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saccharide extract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s of medium components on Mycelial Growth and Polysaccharide production in Liquid Culcure of Coriolus versicolor

  • Choi, Min-Gu;Hong, Eock-Kee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I)
    • /
    • pp.253-25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담자균류 중에 항암효과가 입증된 Coriolus versicolor의 균사체 생육과 다당체 생성에 유리한 배지를 선정하기 위하여 flask culture를 통하여 검토하였다. 임의의 배양조건 $27^{\circ}C$, 200rpm을 선택해 여러 탄소원과 질소원을 검토하여 각각 glucose와 yeast extract를 선택하였다.

  • PDF

Optimum culture conditions of cell growth and polysaccharide production by Paecilomyces japonicain batch culture

  • 박석재;변학규;한대석;홍억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287-290
    • /
    • 2000
  • 회분배양에서 교반속도와 통기량에 대한 영향을 살펴본 결과 400 rpm과 1.0 vvm의 조건에서 균체량은 25.1 g/L, 다당체는 2.5 g/L로 가장 높게 생성되었다. 회분배양을 기초로 균체량과 다당체 생성을 높이기 위해 glucose를 대수기에 공급한 결과 배양 6일째 균체량은 29,2 g/L, 다당체 생성은 3.3 g/L로 회분배양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

Aloe saponaria 캘러스의 열수 추출물 유래 다당의 특성 (Polysaccharide Characteristics from Hot Water Extract of Aloe saponaria Callus)

  • 백진홍;김명욱;강태수;허원;이신영
    • KSBB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59-64
    • /
    • 2009
  • The callus formation from inferior leaf of Aloe saponaria was induced in M & S medium supplemented with 10-30 ${\mu}M$ NAA (${\alpha}$-naphthalene acetic acid) and 3-7 ${\mu}M$ kinetin under incubation in the dark at $25^{\circ}C$ for 6 weeks. The hot water extract ($100^{\circ}C$, 24 hrs) from cultured callus was obtained and the components analysis for the extract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callus can synthesized the bioactive component such as Aloe polysaccharide. The freeze dried extract contained the sugar of 53.2%, protein of 7.3%, ash of 18.5% and water of 21% (w/w). Two fractions (Fr-I and Fr-II) were obtained by Sepharose CL-4B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and Fr-I, major fraction was further purified with dialysis. From sugar analysis by TLC and GC, the purified Fr-I fraction consisted of glucose (77.6%), galactose (17.7%), mannose (4.7%, w/w) and uronic acid (trace). The molecular weight of purified Fr-I fraction determined by GPC was about 110 kDa.

홍삼박으로부터 산성다당체의 추출조건 조사 (Extraction Condition of Acidic Polysaccharide from Korean Red Ginseng Marc)

  • 이종원;도재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202-205
    • /
    • 2002
  • 홍삼에 70% 알콜로 추출하고 남은 홍삼알코올박과 물로 추출하고 남은 홍삼물박은 거의 이용되지 않는데 이 홍삼박에는 다량의 산성다당체가 존재하므로 홍삼박으로부터 산성다당체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산업적으로 이용할 대량 생산제조공정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홍삼알코올박 및 홍삼물박 모두 건조전보다 건조후 산성다당체의 추출효율이 높았으며, 추출시간과 추출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추출되는 산성다당체의 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생산제조공정으로서 홍삼박을 건조시킨 후 입자를 3.35 mm 이하로 분쇄하고, 추출온도는 8$0^{\circ}C$에서 1~2시간 추출하면서 추출회수는 2~3회가 최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산성다당체의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홍삼박에 $\alpha$-amlyase 및 cellulase 효소를 처리했을 때 추출효율이 20~50%까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seudomonas mendocina 에 의한 Polysaccharide 생산 (Cultural Condition of Pseudomonas mendocina for Polysaccharide Production)

  • 유진영;정동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19-623
    • /
    • 1989
  • 토양으로부터 분리 동정된 Pseudomonas mendocina의 다당류 생산조건을 검토하였다. 최적 배지조성은 Sucrose 23.75g/L, $(NH_4)_2SO_4$ 1.57g/L, Yeast extract 0.5g/L, $KH_2PO_4\;2.0g/L,\;MgSO_4.\;7H_2O\;1.0g/L,\;CaCO_3$ 2.5g/L이었으며, 최적 pH 및 배양온도는 6.5 및 $30^{\circ}C$이었다. 이 조건에서 다당류의 생산량은 5.98g/L이며 대당 수율은 25.18%, 비생산속도는 32.83mg/g-cell/h이었다.

