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ork market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1초

아마인유와 채종유 급여가 돼지고기의 n-3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nseed Oil and Canola Oil Feeding on the n-3 Fatty Acid Content of Pork)

  • 박병성;강환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37-1543
    • /
    • 2004
  • 본 연구는 아마인유와 채종유내에 들어있는 n-3 지방산의 돈육내 축적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3원 교잡종 수퇘지(체중 50 kg) 12마리를 이용하여서 4가지 실험사료중 한가지를 급여하였으며 실험사료는 우지, 아마인유, 채종유 또는 아마인유와 채종유의 혼합유를 함유하였다. 110 kg 시판 체중 도달시에 희생하였다. 아마인유와 채종유속에 들어있는 n-3 지방산은 돼지의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 효율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액 포화지방산 함량은 우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아마인유 첨가구, 채종유 첨가구 또는 혼합유 첨가구는 우지 첨가구보다 11.84%~16.54% 낮게 나타났다(p<0.05). 혈액 n-3 지방산 함량은 우지 첨가구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아마인유 첨가구, 채종유 첨가구 또는 혼합유 첨가구는 우지 첨가구보다 4.68%~12.83% 높게 나타났다(p<0.05). n-3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3가지 지질 급원 모두는 우지 첨가구에 비교하여 돼지고기 삼겹살 내 $\alpha$-linolenic acid(18:3n-3) 함량을 9.43%까지 유의적으로 높였다(p<0.05). 아마인유 또는 채종유 급여는 삼겹살내 n-3:n-6 비율을 0.68로 높였으며 고도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 비율은 0.70으로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아마인유와 채종유 급여에 의해 n-3지방산이 강화된 새로운 기능성 돈육을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Effects of β-glucan with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the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s, immune response, pork quality, pork flavor, and economic benefit in growing and finishing pigs

  • Tae Wook Goh;Hong Jun Kim;Kunyong Moon;Yoo Yong Kim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6호
    • /
    • pp.929-942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β-glucan with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the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s, immune response, pork quality, pork flavor, and economic benefit in growing and finishing pigs. Methods: A total of 140 growing pigs ([Yorkshire×Landrace]×Duroc) were assigned to five treatments considering sex and initial body weight (BW) in 4 replications with 7 pigs per pen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he experimental diets included a corn-soybean meal-based basal diet with or without 0.05% or 0.1% β-glucan and 0.02% vitamin E. The pigs were fed the diets for 12 weeks (phase I, 0 to 3; phase II, 3 to 6; phase III, 6 to 9; phase IV, 9 to 12). The BW and feed intake were measured at the end of each phase.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end of each phase. Four pigs from each treatment were selected and slaughtered for meat quality. Economic benefit was calculated considering the total feed intake and feed price. Pork flavor was analyzed through inosine monophosphate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daily gain and feed efficiency wer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when β-glucan or vitamin E was added. Supplementing 0.05% β-gluca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ymphocyte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addition of 0.1% β-glucan and the content of vitamin E in the blood increased when 0.02% vitamin E was added. The treatment with 0.1% β-glucan and 0.02% vitamin E showed the most economic effect because it had the shortest days to market weight and the lowest total feed cost. The addition of β-glucan or vitamin E had a positive role in improving the flavor of pork when considering that the content of inosine monophosphate was increased. However,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were not affected by β-glucan or vitamin E. Conclusion: The addition of 0.1% β-glucan with 0.02% vitamin E in growing and finishing pig diets showed great growth performance and economic effects by supplying vitamin E efficiently and by improving the health condition of pigs due to β-glucan.

