으로 야기된다. 문맥고혈압에 있어서 propranolol이 beta 1과 beta 2 수용체의 봉쇄작용으로 문맥고혈압을 저하시킨다는 점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본 실험에서는 흰쥐에서 문맥을 부분적으로 결찰하여 문맥고혈압을 야기하고 10일 후에 내장장기의 혈류역동학적 변동과 혈관 수축성 약물에 대한 반응성의 변동을 관찰하였다. 동시에 이에 대한 propranolol의 효과도 검토하였다. 문맥 결찰 후에는 비 펄프압의 증가와 동반하여 내장장기의 혈류량과 모세혈관압 증가가 야기되었고 동시에 모세혈관 전 저항(Ra)과 모세혈관 후 저항(Rv)은 저하되었다. Noradrenaline에 대한 Rv의 증가반응, adrenaline에 대한 Ra와 Rv의 증가반응, 및 phenylephrine에 대한 상장간막 동맥압, Ra및 Rv의 증가반응이 특징적으로 문맥결찰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약화되었다. Propranolol 처치군(PPL-3)에서 장간막 혈류량의 감소가 초래되었고, 문맥결찰군에서 저하된 Ra와 Rv가 propranolol투여로 대조군 수치로 회복되 었다. 이러한 성적의 결과로 문맥 결찰에 의하여 장간막 혈류량 증가와 동반된 Ra와 Rv의 저하는 비 펄프압 증가로 야기된 것으로 추측되며 내장장기 혈류역동학적 및 혈관 반응도의 변동은 장기적인 propranolol 처치로 효과있게 교정되는 점으로 미루어 내장장기의 과혈류역동은 내장장기 혈관의 아드레나린성 수용체의 기능변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사료되었다.

  • PDF

노화에 따른 위장관 기능의 변화 (Aging and Gasroenterrogi Changes)

  • 조우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19-230
    • /
    • 1993
  •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changes In gastrointestinal function attributed to aging In human. The thresholds for recognition and detection of flavors became elevated and salivary gland acinar cells decreased in the old age. But most esophageal function remained relatively Intact. Although gastric emptying time has been slowed with aging, the total intestinal transit time did not differ. Atropic gastritis due to H. pylori in old man decreased secretion of acid and Intrinsic factor and absorbability of calcium and iron. Pancreatic secretion is droned in older persons. Prevalence of gallstones rised with age. Liver size and portal blood flow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Mucosal surface area has been reported to be slightly diminished in the aging man. Glucose transporters decreased and Insulin tolerance Increased. Absorption of aromatic amino acid is diminished with age. Dietary protein In that aging human increased fecal nitrogen excretion. Vitamin A tolerance increased. Vitamin D receptor concentration decreased and resistance to 1,25-(OH)2D3 action increased. Permeability of aging small Intestine Increased. Zinc balance dirt not differ Copper absorption appeared not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age. Neurotensin secretion decreased thus slowed colonic peristaltic movements and Intestinal mucosal growth.

  • PDF

산화 질소 억제제가 문맥 고혈압 쥐의 혈역학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itric Oxide Inhibitor on Hyperdynamic Circulation in Portal Hypertensive Rats)

