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er particle

검색결과 731건 처리시간 0.031초

Silica sol 바인더를 적용한 백색 LED용 Ce:YAG remote 형광체 코팅 (Ce:YAG remote phosphor coating for white LED with silica sol binder)

  • 김수진;박하나;최재호;정윤성;김형준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212-217
    • /
    • 2021
  • Silica sol에 YAG 형광체를 첨가량별로 spin 코팅 후, 코팅막의 blue LED에서 백색광이 발현되는 정도와 표면 및 곡면 코팅용 binder로써,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SEM, PSA를 통해YAG의 입자 크기는 D50: 9~10 ㎛ 내외이며, XRD를 통해 YAG의 결정구조가 garnet(Y3Al5O12), cubic인 것을 확인하였다. 코팅막은 crack이 없고 동시에 silica sol이YAG 형광체를 균질하게 도포된 형상을 보였으며, 첨가량 증가와 비례하게 코팅막 내에서 YAG 첨가량과 두께는 최대 40 ㎛까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리고 YAG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L emission intensity 증가와 chromatic locus 곡선 끝 방향으로 색좌표 이동을 확인하였다. Soda-lime 유리기판 표면에 코팅 후, crack이 없으며 YAG 형광체가 균질하게 도포된 코팅성과 코팅막의 백색광 발현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직접적으로 LED에 다양한 형태의 형광 형상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Docetaxel-loaded PLGA nanoparticles to increase pharmacological sensitivity in MDA-MB-231 and MCF-7 breast cancer cells

  • Tran, Phuong;Nguyen, Thu Nhan;Lee, Yeseul;Tran, Phan Nhan;Park, Jeong-Sook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5권5호
    • /
    • pp.479-488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docetaxel (DTX) loaded 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nanoparticles (DTX-NPs) and to evaluate the different pharmacological sensitivity of NPs to MCF-7 and MDA-MB-231 breast cancer cells. NPs containing DTX or coumarin-6 were prepared by the nanoprecipitation method using PLGA as a polymer and d-α-tocopherol polyethylene glycol 1000 succinate (TPGS) as a surfactan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Ps were characterized. In vitro anticancer effect and cellular uptake were evaluated in breast cancer cells. The particle size and zeta potential of the DTX-NPs were 160.5 ± 3.0 nm and -26.7 ± 0.46 mV, respectively.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and drug loading were 81.3 ± 1.85% and 10.6 ± 0.24%, respectively. The in vitro release of DTX from the DTX-NPs was sustained at pH 7.4 containing 0.5% Tween 80. The viability of MDA-MB-231 and MCF-7 cells with DTX-NPs was 37.5 ± 0.5% and 30.3 ± 1.13%, respectively. The IC50 values of DTX-NPs were 3.92- and 6.75-fold lower than that of DTX for MDA-MB-231 cells and MCF-7 cells, respectively. The cellular uptake of coumarin-6-loaded PLGA-NPs in MCF-7 cel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MDA-MB-231 cells. The pharmacological sensitivity in breast cancer cells was higher on MCF-7 cells than on MDA-MB-231 cells. In conclusion, we successfully developed DTX-NPs that showed a great potential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DTX. DTX-NPs are an effective formulation for improving anticancer effect in breast cancer cells.

식용 제비집으로부터 비극성 비드기술을 활용한 시알산의 분리정제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rification Process of Sialic Acid from Edible Bird's Nest Using Affinity Bead Technology)