성장단계별 사료급여 방법이 육성-비육돈의 성장과 육질 그리고 생산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hase Feeding Methods on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Production Cost in Growing-Finishing Pigs)

  • 정태삼;허필승;이근영;김동혁;주원석;김유용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1호
    • /
    • pp.29-36
    • /
    • 2010
  • 본 연구는 사료급여 방법에 있어서 사양 단계별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하는 사료급여와 요구량보다 높은 수준의 영양소 사료 급여간 육성-비육돈의 사양성적과 경제성, 도체등급 그리고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결과 성장성적에 있어서 전 기간(13주) 동안 자돈사료를 급여한 실험처리구의 사료효율(G:F ratio)이 높았지만(P<0.01) 일당증체량(ADG)과 일당사료 섭취량(ADFI) 그리고 총 증체량(body weight gain)에 있어서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도체등급(육질)과 육질등급에 있어서도 처리구간 통계적 유의차가 보이지 않았다. 출하체중을 110 kg 기준으로 볼 때 경제성분석에 있어서 처리구간 110 kg 도달 일령의 차이는 D 리구를 제외하고 나타나지 않았지만 비육돈 두당 총 사료 비용은 자돈사료만을 급여한 처리구(A), 육성기에 자돈사료를 그리고 비육기에 육성사료를 급여한 처리구(B), 전기간 육성사료만 급여한 처리구(C), 육성기에 육성사료를 그리고 비육전후기에 비육전기사료를 급여한 처리구(D)의 순으로 육성기-비육전기-비육후기의 각 성장단계에 적합한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E)에 비해 각각 51,240원(54.22%), 35,134원(37.19%), 17,172원(18.18%), 7,275원(7.7%)이 추가적으로 소요되었다. 혈중요소태질소(BUN)를 통한 단백질 이용효율에서도 적정수준 보다 높은 단백질 수준의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들(A, B, C, D)의 단백질 이용효율이 성장단계에 적합한 수준의 단백질 사료를 급여한 E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본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면 성장단계별 영양소요구량보다 높은 수준의 영양소 함량을 가진 사료를 급여할 경우가 성장단계별 요구량에 맞는 사료를 급여하였을 경우 보다 사양성적에 있어서 사료효율은 소폭 증가 하지만, 성장능력, 출하일령 및 돈육품질은 뚜렷하게 개선되지 않았다. 또한, 육성-비육돈에게 성장단계별 사료급여 방법대신 고영양소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에서는 사료비가 적게는 7.7%에서 많게는 54.2%까지 증가하여 양돈농가들에게는 많은 경영부담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양돈장에서 육성-비육돈을 사육할 때에는 성장단계별로 사료를 급여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사료급여방법인 것을 제시할 수 있다.

한국 전통 김치의 중국 시장 확대를 위한 중국 산동성 지역 성인의 기호도 조사 (A Survey of the Chinese's Preference for Kimchi to Expand Chinese Market in Shandong Province)

  • 장향매;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26-541
    • /
    • 2009
  • This study surveyed the Korean Kimchi preference for Chinese, potential Kimchi improvement for Chinese market adaptation and Kimchi application for Chinese cuisine, with the aim of spreading the recognition of Kimchi throughout the world, especially in China, by giving information and developing local types which could be expected to be suitable for utilization of Chinese food life.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298 Chinese(male 108, female 190) residing in Weihai, Yantai and Qingdao, in Shandong province. The questionnaire form was developed and used for self administered evalu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AS package. Baechu Kimchi was found to be the most well-known Kimchi for Chinese, and Kkakdugi, Oi Kimchi, Yoelmu Kimchi and Nabak Kimchi were followed in order. Baechu Kimchi(75.9%) was found to be the most favorite Kimchi for Chinese, and Oi Kimchi(59.3%), Kkakdugi(52.8%), Nabak Kimchi(39.3%) and Yoelmu Kimchi(37.7%) were followed in order. The subjects knew about the Korean foods made with Kimchi, such as Kimchi kimbap(74.8%), Kimchi bibimbap(71.5%), Kimchi bokkeumbap(61.7%), Kimchi guk(58.1%) in order. But the experience of consumption for Korean foods made with Kimchi was low compared to the knowledge of the Korean foods made with Kimchi. Chinese's most favorite foods made with Kimchi were Kimchi bossam, Kimchi bibimbap, Kimchi bokkeumbap and Kimchi kimbap, Kimchi bokkeum, Kimchi tteoksanjeok and Kimchi jeon in order. Among the 9 kinds of new Chinese foods made with Kimchi, Kimchi chao zhurou(fried pork with Kimchi), Kimchi chao mian(fried noodle with Kimchi), Kimchi chao youcai xiaren(fried rape and prawn with Kimchi), Kimchi zhuroushuijiao(dumpling with pork and Kimchi), Kimchi gedatang(wheat flakes soup with Kimchi) and Kimchi hundun(dumpling with Kimchi), and Kimchi youbing(panfried flour with Kimchi), Kimchi lamian(handmade knife-cut noodle with Kimchi) and Kimchi tangyuan(tangyuan with Kimchi) were preferred foods by the subjects in order.

