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t area

검색결과 1,335건 처리시간 0.023초

인천항의 동북아시아 및 수도권물류 복합화 네트워크화 중심지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trategy for Building Inchon Port as Hub for the Centralization of Logistics Integration and Network Building in the Region of Northern-East Asia and the Seoul Capital City Area)

  • 서문성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1-311
    • /
    • 2011
  • 항만의 기능은 갈수록 다기능 복합화 되어가고 있으며 네트워크 중심지화 되어 가고 있다. 최근의 항만은 배후지 산업이 중요하고 글로벌 물류센터로서의 역할과 주요 산업의 부품 공급 기지로서 기능이 커지고 있고, 금융 중심지 역할도 커지고 있으며, 세계주요 은행의 집적화 기능, 24시간 활용성 있는 첨단 통신 네트워크가 뒷받침 되는 비즈니스를 가능하게하며 문화와 관광명소로서의 기능도 갖춰줘야 된다. 인천항은 이러한 여러 배후 산업 기반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 활용하고 산업의 지역혁신 체계구축과 수도권 지역의 각 산업의 지원과 발전을 위해서 인천항의 동아시아 및 수도권 물류 복합화, 네트워크화 중심지 전략이 필요하다. 서해안 벨트 및 동해안, 남해안 후발 항만의 도약은 인천항 입장에서는 분명히 위협 요인이며, 수도권 물류의 인천항 유도는 필요요인이고,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물동량 증가는 인천 항의 기회 강화 요인이나 인천항은 항만경쟁의 특성상 현재의 인천항의 제반 어려운 여건을 극복하고 한시적인 기간 안에 추구 할 수밖에 없다.

LA/LB항과 부산항의 저탄소 항만운영에 관한 비교연구 - 비용부담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Low-Carbon Port Management of Busan and LA/LB - On the Basis of Port Management Cost -)

  • 조동오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23-228
    • /
    • 2010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그동안 관심이 적었던 항만으로부터의 탄소배출량이 상당량에 이르고 이의 억제를 위한 노력이 LA/LB(Los Angeles/Long Beach)항만을 중심으로 선진항만에서 전개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 Green Port 전략의 일환으로 부산항에서 저탄소 항만운영정책이 강화되고 있다. 저탄소 항만운영은 단기적으로 항만비용을 증가시켜 가격경쟁력을 약화시킨다. 따라서 부산항의 경우 저탄소 항만운영으로 인한 비용을 항만이용자에게 부담시키지 않고 항만당국이 저탄소를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반면 LA/LB의 경우 저탄소 항만운영의 비용을 선주 및 화주 등 항만이용자에게 부담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과 LA/LB항의 저탄소 항만운영에 관한 비교분석을 통해 부산항의 지속가능한 항만운영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상하이항의 컨테이너 터미널 현황 분석 (Analysis on Status about Container Terminal of ShangHai Port)

  • 현혜영;노창균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77-81
    • /
    • 2004
  • 동북아 지역은 수 십년 동안의 발전으로 세계 경제무역의 핵심지역이 됐다. 그러므로 동아시아 지역의 컨테이너 물동량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 지역의 항만발전에 따라 각 국은 국제 해운 중심지를 앞 다투면서 노력하고 있다. 상하이와 직접적으로 경쟁할 수 있는 항만은 부산, 고베, 카오슝 등 3개 항만이다. 본 논문 중에서는 이상 3개 항만과 상하이항의 현황을 소개했다. 그 중에서도 상하이항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4개항만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시설에 대해 비교분석을 했다. 마지막에는 상하이항의 구축에 대한 몇 가지 구체적인 조치에 대해 논의를 했다.

  • PDF

Measurement of Port Service Quality in Container Transport Logistics Using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A Case of Busan Port

  • Ha, Min-Ho;Ahn, Ki-Myung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53-358
    • /
    • 2017
  •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assessment tool of port service quality (PSQ) in the context of container transport logistics (CTLs), by taking the perspectives from port users. The CTLs defined in this study are the relevant activities of serving the physical flows of a container box from a point of origin via a container port to a point of destination. To address the ports' role in collaboration between its channel members in CTLs, the PSQ measures for all port user groups (i.e. common PSQ measures) are selected based on the relevant CTLs activities involved by port, and its users within terminal/port area as well as throughout the CTLs chain.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is applied as a diagnostic tool to analyse the status quo of Busan Port in CTLs contexts, by compar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IP ) scores against each individual CTLs criterion. The findings from the IPA reveal that port managers and policy makers at the Busan Port should concentrate on six PSQ measures (i.e. SR1, SR4, ITS1, VAS1, VAS4, ICI3) to enhance PSQ in CTLs. However, four measures (i.e. ITS2, ITS3, ITS4, VAS2) are identified as a possible overkill, indicating an area of inefficiency where a remedial action of the cost-cutting decision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the Busan port shows an outstanding performance on four measures such as SR2, SR3, ICI1 and ICI2. The measures are not only important but also high performance. The study findings provide managerial guidance to port managers in Busan Port, in view of searching for managerial and operational strategies for sustainable port growth.