  • 김동명;정주영;이형곤;권용성;백진홍;한인석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1-90
    • /
    • 2020
  • Sialic acid, which is contained in about 60-160 mg/kg in the edible bird's nest (EBN), is known to facilitate in the proper formation of synapses and improve memory fun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effectively the sialic acid from edible bird's nest using affinity bead technology (ABT). After preparing the non-polar polymeric bead "KJM-278-28A" having a porous network structure, and then desorbed sialic acid was concentrated and dried. The analysis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ead "KJM-278-28A" showed that the particle size was 400-700 ㎛, the moisture holding capacity was 67-70%, the surface area (BET) was 705-900 ㎡/g, and the average pore diameter 70-87 Å.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bead "KJM-278-28A" for sialic acid was shown a strong physical force to bind sialic acid to the bead surface of 400 mg/L.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effects of sialic acid on water, ethanol, and 10% ethanol on the bead, it was confirmed that desorption effectively occurs from the beads when only ethanol is used. As a result of HPLC measurement of the separated sialic acid solution, a total of four sialic acid peaks of N-acetyl-neuraminic acid (Neu5Ac), α,β-anomer of Neu5Ac and N-glycoly-neuraminic acid were identified.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separate sialic acid from EBN extract with efficient and high yield when using ABT.

FTIR 분자구조 해석을 통한 에폭시-실리카 나노복합소재의 열기계적 물성 연구 (Study on the Thermomechanical Properties of Epoxy-Silica Nanocomposites by FTIR Molecular Structure Analyses)

  • 장서현;한유수;황도순;정주원;김영국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51-57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에폭시 수지에 포함된 나노 실리카 입자의 농도가 재료의 열/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약 12 nm 크기의 나노 입자를 에폭시 수지에 다섯가지 무게비로 섞은 나노복합소재를 제작하였다. DMA와 TMA 방법을 이용하여 유리전이온도, 응력이완, 열팽창 거동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나노입자가 재료의 점탄성 거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였다. 실리카 입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순수 에폭시 재료 대비 탄성 물성은 증가하였고, 유리전이온도는 감소하였다. FTIR 결과는 분자구조의 관점에서 충진제 함량에 따른 물성변화의 원인을 찾고 나노입자가 에폭시 분자 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저궤도 우주환경에서 에폭시-실리카 나노 복합소재의 열화거동 분석 (Analyses of Nano Epoxy-Silica Degradation in LEO Space Environment)

  • 장서현;한유수;황도순;정주원;김영국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8권12호
    • /
    • pp.945-952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저궤도 우주 환경(LEO) 조건에서 나노실리카 에폭시 복합소재의 실리카 농도가 재료의 열화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실리카 입자를 에폭시 수지에 10%와 18% 두 가지 서로 다른 무게비로 나노복합소재를 제작하여 저궤도 우주 환경 모사장치에서 열화시켰다. 열화된 나노복합소재를 대상으로 열중량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를 수행하였고 등변환법(Iso-conversional Method)에 기반한 Friedman 방법, Flynn-Wall-Ozawa(FWO) 방법, Kissinger 방법, 그리고 DAEM(Distributed Activation Energy Method)으로 활성화에너지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나노입자가 섞이지 않은 샘플은 열화가 진행되면서 중가함을 보였다. 그러나 10%와 18%는 열화 싸이클이 15회일 때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으며, 따라서 나노 입자가 열화 거동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보였다. 또한 활성화에너지 계산에 적용된 방법에 대해 토의하였다.

중공 자성입자를 포함한 복합재료 제조 및 전자파 특성 측정 (Preparation of polymer composites containing hollow magnetic particles and measurement of their electromagnetic properties)

  • 이진우;이상복;김진봉;이상관;박기연
    • Composites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31-35
    • /
    • 2008
  • 자성 금속 코팅을 위해 폴리스티렌 submicron 입자를 제조하였다. 니켈과 철 코팅을 위해 무전해 도금을 적용하였고 열처리를 통해 폴리스티렌을 탄화 시켜 중공형 구조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중공형 자성 입자는 가볍고 효율이 우수한 전자파 흡수체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코팅 층의 두께, 성분 및 표면 형상은 SEM/EDS/TEM 으로 관찰하였고, 중공 자성 입자의 전자파 특성 비교를 위해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복합재료의 투자율 측정 결과, 중공형 철이 니켈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바륨 페라이트 (Barium ferrite)와 같은 기존의 자성 재료보다 우수하였다.