돼지고기의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에 관한 β-Cyclodextrin의 급여효과 (Influence of Feeding β-Cyclodextrin on Reducing the Content of Cholesterol in Pork)

  • 박병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28-334
    • /
    • 2006
  • 본 연구의 주목적은 돼지고기의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에 관한 사료 내 ${\beta}CD$의 급여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생체중 50 kg의 3원교잡종 거세 수퇘지 12마리를 이용하여서 4처리구 3반복으로 완전임의배치한 후, 시판체중인 110 kg 도달시까지 약 9주 동안 실험사료를 급여하였다. 일일 사료섭취량, 일일 증체량 및 사료효율은 ${\beta}CD$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beta}CD$ 1.5%, 3.0% 및 5.0% 첨가구의 각 처리구간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액 총지질,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beta}CD$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특히 ${\beta}CD$ 5.0% 첨가구에서 각각의 감소율은 21.80%, 55.58% 및 27.69%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돼지고기 삼겹살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beta}CD$ 1.5%, 3.0% 및 5.0% 첨가구에서 각각 5.33mg, 12.70mg및 15.23 mg의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났으며, 특히 이 값을 콜레스테롤의 감소율로서 나타냈을 때 각각 6.44%, 15.36%, 18.42%로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이 결과는 돼지에서 ${\beta}CD$첨가급여가 콜레스테롤 대사를 조절할 수 있는 식이섬유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Utilization of Transglutaminase for the Development of Low-fat, Low-salt Sausages and Restructured Meat Products Manufactured with Pork Hams and Loins

  • Chin, K.B.;Chung, B.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261-265
    • /
    • 200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ransglutaminase (Aciva-TG, TGase) can be used to reduce the salt level in low-fat sausages and to replace emulsified meats (10%) for the manufacture of restructured meat products (RMP). Pork hams and loins were collected from a local retail market in Gwangju, Korea and used for the manufacture of sausages and RMPs, respectively. TGase at the level of 0.1% can permit the reduction of the salt level from 1.5% to 1.0% in low-fat comminuted sausages without any quality defects, however a crumbly texture was found if the salt level was reduced below 1.0% even though it combined with certain amounts of TGase. No differences in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cal properties were observed (p>0.05) among treatments. Approximately 0.3% of TGase can replace 10% emulsified meats, which are normally used for improvement of binding capacity to manufacture RMPs, without quality defects. This study suggests that TGase could be used for the manufacture of low-fat, low-salt functional meat products for the improvement of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binding capacity without adverse effects.

글루코사민 유도체(GD) 급여 돈육의 육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Pork Fed with Glucosamine Derivatives (GD) as Dietary Supplementation)

  • 박범영;조수현;황인호;김진형;오석중;이종문;윤상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1-224
    • /
    • 2004
  • 이유자돈 시기 25∼70일령까지 글루코사민 유도체를 1일 1두당 3 mL급여한 돼지와 급여하지 않은 돼지의 도체등급 특성과 육질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체중과 등지방층 두께는 시험구와 대조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시험구가 표준오차가 적어 균일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도체등급 판정결과 최종 A등급 출현율을 비교했을 경우에는 시험구 및 대조구에서 각각 48.7%, 29.2%로 시험구가 약 19.5%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돼지고기의 육질을 비교한 결과 육색, 가열감량, 전단력, pH 보수성, 육즙분리율 등 대부분의 육질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일반성분중 단백질과 회분은 시험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시험결과 이유후 육성돈 시기에 글루코사민 유도체의 급여는 육질에는 큰 차이가 없으나, 출하일령 단축과 도체등 급에서의 규격돈 생산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마지방산의 급여가 돼지의 혈액지질 및 고기부위별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γ-Fatty Acid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Pork and Plasma Lipids in Swine)

