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e 형성

검색결과 434건 처리시간 0.033초

Poly(vinylbenzyl ammonium salt)를 이용한 Pore-filled 이온교환막의 제조 (Preparation of Pore-filled Ion-exchange Membranes using Poly(vinylbenzyl ammoninum salt))

  • 변홍식
    • 멤브레인
    • /
    • 제11권3호
    • /
    • pp.109-115
    • /
    • 2001
  • Polypropylene(PP)을 지지막으로 하여 in-situ 가교결합(cross-linking)방식을 이용한 pore-filled 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 다공성 PP막의 기공에 poly(vinylbenzyl chloride)(PVBCI)과 piperazine(PIP), 또는 1,4-diaminobicyclo [2,2,2]octane(DABCO)을 dimethylforamid(DMF)에 녹인 용액을 채워서 겔화시킨 후, 남아있는 chloromethyl 그룹에 trimethylamine을 이용하여 양이온인 암모니움 site를 형성시키면 pore-filled 음이온교환막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2단계의 제조방식으로 제조된 pore-filled 분리막은 크기의 변화가 없이 안정되며, PVBCI의 농도와 가교제의 농도로써 고분자-겔의 함량(mass gain, MG)과 가교도가 간단하게 조절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아주 낮은 압력(100 kPa)에서의 높은 수투과도(7.9kg/$m^2$hr, 지지막은 PP3, 73%의 MG, 10%의 가교도, PIP 가교제사용)는 연수용 분리막으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Ion Implantation으로 Ca를 첨가한 단결정 Al2O3의 Crack-like Pore의 Healing 거동 - I. Crack-like Pore의 형성과 Morphological Evolution (Effect of Ca Implantation on the Sintering and Crack Healing Behavior of High Purity Al2O3 Using Micro-lithographic Technique - I. Formation of Crack-like Pore and Its Morphological Evolution)

  • 김배연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834-842
    • /
    • 1997
  • Controlled Ca impurity implanted inner crack-like pore in the high purity alumina single crystal, sapphire, had been created by micro-fabrication technique, which includes ion implantation, photo-lithography, Ar ion milling, and hot press technique. The morphological change and the healing of cracklike pore in Ca doped high purity single crystal alumina, sapphire, during high temperature heat treatment in vacuum were observed using optical microscopy. The dot-like surface roughening was developed and hexagon like crystal appeared on inner surface of crack-like pore after heat treatment. Bar type crystals, probably CaO.6Al2O3, were observed on the inner surface after 1 hour heat treatment at 1, 50$0^{\circ}C$, but this bar type crystal disappeared after 1 hour heat treatment at 1, $600^{\circ}C$. This disappearance means that there should be a little increase of Ca solubility limit to alumina at this temperatures.

  • PDF

실리콘 기판위의 증착된 AAO Barrier Layer의 $Cl_2/BCl_3$ Neutral Beam Etching

  • 김찬규;민경석;오종식;염근영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Fine pattern PCB 표면 처리 기술 워크샵
    • /
    • pp.135-13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 기판위의 형성된 AAO (Anodic Aluminum Oxide)의 barrier layer를 $Cl_2/BCl_3$ gas mixture에서 Neutral Beam Etching (NBE)과 Ion Beam Etching (IBE)로 각각 식각한 후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온빔의 경우 나노사이즈의 AAO pore의 charging에 의해 pore 아래쪽의 위치한 barrier layer를 어떤 식각조건에서도 제거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charging effect가 없고, 높은 중성화율을 나타내는 low angle forward reflected 방식의 neutral beam etching (NBE)에서는 $BCl_3$-rich $Cl_2/BCl_3$ gas mixture인 식각조건에서 AAO pore에 휘발성 $BO_xCl_y$를 형성하면서 barrier layer를 제거할 수 있었다.

  • PDF

황산전해액에서 양극산화에 의한 알루미나 막 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ynthesis of Alumina Membrane by Anodization in Sulfuric Acid)

  • 김현;장윤호;함영민
    • 공업화학
    • /
    • 제8권5호
    • /
    • pp.756-762
    • /
    • 1997
  • 본 실험에서는 황산용액에서 전기화학적으로 금속 알루미늄판을 양극산화하여 원통형 세공구조를 갖고 있는 alumina막을 형성시켰다. 양극화에 사용된 알루미늄 시료는 전해연마, 화학연마 및 열산화와 같은 전처리 공정을 거쳐서 준비하였으며, 형성된 알루미나막의 세공분포와 두께 등을 SEM과 BET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산화피막이 Keller모델과 같은 기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균일한 세공 분포를 지니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산화막의 세공크기와 두께는 황산전해질의 농도, 반응온도 그리고 전류밀도와 같은 양극산화 공정변수에 의존함을 알수 있었다.