  • 김필영;장병익;김태년;정문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181-192
    • /
    • 1999
  • 만성 문맥압 항진증에서 관찰되는 과혈류 순환과 말초혈관 이완에 대한 산화질소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실험동물은 수컷 흰쥐를 이용하여 문맥을 부분결찰하여 문맥 고혈압을 유발시킨 군과 겉보기 수술만을 시행한 대조군으로 구분하고 문맥 고혈압군은 문맥 부분 결찰후 부터 혈역학 측정 전까지 식수를 경구 투여한 식수 투여군과 산화질소 억제제인 $N^{\omega}$-Nitro-L-Arginine(1mg/kg/day)를 경구 투여한 NNA 투여군으로 나누었다. 혈역학적 측정은 수술 2주 후에 시행하였고 $^{51}Cr$$^{57}Co$-labeled microspheres를 이용하여 심박출량, 조직 혈류량, 문맥-전신 단락률, 문맥압, 말초혈관 저항 내장혈관 저항 등을 측정하였다. 평균 동맥압은 대조군 $129.3{\pm}9.6mmHg$, 식수 투여군은 $111.3{\pm}5.5mmHg$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고, NNA 투여군은 $128.7{\pm}19.8mmHg$로 식수 투여군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다. 심박출량은 대조군의 $105.2{\pm}6.5ml/min$에 비해 식수 투여군에서 $144.2{\pm}17.9ml/min$로 증가되었으며, NNA 투여군은 $89.9{\pm}14.4ml/min$로 식수 투여군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다. 전말초 저항은 식수 투여군에서 $6.0{\pm}0.9dyne/sec/cm^5{\times}10^5$로 대조군의 $9.5{\pm}0.8dyne/sec/cm^5{\times}10^5$에 비해 감소되었고, NNA 투여군은 $11.2{\pm}2.1dyne/sec/cm^5{\times}10^5$로 식수 투여군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다. 문맥으로 유입되는 혈류량은 대조군 $16.61{\pm}5.03ml/min$, 식수 투여군은 $29.66{\pm}4.27ml/min$로 식수 투여군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며, NNA 투여군은 $11.43{\pm}2.24ml/min$로 식수 투여군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다. 내장혈관 저항은 식수 투여군에서 $2.59{\pm}0.44dyne/sec/cm^5{\times}10^5$로 대조군의 $6.61{\pm}3.08$dyne/sec/$cm^5{\times}10^5$에 비해 감소되었으며, NNA 투여군은 $8.09{\pm}2.04$dyne/sec/$cm^5{\times}10^5$로 식수 투여군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다. 문맥-전선 단락율은 대조군의 $1.35{\pm}0.42%$ 에 비해 식수 투여군은 $95.42{\pm}2.73%$로 증가되었으며, NNA 투여군은 $73.36{\pm}17.67%$로 식수 투여군보다 감소되어 있었다. 문맥압은 대조군 $7.94{\pm}1.29mmHg$, 식수 투여군 $17.16{\pm}3.17mmHg$, NNA 투여군은 $16.67{\pm}2.24mmHg$로 대조군에 비해 식수 투여군과 NNA 투여군에서 증가되었으나, 양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문맥 저항은 NNA 투여군에서 $12.23{\pm}3.93dyne/sec/cm^5{\times}10^5$로 식수 투여군의 $4.74{\pm}1.20yne/sec/cm^5{\times}10^5$에 비해 증가되었다. 결론적으로 문맥의 부분결찰로 유도된 만성 문맥압 항진 쥐에서 산화질소 합성 억제제인 NNA를 투여할 경우 문맥압의 변화 없이 동맥압의 증가, 심박출량의 감소, 내장 및 전신 혈관 저항의 증가 등이 유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해 볼 때 만성 문맥압 항진증시 관찰되는 과혈류 순환의 형성에 산화질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s of Dietary Rna and Adenine on Feed Intake and Kidney Weight and Function in Adult Cockerels

  • Kubota, T.;Karasawa, Yutak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0권3호
    • /
    • pp.260-264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dult cockerels to determine whether dietary RNA affects feed intake and renal weight and function, and if the responses are similar to dietary adenine. Chickens were ad libitum fed a RNA diet (100 g/kg) or an adenine diet (9.1 g/kg) for 14 d and catheterized in right jugular vein, hepatic portal vein and both urethers, and saline together with para-amino hippuric acid and sodium thiosulfate was continuously infused into them to evaluate renal functions. Dietary RNA reduced feed intake and body weight, and dietary adenine increased kidney weight expressed as a proportion of body weight (P < 0.05). Feed intake and body weight on the adenine diet and kidney weight on the RNA diet showed similar though non significant tendencies. No calculi were detected in the kidney in chickens fed either the RNA or adenine diets. Plasma inorganic phosphate (IP), Ca and 1,25 $(OH)_2$ vitamin $D_3$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by dietary RNA and adenine, although the increases of IP and Ca in adenine-fed chickens were not significant. Uric acid and urea concentrations in the blood plasma were unaffected by dietary RNA or adenine. Both dietary RNA and adenine increased renal blood flow rates 3.5-3.7 fold, renal plasma flow rates 3.4-3.7 fold and glomerular filtration rates (GFR) 2.9-3.0 fold (p < 0.01). Clearance of urea, IP and Ca were also enhanced by dietary RNA, but not by dietary adenine. However, neither RNA nor adenine affected uric acid clearance. Only IP clearance was significantly augmented at the glomerular level by dietary RNA (p < 0.05). Glomerular filtration of uric acid, urea, IP and Ca and reabsorption of urea, IP and Ca at the renal tubule were increased by dietary RNA and adenine (p < 0.05), whereas tubular secretion of uric acid was decreased by both dietary treatments. It is concluded that dietary adenine is effective in changing renal function and P and Ca metabolism in chickens.