  • PDF

인삼 산성다당체의 비색정량 방법과 그 추출조건 및 안정성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Acidic Polysaccharide from Panax ginseng, its Extraction Condition and Stability)

  • 도재호;이형옥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139-144
    • /
    • 1993
  • The method for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acidic polysaccharide from Panax ginseng was investigated. It is possible to apply the method of carbazole-sulfuric acid to determination of pectin, and also to measure the amount of pectin in the mixture of various high molemlu compounds such as starch. cellulose and gum, etc. When the method of carbazole-sulfuric acid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acidic polysaccharide, optical density at 525 nm increased linearly with an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pure acidic polysaccharide. Effective extraction temperature with water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amount of ginseng acidic polysaccharide (GAP) was $80{\circ}C$. In order to separate or concentrate GAP it was appropriate to precipitate the extract only once with 80% ethyl alcohol. GAP was very stable at $100{\circ}C$ for 4 hrs in aqueous solution and between pH values of 5.0~ 12.0.

  • PDF

Effect of Glutamic Acid on Polysaccharide Production from Agaricus blazei in Liquid Culture

  • 황정민;임영수;권명상;최정우;한진수;홍억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31-23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담자균류의 일종인 Agaricus blazei를 이용한 polysaccharide의 생성을 증가시키고자 glutamic acid의 첨가시기의 영향을 비교${\cdot}$검토하였다. 그결과 2 g/L의 glutamic acid를 배양 4일째인 대수증식기에 첨가하여 polysaccharide 생성을 유도한 경우 배양 7일째에 12.9 g/L의 균체량과 9.1 g/L의 polysaccharide를 생성하였다. 그러나 이런한결과는 배양 초기에 glutamic acid를 첨가했을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균체량은 다소 증가 했으나 polysaccharide 생성량에 있어서는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회분배양에 있어서도 2 g/L의 glutamic acid를 대수증식기인 배양 4일째에 첨가한 경우 균체량은 13.5 g/L, polysaccharide 생성량은 9.9 g/L를 생산하여 배양결과 최대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 PDF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on Mycelial Growth and Polysaccharide Production of Tricholoma matsutake in Bioreactor

  • 최민구;김성수;홍억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149-15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담자균류의 일종인 Tricholoma matsutake의 균사체 생육과 polysaccharide 생산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5L jar fermentor에서 교반속도와 통기량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교반속도는 150 rpm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균체량은 배양 10일째 21.87 g/L, polysaccharide는 교반속도는 300 rpm에서 배양 8일째 8.86 g/L 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다. 통기량은 11일째 0.5 vvm에서 가장 좋은 균체량 20.85 g/L, polysaccharide는 1.5vvm에서 배양 11일째 8.83 g/L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그람음성 간균에 의한 다당류의 생산 (Polysaccharide Production by a Gram Negative Facultatively Anaerobic Rod)

  • Yoo, Jin-Young;Koo, Young-Jo;Shin, Dong-Hwa;Chung, Dong-Hy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8-104
    • /
    • 1988
  • 미생물 다당류중 viscosifier를 생산하는 세균을 분리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세균은 Enterobacter agglomerans로 동정되었으며, 다당류 생산을 위한 조건은 glucose 25 g/ι, peptone 2.0 g/$\ell$, yeast extract 0.5 g/$\ell$, KH$_2$PO$_4$1g/$\ell$, MgSO$_4$.7$H_2O$ 1g/$\ell$, CaCO$_3$2.5g/$\ell$, 3$0^{\circ}C$ pH 5.7이며 이 조건에서의 생산량은 8.41g/L 이었다. 본 다당류의 성분은 갈락토오스(1.0몰), 크실로오스(1.5몰), 글루코 노델타락톤(1.9몰) 및 리보오스(0.03몰)로 되어 있었다. 1% 용액의 점도는 60rpm에서 504mpa.s이며 고유 점도는 45.8 d$\ell$/g 이었다

  • PDF

홍삼 추출물의 임파구 증식 및 활성 촉진효과 (Stimulatory Effect of Korean Red-Ginseng Extract on the Proliferation and . Cellular Activity of Lymphocytes)

  • 이혜연;이한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60-65
    • /
    • 1998
  • The effect of Korean red-ginseng extract on the proliferation and cellular activity of mouse B and T lymphocytes was examined in vitro. Both water and ethanol extract from red-ginseng increased the growth of normal B and T lymphocytes 1.5∼2.5-folds. Saponin and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ginseng extract also stimulated the proliferation of normal lymphocytes much higher than several well-known immunostimulators. B and T lymphoma cell lines responded to the ginseng extract and fractions by growth, too, while non-lymphoid cell lines did not. Immunoglobulin production of unprimed B-lymphocytes was little affected by the ginseng extract and fractions, though the ethanol extract slightly enhanced Ini, production of B-lymphocytes. When cytolytic activity of T lymphocytes against tumor tells was induced in vitro, both of the saponin and polysaccharide fractions and the ginseng ethanol extract increased the cellular activity of cytotoxic T lymphocytes 4-5-folds, while the ginseng water extract did not. Especially, the saponin fraction exhibited 10-times higher stimulatory effect on the cytolytlc activity of cytotoxic T cells than the ethanol extract and the pclysaccharide fraction d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red-ginseng contain potent immunomodulating components to stimulate the proliferation of B and T lymphocytes and the cellular activity of cytotoxic T lymphocy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