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3초

창란젓갈의 포장에 관한 연구 -2. 파우치 포장 젓갈의 품질유지기한- (A Study in Packing of Changran-Jeotgal -2. Shelf-life a Plastic Pouch racking of Changran-Jeotgal-)

  • 윤지혜;이원동;장동석;강지희;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20
    • /
    • 2002
  • 신제조기법과 재래식방법으로 제조된 창란젓갈을 시험구와 대조구로하여 이들을 파우치 포장하여 각각 10, 20 및 $30^{\circ}C$에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창란젓갈의 파우치포장 low density polyethylene (PE), poly-ethylene terephthalate/polyethylen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ET), polyethylene/nylon/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E/Ny)에서 시험구와 대조구 모두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파우치 포장의 $CO_2$, 발생과 부피 팽창속도가 가속화되었으며, 부피팽창 속도는 PE/Ny, PET, PE 순으로 빨랐다. 한편, pH, L값, VBN의 변화속도는 PE가 가장 빨랐으며 그 다음이 PET, PE/Ny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저장 전 구간에 있어서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변화속도가 완만하였다. 포장재별로 각 온도에서 저장한 창란젓갈의 생균수변화를 조사한 결과 온도가 높을수록, 대조구가 시험구보다 생균수 증가가 빨랐다. 일반적으로 젓갈 포장에 사용되고 있는 PE의 경우 PET나 PE/Ny에 비하여 필름의 가스투과성이 높아 호기성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PET나 PE/Ny 파우치 포장으로 대체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창란젓갈 파우치포장의 관능검사에서 상품성이 유지되는 품질기준을 6.0 이상으로하여 품질유지기한을 설정하였을 때, $10^{\circ}C$에서PE, PET, PE/Ny 포장의 품질유지 기한은 대조구가 20일, 40일, 40일인데 비하여 시험구는 40일, 50일, 60일로 나타나 10$\~$20일 정도 연장되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창란젓갈 저장시 품질측정변수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파우치포장에서는 파우치의 부피, pH, L값, 휘발성염기질소 (VBN), 관능검사 등이 상관관계가 높아 젓갈 포장에서 품질지표항목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MF로 처리된 PET Film의 표면모폴로지와 미세구조에 대한 연구 (A Studies on the Surface Morphology and Fine Structure of PET Film Treated by DMF)

  • 서은덕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9-64
    • /
    • 2004
  • As a simulation of solvent-assisted dyeing, the solvent effects on the structur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film treated by dimethylformamide(DMF) were investigated. The effects were evaluated by the atomic force microscopy(AFM) topographical changes and FT-IR spectrum analysis. PET films treated with DMF at $70^{\circ}C$ for several different treatment time(20, 40, and 60 min). AFM topography showed that, with increasing treatment time by DMF, PET surfaces became smooth due to the swelling phenomenon and the rigid structure changed into flexible state which was contributed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PET films. FT-IR spectrum analysis showed that DMF and molecular chains of PET interacted each other via their polar carbonyl groups and that DMF also affected the out-of-plane bending vibration mode of phenyl ring of PET.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수용액이 PET직물의 습윤특성에 미치는 영향 (제2보) -계면활성제와 직물의 특성- (Effect of Nonionic Surfactant Solutions on Wetting and Absorbency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Fabrics (Part II) -Surfactants Characteristics and Fabric Properties-)

  • 김천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546-1553
    • /
    • 2005
  • 비 이온계 계면활성제인 Span 20, Tween 20,40, 60, 80, 21, 61, 81, 65, 85 수용액이 PET직물의 습윤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5종류의 PET직물이 사용되었는데, PET 1, 2, 3은 밀도, 두께 등이 서로 다르고 가공은 되어 있지 않고, PET 4와 PET 5는 물리적 특성이 PET 2와 비슷한데 PET 4는 heat set가 공이 되어 있고 PET 5는 rewetting agent가 첨가되어 있다. PET직물의 습윤특성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첨가되면 크게 향상되며, 수분 보유량은 $cos{\theta}$와 adhesion tension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친유기가 짧은 친수성 계면활성제나 불포화탄화수소 친유기 구조를 가진 계면활성제가 PET직물의 습윤특성 향상에 효과적이다. 계면활성제가 없을 경우 수분 보유량비(W/H)는 실 간 간격이 넓은 PET직물이 작은 직물보다 컸으나, 비이올계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경우 W/H는 실 간 간격에 관계없이 유사해졌다. 물리적 특성이 비슷해도 heat set가공이 되어 있는 직물은 가공이 되어 있지 않은 직물보다 W/H 값이 작았고, rewetting agent가 첨가된 직물은 W/H 값이 컸다.