$^{99m}Tc-DISIDA$를 이용한 간 혈류 중 동맥 분획의 측정 (Estimation of the Arterial Fraction of Total Hepatic Flow from Radionuclide Angiogram Using $^{99m}Tc-DISIDA$)

  • 이해규;임계연;양일권;김학희;임정익;박용휘;한석원;한남익;이영석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0-206
    • /
    • 1991
  • Arterial fraction of total hepatic blood flow was estimated by a new method, slope method, on radionuclid angiogram using $^{99m}Tc-DISIDA$ and was compared with that from $^{99m}Tc-Phytate$ radionuclide angiogram. This study included 11 of normal subjects, 37 of intermediate group with various liver diseases, and 25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We analyzed the datas with slope method from radionuclide angiogram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hepatic arterial fractions from uptake method, introduced by Lee et al. at 1986. The hepatic arterial fractions from radionuclide angiograms using $^{99m}Tc-DISIDA$ and $^{99m}Tc-Phytate$ were $0.32{\pm}0.09\;and\;0.31{\pm}0.11$ respectively in normal subjects, and $0.75{\pm}0.18\;and\;0.77{\pm}0.21$ respectively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The hepatic arterial fractions by the slope method was well correlated with those of the uptake method on $^{99m}Tc-DISIDA$ scan.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hepatic arterial fractions from $^{99m}Tc-DISIDA$ and $^{99m}Tc-Phytate$ scans. Hepatic arterial fraction estimated by the slope method is a useful index for the diagnosis of liver cirrhosis and the evaluation of status of portal hypertension.

  • PDF

$^{99m}Tc$-HMPAO 뇌혈류 SPECT 검사 시 환자에 따른 뇌조직 추출률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Extraction Rate of Brain Tissues from a $^{99m}Tc$-HMPAO Cerebral Blood flow SPECT Examination of a Patient)

  • 김화산;이동호;안병필;김현기;정진영;이형남;김정호
    • 핵의학기술
    • /
    • 제16권1호
    • /
    • pp.17-26
    • /
    • 2012
  • [목적] 본 연구는 화학적으로 안정된 $^{99m}Tc$-HMPAO (d, l-hexamethylpropylene amine oxime) 방사성 의약품을 사용한 환자 가운데 뇌조직 추출률이 떨어져 영상의 질이 저하되었던 환자를 대상으로 $^{99m}Tc$-HMPAO 방사성 의약품 외의 요인으로 뇌조직 추출률에 변화가 일어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대뇌경색(Cerebral infarction, CI)에 의한 $^{99m}Tc$-HMPAO 뇌혈류 SPECT 검사를 시행한 환자 272명 가운데 뇌조직 추출률이 떨어졌던 환자 23명(연령 $55.3{\pm}9$세, 남 21명, 여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는 정상 뇌조직 추출률을 보인 환자와 검사를 동시에 진행하여 같은 $^{99m}Tc$-HMPAO 방사성의약품을 사용함으로써 화학적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대상환자의 연령, 성별, 혈압, 당뇨 수치, 검사 시 사용 약물, 검사시 환자상태, 과거 검사 시 CT/MRI 조영제 부작용 이력, 과거 SPECT 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전과 후 검사 영상을 비교하여 뇌조직 추출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의 결과, 성별 및 전, 후 검사 영상을 제외한 6가지 사항에서는 특이한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p$>0.05). 남성 91.3%, 여성 8.7%로 남성이 여성보다 뇌조직 추출률이 떨어졌다고 보인다. 비모수 검증을 이용한 전과 후 검사 영상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결과적으로 전과 후 검사 영상에서 비슷한 뇌조직 추출률을 나타냈으며 환자 개인에 따라 뇌조직 추출률에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화학적으로 안정된 $^{99m}Tc$-HMPAO 방사성 의약품의 사용도 환자의 개인적인 특성 및 체질에 따라서 뇌조직 추출률이 떨어지는 유의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앞선 $^{99m}Tc$-HMPAO 뇌혈류 SPECT 관련 논문을 참고할 때 뇌혈관 질환 중 측부 순환로에 의한 요인이 추측되지만, 환자에 따라 뇌조직 추출률이 떨어지는 정확한 요인은 알 수 없었다. 그러나 $^{99m}Tc$-HMPAO SPECT 검사가 뇌질환에 따른 경과 추적에 유용한 검사이며 추적 검사 시 뇌조직 추출률이 떨어지는 환자에 대한 정보를 검사에 반영하여 정확한 검사와 판독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18}F-FDG$ PET/CT 에서 발견된 S상 결장암의 단일 비장 전이 (Isolated Splenic Metastasis of Sigmoid Colon Cancer Detected by $^{18}F-FDG$ PET/CT)

