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ropylene/nylon 6 blend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몬모릴로나이트로 강화된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나노복합재료의 난연특성 및 기계적 특성 (Flame Retardancy and Mechanical Property of Polypropylene/ Nylon Nanocomposite Reinforced with Montmorillonite)

  • 이종훈;박호식;안인구;이윤희;김연수;이영관;남재도
    • 폴리머
    • /
    • 제27권6호
    • /
    • pp.576-582
    • /
    • 2003
  •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과 나일론 블렌드를 무기나노입자인 몬모릴로나이트와 상용화제 말레산 무수물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복합화한 나노복합재료에 할로젠 계열의 난연제 데카브로모다이페닐옥사이드를 첨가하였을 때의 분산성과 난연특성 및 기계적 특성의 향상에 대해 실험하였다. 고분자 수지의 난연특성과 기계적 특성은 난연제의 첨가뿐만 아니라 나노복합화를 통해서도 향상될 수 있으며, 고분자 수지 내의 나노입자의 분산정도에 따라 매우 큰 차이가 생긴다. 고분자 수지와 무기나노입자 사이의 분산성과 그에 따른 난연특성 및 기계적 특성을 난연제와 무기나노입자의 함량에 .따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폴리프로필렌/나일론 블렌드를 몬모릴로나이트로 복합화할 때 2회 이상 컴파운딩하면 완전히 분산되는 것을 XRD 결과로 확인하였다. 폴리프로필렌/나일론 블렌드를 복합화하면 나일론의 첨가로 인한 난연성의 저하를 극복할 수 있었으며, 무기나노입자가 완전히 분산되어 있을 때에는 추가적인 난연특성의 향상을 얻었다. 그리고 폴리프로필렌은 나일론의 첨가로 인하여 인장강도와 충격강도가 약간 증가하였으며, 무기나노입자와의 복합화를 통해서 추가적인 기계적 물성의 증가를 관찰하였다. 이로부터 폴리프로필렌의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위해 첨가한 나일론은 난연특성의 저하를 초래하지만 무기나노입자와의 복합화를 통해 난연특성의 향상과 추가적인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동시에 얻을 수 있었다.

Nylon6계 반응 상용화제에 의한 PP/PS 블렌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P/PS Blends with Nylon 6 Reactive Compatibilizers)

  • 서성식;이기윤;김성희;김동철;이승구
    • 폴리머
    • /
    • 제26권1호
    • /
    • pp.71-79
    • /
    • 2002
  • RPP(maleic-anhydride grafted polypropylene)와 OPS(oxazoline grafted polystyrene) 블렌드는 비혼화성으로서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RPP와 OPS에 Nylon6를 반응상용화제로 첨가하였다. RPP, Nylons, OPS간의 반응을 반응토오크, FT-IR, DSC로 관찰하였다. 3성분계 반응의 결과물로 반응상용화제인 RPP/Nylon6/OPS가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RPP/Nylon6/OPS의 반응은 RPP와 OPS가 1:1일 때 Nylons의 당량비가 0.66에서 최대 반응토오크를 얻었으며, Nylon6의 당량비가 1일 때 반응 효율이 크게 나타났다. RPP/Nylon6/OPS의 반응에 따른 몰폴로지의 변화를 관찰하여 반응정도가 높을수록 미세한 균일상을 얻었다. 블렌드의 물성은 Nylon6의 당량비가 1.5일 때 가장 높은 물성값을 얻었다. 만들어진 RPP/Nylon6/OPS 3성분계 블렌드를 PP/PS 단순 블렌드에 첨가하여 상용성을 고찰하였고 PP/Nylon6/PS 비혼화성 블렌드와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적으로 RPP/Nylon6/OPS가 PP와 PS 블렌드계의 반응상용화제로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Polypropylene/Nylon6 블렌드에서 이종의 상용화제에 따른 물성연구 (The Study on the Properties of Polypropylene/Nylon6 with Various Compatibilizers)