  • PDF

톨라신 저해 물질을 이용한 갈반병의 억제 (Suppression of brown blotch disease by tolaasin inhibitory factors)

  • 윤영배;김민희;한지혜;김영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2호
    • /
    • pp.179-184
    • /
    • 2017
  • 톨라신은 1.9 kDa의 펩티드 독소로서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해 생성되며, 재배중 느타리버섯에 갈반병을 일으킨다. 톨라신은 막에 pore를 형성하여 세포 구조를 파괴하고, 버섯 재배의 생산성을 심하게 감소시킨다. 톨라신에 의한 세포독성의 작용 기작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분자다중화에 의해 세포막에 채널구조 형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톨라신과 작용하는 식품첨가물 중에 톨라신의 다중화결합을 통한 세포막 pore 형성을 저해하는 물질이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물질들이 톨라신의 활성을 저해함을 확인하고, 이들을 톨라신 저해물질(TIF)이라 명명하였다. 대부분의 톨라신 저해물질들은 식품가공과정에 쓰이는 유화제였다. 다양한 종류의 저해물질 중에 지방산과 에스터 결합한 polyglycerol과 지방산과 에스터 결합한 sucrose 화합물이 $10^{-4}-10^{-5}M$ 농도범위에서 톨라신의 세포독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이러한 저해물질들은 균상재배하는 느타리버섯에서 갈반병의 발생을 성공적으로 억제하였다.

기공 형성제 조절과 소결 온도의 변화가 다공질 지르코니아 세라믹스의 미세구조 및 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re Formers and Sintering Temperatures on Microstructure and Bending Strength of the Porous Zirconia Ceramics)

  • 이은정;송인혁;하장훈;한유동;김양도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02-509
    • /
    • 2011
  • In this study, a novel-processing route for fabricating microcellular zirconia ceramics has been developed. The proposed strategy for making the microcellula zirconia ceramics involved hollow microspheres as pore former. Compared to conventional dense microspheres pore former, well-defined pore structured zirconia ceramics were successfully fabricated. Effects of hollow microsphere content and sintering temperature on microstructure, porosity, pore distribution, and strength were investigated in the processing of microcellular zirconia ceramics.

PVA-A(III) 착물이 $Uo_2$ 소결체의 기공형성과 결정립성장에 미치는 영향(II) (The Effect of PVA-Al(III) Complex on Pore Formation and Grain Growth of $UO_2$ Sintered Pellet (II))

  • 이신영;김형수;노재성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782-790
    • /
    • 1999
  • The compressibility sinterability sintering behaviour and thermal stability of AlOOH added UO2 pellt and PVA-Al(III) complex added UO2 pellet were investigated respectively. Compared with characteristics of AlOOH added UO2 pellet the green density and the sintered density of PVA-Al(III) complex added UO2 pellet were lowered but the grain size and the pore size of that were more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higher compacting pressure. The AlOOH added UO2 pellet had the grain size of about 14${\mu}{\textrm}{m}$ with monomodal pore size distribution while the PVA-Al(III) complex added UO2 pellet had the grain size of about 42 ${\mu}{\textrm}{m}$ with bimodal pore size distribution. The PVA-A(III) complex added UO2 pellet had a similiar open porosity to the AlOOH added UO2 pellet and a lower resintered density change than the AlOOH added UO2 pellet.

  • PDF

황해 경기만 반월조간대 퇴적물 내의 황화물 형성과 행동에 관한 연구 (Formation and Behavior of Sedimentary Inorganic Sulfides in Banweol Intertidal Flat, Kyoung-gi Bay, West Coast of Korea)

  • 김범수;이창복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9-240
    • /
    • 1993
  • 조간대 퇴적물 내에서 황화물의 형성과 그 행동을 고찰하기 위해 황해 경기만에 위치한 반월조간 대에서 1990년부터 1992년에 걸쳐 총 7번의 주상시료를 채취하여, 황 상염, 암모늄, 인산염, 황화수소, 철이온 등의 공극수 용존성분과 AVS, 원소황, pyrite sulfur 등의 퇴적물 내 황화물을 분석하였다. 공극수에서 황화수소, 암모늄, 인산염 등의 농도가 활발한 황산염환원의 결과로 이인해 깊이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한편 철이온의 농도는 표 아래에서 급격히 감소했는데, 황화수소의 농도를 고려할 때 이는 황화물의 형성을 지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퇴적물 내의 황화물을 분 석한 결과 총황화물의 양은 최고 7.9 mg/g 이었다. 황화물 중 가장 우세한 형태는 AVS 로 언제나 전체 황화물의 50%를 넘었으며, 가장 안정한 형태의 황화물로 알려진 pyrite sulfur가 element sulfuur보다 약간 많았다. 이 지역에서 퇴적물 내 황화물 중 ASV는 언제나 활발하게 만들 어지지만, ASV와 element sulfur의 반응으로 형성되는 pyrite sulfur 는 그 형성이 제한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제한 요소는 element sulfur의 양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