폐기물 매립지 차수층 누출시 전기영동 복원을 위한 침출수에서의 향상기법 (The Enhanced Electrophoresis Method in Leachate System for Repairing of Leaks in Waste Landfill Geomembrane Liner)

  • 김종윤;한상재;김수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C호
    • /
    • pp.7-15
    • /
    • 2010
  • 폐기물 매립지에서 손상된 지오멤브레인 라이너에 의해 지층으로 오염물질의 침투가 유발된 경우, 환경적인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전기영동기법에 의한 지오멤브레인 라이너의 즉각적인 복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실제 매립장 침출수내에서 전기영동기법 적용시 침출수내 다양한 화학종과 점토입자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점토 입자들의 응집이 촉진되고, 전기영동적 이동보다 중력에 의한 침강거동이 우세하게 나타나며, 결국 실제 매립지 현장에 대한 전기영동기법의 적용상 한계점이 유발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점토입자의 응집을 최대한 방지시켜 전기영동력에 의한 입자의 개별적 이동이 유발될 수 있도록 전기영동 향상기법에 대한 1차원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PAA를 사용할 경우, 점토 끝단에 흡착된 폴리머의 전기적 척력효과로 인해 점토 입자의 분산화 효과가 증대되었다.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Li[Ni0.6Co0.2Mn0.2]O2의 소성 온도가 전기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lcinations Temperature 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Ni0.6Co0.2Mn0.2]O2 Lithium-ion Cathode Materials)

  • 유기원;전효진;손종태
    • 전기화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59-64
    • /
    • 2013
  • $Na_2CO_3$와 [M($SO_4$)(M = Ni, Co, Mn)]을 사용함으로써, Carbonate 공침 합성법에 의해 $[Ni_{0.6}Co_{0.2}Mn_{0.2}]CO_3$ 전구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전구체는 공기분위기에서 $Li_2CO_3$와 혼합하여 각각, 750, 850 그리고 $950^{\circ}C$에서 소성되었고, 이로 인한 $Li[Ni_{0.6}Co_{0.2}Mn_{0.2}]O_2$ 양극활 물질의 소성온도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Li[Ni_{0.6}Co_{0.2}Mn_{0.2}]O_2$의 구조와 특성은 X-선 회절 분석(XRD), 시차주사현미경(SEM) 그리고 전기화학적 측정으로 분석되었는데, X-선 회절 결과 $Li[Ni_{0.6}Co_{0.2}Mn_{0.2}]O_2$는 소성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I_{(003)}/I_{(104)}$는 증가하고 R-factor 는 감소하였으며, 시차주사현미경 결과에서는 1차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950^{\circ}C$에서 24시간 동안 소성된 $Li[Ni_{0.6}Co_{0.2}Mn_{0.2}]O_2$는 가역 용량이 $165.3mAhg^{-1}$[cut-off voltage 2.5~4.3 V, 0.1 C($17mAhg^{-1}$)] 그리고 50번째 충 방전 사이클 [cut-off voltage 2.5~4.3 V, 1 C($170mAhg^{-1}$)]까지 95.4%의 우수한 용량 보존율을 가지면서 가장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보여주었다.

전기차 인너벨트 웨더스트립용 EPDM/PP Thermoplastic Vulcanizates 재료설계인자에 따른 점탄성과 글라스 마찰 소음 상관관계 연구 (Investigation of Viscoelastic Properties of EPDM/PP Thermoplastic Vulcanizates for Reducing Innerbelt Weatherstrip Squeak Noise of Electric Vehicles)