  • 안영실;윤준기;홍선표;최봉회;조철우;윤석남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3호
    • /
    • pp.263-264
    • /
    • 2007
  • Splenic metastasis from colon carcinoma are rare and usually occur in the presence of disseminated visceral metastasis. The liver is the most common site of metastatic spread from colon cancer. Several hypotheses have attempted to explain the low incidence of splenic metastasis. It should be difficult for colorectal cancer cells to reach the spleen through the portal venous system, in which the blood flow is usually from the spleen to the liver. Reticuloendothelial system or rhythmic contraction of the spleen may squeeze out the tumor in the spleen. The absence of afferent lymphatic to the spleen, phagocytic activity and humoral anticancer substances are considered to be other reason for low incidence of splenic metastasis. We report the case of $^{18}F-FDG$ PET/CT finding in a 70-year-old woman who develop isolated splenic metastasis of sigmoid colon cancer.

림프세포증식성 질환에서 효과를 보인 부분적 비동맥 색전술 1례 (Successful Treatment with Partial Splenic Embolization in a Case of Post-transplantations Lymphoproliferative Disease with Persistent Hypersplenism)

  • 김미진;노영일;양은석;문경래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7권1호
    • /
    • pp.92-97
    • /
    • 2004
  • 저자들은 간 이식 후 지속적 비기능 항진에 발생된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림프세포증식성질환의 6세된 남아에서 부분적 비동맥 색전술을 치료의 한 방법으로 선택하였다. 비기능항진의 억제 효과로 면역력 증강을 통해 혈액학적 호전을 유도하고자 하였으며 치료 후 PTLD의 호전을 보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랫트에 있어서 페노바르비탈 전처리가 딜티아젬의 생체내 동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henobarbital Pretreatment on the Pharmacokinetics of Diltiazem in Rats)

  • 이용복;고익배;이민화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2권3호
    • /
    • pp.219-227
    • /
    • 1992
  • The influence of phenobarbital (PB) pretreatment (75 mg/kg/day, i.p. for 4 days) on the pharmacokinetics of diltiazem (DTZ) and its metabolite, desacetyldiltiazem (DAD), was investigated in rats. DTZ was injected via femoral (3 mg/kg) or portal (10 mg/kg) vein to the control and PB-pretreated rats. DAD was also injected separately via femoral (3 mg/kg) vein to both groups of rats. The intrinsic hepatic plasma clearance of DTZ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creased (6.8-fold) by the PB pretreatment. However, the fraction of an intravenous DTZ dose converted to DAD $(F_mi)$ was only slightly (6%) increased and calculated metabolic rate constant of DTZ to DAD was not affected by the pretreatment. On the other hand, plasma free fraction of DTZ was increased (1.8-fold) from $4.24{\pm}0.25%$ to $7.45{\pm}0.54%$ by the pretreatment. However, the l.8-fold increase in the free fraction of DTZ would not explain the 6.8-fold increase in the hepatic intrinsic clearance of DTZ. Therefore, the increase in either the hepatic blood flow or the metabolism other than to DAD was expected as the probable mechanism(s) of the increased hepatic clearance of DTZ. Sequential metabolism of DAD to further metabolites, however, would be a more potential cause of the apparently unchanged metabolism of DTZ to DAD by the PB-pretreat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