  • 김현철;이기윤;김형일
    • 공업화학
    • /
    • 제10권4호
    • /
    • pp.497-501
    • /
    • 1999
  • Polypropylene(PP)/Nylon6 블렌드에서 반응압출법으로 만들어진 상용화제와 용액반응법으로 만들어진 상용화제를 첨가하였을 때 나타나는 물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상용화제로는 PP에 maleic anhydride (MAH)가 graft된 PP-g-MAH를 사용하였다. 적정법으로 확인한 결과 반응압출법에 의해서 제조된 상용화제와 용액반응법에 의해서 만들어진 상용화제는 각각 0.3%, 2.7%의 MAH가 graft되었다. PP/Nylon6 블렌드의 조성을 75/25로 고정하였고 twin-screw extruder (L/D=30, ${\psi}=30$)를 이용하여 300rpm에서 블렌딩하였다. PP/Nylon6 블렌드에서 PP-g-MAH의 양을 점차로 증가시켰을 때 Nylon6의 결정화 peak가 점차 감소하여 마침내 소멸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Nylon6의 결정화 peak가 소멸되는 것은 상용화제의 제조방법이나 상용화제의 양보다는 상용화제에서 graft되어 있는 MAH의 함량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Nylon6의 정상적인 결정화 온도에서 결정화를 이루지 못했던 Nylon6 가 PP의 결정화 온도까지 내려와 결정화하는 소위 concurrent crystallization 현상이 발생하였다. Nylon6의 결정화 peak가 사라지는 현상 이외에도 용융 거동에서는 Nylon6의 결정화 온도 부근인 $193^{\circ}C$에서 작은 발열 peak가 나타났고 Nylon6 용융온도보다 $5^{\circ}C$ 가량 낮은 온도 ($215^{\circ}C$)에서 새로운 용융 peak가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peak들을 분석하기 위해 DSC를 사용하여 Nylon6를 annealing 시킨 결과, $193^{\circ}C$의 발열 peak는 완전히 결정화하지 못한 Nylon6의 결정화 peak이며 $215^{\circ}C$의 peak는 불완전하게 결정화한 Nylon6의 용융 peak임이 밝혀졌다.

  • PDF

Nylon 6/Polypropylene 블렌드의 충격특성 및 모폴로지 (Impact Characteristics and Morphology of Nylon 6/Polypropylene Blends)

  • 김종국;윤주호;고재송;최형기;김상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15
    • /
    • 2002
  • Melt blends of maleic anhydride grafted polypropylerle(PP-g-MA) and Nylon 6 were prepared to study the influence of chemical reaction between the two polymer components. By adding the MA grafted polystyrene pold (ethylene/butadiene) and polystyrene[SEBS-g-MA] as the compatible modifiers to reinforce the impact resistance, the Izod impact strength, high rate impact strength and morphology were studied. The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increased with the content of PP-g-MA and SEBS- g-MA. The energy of high rate impact strength increased as the thickness of specimen increased, while, it increased as the specimen displacement decreased. In the morphology observed by SEM, finally, we confirmed the improvement of the compatibilization and interfacial adhesion with the content of SEBS-g-MA. The continuous phase of PP-g-MA was the main cause of the modified properties.

블렌드 조성과 상용화제가 폴리프로필렌/ABS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lend Composition and Compatibilizer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Blends)

  • 박정훈;승유택;김우년;홍존희;홍병권;유태욱;윤호규
    • 폴리머
    • /
    • 제29권1호
    • /
    • pp.19-24
    • /
    • 2005
  • 폴리프로필렌(PP)을 포함한 고분자 블렌드에 상용화제를 첨가하여 이축압출기를 통해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universal testing machine(UTM), lzod 충격 시험기를 사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PP/acrylonitrile-butadiene-styrene(ABS) 블렌드의 경우, PP-g-styrene acrylonitrile(PP-g-SAN) 상용화제의 첨가에 의해 기계적 물성이 증가하였으며, ethylene-ethyl acrylate-maleic anhydride(E-EA-MAH-g-SAN) 상용화제의 첨가에 의해서 연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P/ABS/polycarbonate(PC)/Nylon-6,6 블렌드의 경우, ethylene glycidylmethacrylate(E-GMA) 상용화제를 0.5 phr 첨가함에 따라 충격강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P/ABS/PC/Nylon-6,6/poly(methyl methacrylate)(PMMA)/poly(oxymethylene)(POM)/poly(vinyl acetate)(PVC)/poly(butylenes terephthalate)(PBT) 블렌드에서 PP-g-SAN 같은 물리적 상용화제와 E-GMA 와 E-EA-MAH-g-SAN 같은 반응상용화제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인해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이 증가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Effect of the Processing History on the Morphology and Properties of the Ternary Blends of Nylon 6, a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 and a Functionalized Polypropylene

  • Yongsok Seo;Kim, Hyong-Jun;Kim, Byeongyeol;Hong, Soon-Man;Hwang, Seung-Sang;Kim, Kwang-U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9권4호
    • /
    • pp.238-246
    • /
    • 2001
  • Properties of ternary blends of nylon 6 (Ny6), a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 (TLCP, poly(ester amide), 20 wt%) and a maleic anhydride grafted polypropylene (2 wt%) (MAPP) were studied under various processing conditions. TLCP was pre-blended with MAPP first and then the binary one blended again with Ny6. The processing temperature of the second mixing was varied. Thermal properties show the partial miscibility of the ternary blend. The morphology of the TLCP phase in the first blending shows mostly in the fibril bundle shape, but varies between droplets and oriented fibrils after the second processing. Some of TLCP phase lost the fibril morphology during the second processing stage. The morphology variation invokes the change in tensile properties. Low extrusion temperature (270$\^{C}$) provides more fibril shapes, which are associated with less deformation in the second stage. The processing temperature effect was more evident when the draw ratio was high. High drawing was applicable due to the stabilizing action of tile compatibiliz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