  • 강환구;박병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63-568
    • /
    • 2007
  • 본 연구는 우지를 대조구로 하는 사료와 대두유와 함께 삼씨유, 달맞이꽃 종자유 및 서양자초유를 혼합한 시험사료를 섭취한 비육말기 돼지에서 혈액지질 및 돈육의 부위별 감마지방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생체 중 80 kg의 3원 교잡종($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비육말기 돼지 36마리를 이용해서 시판체중인 110 kg 도달 시까지 35일 동안 시험사료를 급여하였다. 실험설계는 4처리$\times$3반복(반복당 3두)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고, 4개의 실험처리구는 대조구(우지), T1(삼씨유 40:대두유 60), T2(달맞이꽃 종자유40:대두유 60) 그리고 T3(서양자초유 40:대두유 60)로 구분하였다. 돼지의 혈액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사료 급여 일수가 지남에 따라서 우지를 섭취한 대조구가 증가한 반면에 감마지방산 급원을 섭취한 처리구는 유의적인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혈액 내 감마리놀렌산 함량은 대조구의 경우 검출되지 않았으나 감마지방산 처리구의 경우 실험사료 급여일수가 지남에 따라서 T3, T2, T1순으로 증가경향을 나타냈으며 각 일자별로 측정된 각 처리구별 값은 처리구간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p<0.05). 돈육의 포화지방산과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은 각 처리구별 그리고 부위별 차이가 있었으며, 돈육의 부위별 n-3지방산 함량은 삼씨유를 섭취한 T1이 가장 높았고 T3, T2 순으로 유의적인 증가경향을 나타냈다(p<0.05). 감마리놀렌산의 함량은 모든 부위에서 서양자초유를 섭취한 T3가 가장 높았으며 T2, T1 순으로 유의적인 증가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특히, 돈육의 부위별로 축적된 감마리놀렌산의 함량은 등지방, 삼겹살, 햄, 등심 순서로 높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Characterization of Nutritional Value for Twenty-one Pork Muscles

  • Kim, J.H.;Seong, P.N.;Cho, S.H.;Park, B.Y.;Hah, K.H.;Yu, L. H.;Lim, D.G.;Hwang, I.H.;Kim, D.H.;Lee, J.M.;Ahn, C.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호
    • /
    • pp.138-143
    • /
    • 2008
  • A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nutritional value for twenty-one pork muscles. Ten market-weight crossbred pigs (five gilts and five barrows) were used for evaluating proximate chemical composition, cholesterol, total iron, calorie and fatty acid contents. As preliminary analysis revealed no noticeable sex effect, pooled data from both sex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M. rectus femoris had the highest moisture content, while m. latissimus dorsi was lowest in moisture content (p<0.05). Protein content was highest for m. longissimus dorsi and lowest for m. supraspinatus (p<0.05). The tensor fasciae and latissimus dorsi muscles contained the highest intramuscular fat (p<0.05), while rectus femoris, adductor and vastus lateralis were lowest in intramuscular fat content. When simple correlations between chemical values were computed for the pooled dataset from all muscles, intramuscular fat had significant (p<0.05) negative linear relationships with moisture (r = -0.85) and protein (r = -0.51) contents. Calorie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fat content, while rectus femoris and latissimus dorsi muscles showed lowest and highest calorie contents, respectively (p<0.05).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as highest (p<0.05) for both m. adductor and m. rectus femoris, while it was lowest for m. longissimus dorsi. Collectively, the current study identified a large amount of variation in nutritional characteristics between pork muscles, and the data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muscle-specific strategies to improve eating quality of meats and meat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