급·배기구 면적 변화가 누출 수소 환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Area Changes in Air Inlets and Vent Ports on the Ventilation of Leaking Hydrogen)

  • 이창용;조대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85-393
    • /
    • 2022
  • 수소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GHG) 배출을 감소시키고 선박용 친환경 연료로서 대두되고 있다. 수소는 가연 하한계(Lower Flammability Limit, LFL)가 4 ~ 75 %이고 폭발 위험성이 큰 물질이다. 그래서 선박용으로 사용되려면 누출에 대비한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탱크 저장실에서 수소 누출이 발생한 경우, 급·배기구의 면적 변화가 환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급·배기구의 면적은 1A = 740 mm × 740 mm이며 저장실 표면에 크기 및 위치 변경이 쉽도록 설정하였다. CFD 상용 소프트웨어인 ANSYS CFX ver 18.1을 이용하여 급·배기구의 면적을 1A, 2A, 3A, 5A로 변경하였고, 면적 변화에 따른 저장실 내의 수소 몰분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급기구 면적이 배기구 면적 증가에 비해 누출 수소의 농도를 더 감소시켰으며 단일 급기구보다 최소 2A 이상에서 환기 성능이 향상되었다. 급기구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수소 층화가 저장실 상부부터 균일하게 형성되었지만 LFL 범위는 벗어나 있었다. 그러나 배기구는 면적을 단순히 증가하는 것만으로는 환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하였다.

21C 종합항만을 위한 부산항의 추진과제 평가 (An Evaluation of Action Plan for Busan Port to grow as Complex Port in 21st Century)

  • 허윤수;김율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7-63
    • /
    • 2008
  • 최근 미국 LA항과 LB항, 로테르담항을 중심으로 친환경적인 항만을 개발하기 위한 Green Port 추진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싱가포르항, 상하이항, 두바이항 등은 화물, 사람, 정보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는 진정한 의미의 종합항만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제 항만은 더 이상 여객이나 화물을 실어 나르는 단순한 역할만을 수행하지는 않는다. 21C 종합항만은 항만 그 자체가 여객이나 화물, 정보, 금융의 집결지가 되고, 항만주변의 물류배후부지가 화물을 창출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HP 분석을 통해 21C 종합항만으로 성장하기 위한 부산항의 추진과제를 각 분야별로 도출하고, 도출된 추진과제를 정량요인(지역내 사업비중, 특화정도, 산업연관효과)과 정성요인(미래성장성, 경쟁력확보, 혁신역량)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추진과제별 평가값을 바탕으로 사업의 우선순위 도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컨조인트분석을 활용한 신국제여객터미널 최적 항만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인천항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Optimal Port Operation for New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Using Conjoint Analysis: Focusing on Incheon Port)

  • 유성재;차영두;여기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7-24
    • /
    • 2017
  • 본 연구는 신규로 건설되는 국제여객터미널의 최적 항만운영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하여 최적 항만운영이 될 수 있는 대안을 분석하였다. 또한 사용자 관점과 실사업 주관입장인 인천항만공사와 인식차이 비교분석을 실시한다. 사용자 컨조인트 분석결과 '임대료 산정방식'이 신국제여객터미널 항만운영 방안에서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자동화구축, 부지면적 순으로 분석되었다. 수준별 효용결과를 살펴보면 임대료 산정방식에서는 '국유재산법 적용방식', 자동화구축에서는 '야드장비의 자동화', 부지면적에서는 '61,000평~66,000평'순으로 효용성을 보였다. 신국제여객터미널 실사업 주관자인 인천항만공사의 경우, 사용자 결과와 마찬가지로 중요도에서 '임대료 산정방식'이 신국제여객터미널 항만운영방안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자동화구축, 부지면적 순으로 도출되었다. 각 요인의 수준별 효용결과로는 임대료산정방식에서는 '투자비 보전방식', 자동화구축에서는 '야드장치장의 자동화', 부지면적에서는 '43000평~48000평' 순으로 효용치를 보였다.

신항만개발, 수출경쟁산업과 지역경쟁력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Port Development & Comparative Advantage Industries For The Reinforcement of Regional competitiveness : Focused on Gyeongnam Provincial Government)

  • 공덕암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3-172
    • /
    • 2004
  • With swelling of Chinese Economic scale, the competitive environment is swinging over the north-east Asia countries, Korea, Japan, China, and Taiwan. As the result of this circumstance, each countries in this area has been reformed their industries. According to the expanding in ocean logistic. The trends of competition on Hub port is looking forward much more severe year after year to preoccupy in logistics competitive within this Area.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competitive environment & swelling of Chinese Economic scale, the structural reforms are imperative in korea. Korea have to convert the traditional sects into new high added value sects. In these trends, provincial government also should look for the plan for reinforcement of Regional competitiveness.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reinforcement methods on regional competitiveness of Gyeongnam Provincial Government. First, competitive industries in Gyeongnam, and second, Masan Free Trade Zone will be surveyed from data. Finally, the effects of New Hub port developing in Pusan-Jinhae will be discussed.

  • PDF

마산지역항의 해양 ICT의 활용방안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Marin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Masan Area Port)

  • 김성민;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755-762
    • /
    • 2021
  • 본 연구는 남해안지역 진출을 위한 거점항만으로서의 마산항이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마산지역항의 해양 정보통신기술의 활용방안을 위한 연구로 기존의 마산항만의 현황과 적용중인 ICT를 바탕으로 중장기적으로 추구해야 할 해양 정보화 기술의 활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상하이 양산항과 신항(Busan New Port)의 경쟁력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ompetitiveness between Busan New Port and Shanghai's New Yangshan Port)

  • 한철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9-5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mpetitiveness between Busan New Port and Shanghai's New Yangshan Port, on an island 20 miles off the Chinese mainland coast. For this aim, the paper examines backgrounds of Yangshan Port construction and its related projects, namely, Donghai Bridge and Luchao Logistics Park including operation strategies of Yangshan New Deepwater Port.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Busan New Port has competitive advantage over Yangshan Port in terms of ideal location, especially in Asia-North America route, and connection between terminal and hinterland logistics park. Because Busan New Port is operated by fully on-dock system. Nevertheless, Yangshan Port has more strength in its centrality, port tariff and port productivity, which are represented by crane productivity, quay productivity and area productivity. Therefore, Korean ports are recommended by transformation from cargo attraction-type to cargo generation-type port through early activation of port logistics center along with Free Economic Zo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