  • 조승현;윤범용;이상현;홍경민;이상현;서종환
    • Composites Research
    • /
    • 제34권3호
    • /
    • pp.192-198
    • /
    • 2021
  • 전기차의 수요 및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차량 내 이음(buzz, squeak, rattle, BSR) 개선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에 풍절음, 도어 글라스 및 차량 진동을 차단하는 인너벨트 웨더스트립(innerbelt weatherstrip)의 댐핑(damping) 특성 향상을 통해 BSR을 저감하는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기존 열경화성(thermoset) 탄성체 대비 가볍고 재활용이 가능한 열가소성(thermoplastic) 탄성체가 주목을 받고 있지만 낮은 소재 댐핑과 영구압축줄음률(compression set)로 인해 도어 글라스와 웨더스트립 간 마찰 소음을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고분자 댐핑 특성은 점탄성(viscoelastic)에 좌우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인너벨트 웨더스트립과 도어 글라스 간 마찰 소음을 개선하기 위해 EPDM (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PP (polypropylene) thermoplastic vulcanizates (TPV)의 재료설계인자(EPDM/PP 비율, EPDM 내 ENB 함량)에 따른 점탄성 분석을 통해 소재 댐핑 특성을 평가하였다. EPDM/PP 비율에 따른 분석을 통해 PP 비율이 낮을수록 소재가 연화되고, 탄성회복력(resilience)이 증가하여 저장탄성률(storage modulus)은 10.8% 감소하고 댐핑 특성을 의미하는 감쇠계수(tanδ)는 88.2%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EPDM 내 ENB 함량이 높을수록 소재의 가교밀도(crosslink density)가 증가하지만, 동적가교(dynamic vulcanizate) 과정 중 PP에 분산된 EPDM particle의 크기가 감소한다. 이로 인해 증가된 EPDM/PP 계면 간 면적 증가로 인해 계면 미끄러짐에서 기인한 손실탄성률(loss modulus)이 24.7% 증가하여 댐핑 특성이 향상되었다. 재료설계인자에 따른 물성분석을 바탕으로 최적 소재(낮은 PP 비율(14 wt%), 높은 ENB 함량 (8.9 wt%))를 배합한 결과 소재 댐핑 특성(tanδ peak)은 기존 소재(PP27, EPDM/PP 30/27, ENB content 5.7 wt%) 대비 140% 증가하여 재료설계인자에 따라 댐핑 특성을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설계된 소재의 글라스 마찰 소음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tick-slip 시험을 통해 마찰 소음을 평가하였다. 소재 댐핑 특성이 향상됨에 따라 마찰 진동의 가속도 peak가 약 57.9%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재료설계인자에 따른 소재 댐핑 특성 향상을 통해 인너벨트 웨더스트립의 글라스 마찰 소음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소재 재료설계인자에 따른 물성 제어를 통해 부품의 요구 성능에 맞는 다양한 재료설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세유체장치를 이용한 생분해성 Polycarprolactone의 단분산성 미세입자 생성제어 (Controlled Production of Monodisperse Polycaprolactone Microparticles using Microfluidic Device)

  • 정헌호
    • 청정기술
    • /
    • 제25권4호
    • /
    • pp.283-288
    • /
    • 2019
  • 단분산성 마이크로입자는 약물캡슐화 및 전달을 위한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미세유체장치는 매우 균일한 액적을 생산할 수 있는 중요한 장치이며 이 액적은 단분산성 마이크로입자를 생성할 수 있는 중요한 템플레이트(template)로의 역할을 한다. 미세유체장치는 마이크론 크기의 채널로 구성되어 표면장력과 점성력 간의 균형을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단분산성 액적을 형성하는 필수적인 기술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유동집적채널 기반의 미세유체장치에서 매우 균일한 polycaprolactone (PCL) 생분해성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유동집적채널 기반의 미세유체장치는 polydimethylsiloxane (PDMS) 기반의 소프트리소그래피(soft-lithography) 방법을 통해 제작된다. 액적 생성에서 중요한 요소는 마이크로 액적의 크기와 단분산성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 미세유체장치에서 오일용액 분산상과 수용액 연속상의 부피유속을 제어하여 단분산성 액적 형성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그 결과 균일한 액적을 형성할 수 있는 dripping 영역에 대한 최척화된 유속조건을 확인하였다. 그런 다음, 마이크로입자를 생성하기 위해 PCL 고분자를 포함한 액적을 장치에서 형성한 후 용매의 증발에 의해 입자화 하였다. 입자의 크기는 부피유속과 미세유체채널의 크기에 의해 조절되며 입자의 단분산도는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값이 5% 이하로 제어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