폐PET/TPE 내열.탄성 블렌드 성형체의 제조 및 특성 분석

  • 강영구;송종혁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76-179
    • /
    • 2003
  •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인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수지는 투명성, 강도특성, 내열특성, 기체차단성 등 물성이 우수하여 합성섬유, 이축연신 film, 식음료용 bottle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는 적용범위가 매우 넓은 고분자 소재이다. 그러나 폐기된 PET 수지를 물질재활용(material recycling) 방법으로 재가공할 경우 수지 자체가 갖는 가수분해(hydrolysis)와 열분해(thermal degradation) 특성으로 인해 가공성 및 기계적 특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중략)

  • PDF

고성능 페트 생산용 폴리스티렌 기반 하이브리드형 나노구조체 생산 (Manufacture of Yellow Ocher Polystyrene-Based Hybrid Nanoparticles for High-Performance PET Applications)

  • 최재봉;김상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8호
    • /
    • pp.701-707
    • /
    • 2014
  • 친환경 소재인 황토는 화장품, 건축물, 식 음료 저장용기 등의 제조에 이용된다.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페트) 는 식 음료 저장용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미세기공(~nm)이 존재하여 페트 내 외부 사이에 공기의 유동으로 음료수에 유통기한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황토-폴리스티렌 하이브리드 구조체를 제작하여 이를 페트에 적용시켜 유통기한의 연장을 꾀하고자 한다. 친수성 소재인 황토의 소수성 페트에 직접적용을 위해 매개체로 소수성 폴리스티렌을 이용하였다. 나노크기의 황토입자가 분산된 현탁액을 에멀젼 중합으로 나노크기의 폴리스티렌 입자 내부에 캡슐화 시켰다. 원활한 캡슐화 과정을 위해 에멀젼 중합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제작된 하이브리드 구조체의 형태 및 캡슐화 정도를 주사전자현미경, X-선 분광기, X-선 회절 분석기로 분석하였다.

Fabrication of Flexible Graphene Transparent Conducting Film by Self-Assembled Monolayers 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 고용훈;정대성;조주미;;차명준;전승한;정우성;박종윤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5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82-282
    • /
    • 2013
  • 그래핀(Graphene)은 열 전도도가 높고 전자 이동도(200 000 cm2V-1s-1)가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전자재료로써 유망한 후보로 간주되어 왔다. 최근에는 아크 방출(Arc discharge method), 화학적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이온-조사법(Ion-irradiation) 등을 이용한 이종원자(Hetero atom)도핑과 화학적 처리를 이용한 기능화(Functionalization)등의 방법으로 그래핀의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기판의 표면을 거칠게 하며, 그래핀에 많은 결함들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자가 조립 단층막법(Self-Assembled Monolayers; SAMs)을 이용하여 기판을 기능화한 후 그 위에 그래핀을 전사하면, 자가 조립 단층막의 기능기에 따라 그래핀의 일함수를 조절 가능하고 운반자 농도나 도핑 유형을 변화시켜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최적화 할 수 있다 [1-3]. 본 연구에서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기판에 SAMs를 이용하여 유연하고 투명한 그래핀 전극을 제작하였다. 자외선 오존처리 (UV ozone treatment)를 이용하여 PET 기판 표면 위에 하이드록실 기(Hydroxyl group; -OH)를 기능화 화였고 이를 접촉각 측정(Contact angle measurement)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3-Aminopropyltriethoxysilane(APTES)와 톨루엔 (toluene)을 이용하여 PET 기판 표면 위의 하이드록실 기 위에 아민 기(Amine group; -NH2)를 기능화 하였고 이를 X-선 광전자 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으로 분석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PET기판 표면 위에 화학적 기상 증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한 대면적의 균일한 그래핀을 전사하였다. NH2그룹에 의해 그래핀에 도핑 효과가 나타난 것을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scopy)과 전류-전압 특성곡선(I-V characteristic curve)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유연하고 투명한 기판 위에 안정적이면서 패턴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래핀을 기반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에 적용 가능할 것이라 예상된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Dyeing Technical PET Yarns Having Different $TiO_2$ Contents

  • Cho Dae Hwan
    • Fibers and Polymers
    • /
    • 제5권4호
    • /
    • pp.321-326
    • /
    • 2004
  • [ $TiO_2$ ] contents in yarns can influence color yield so that dyeing quality of industrial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yarns can be improved through the adjustment of $TiO_2$ contents. To evaluate the dyeing performance of color yield, the chips which included the different $TiO_2$ contents of 330,550, and 1,100 ppm respectively were used to produce the yarns of different $TiO_2$ content by a spin-draft machine. The phys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yarns were measured to investigate effect of the $TiO_2$ contents on them. Dye uptake and dyeing rate were also evaluated using a colorimeter to compare the yarns having different TiOz cont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appreciable variation in phys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among the yarn samples and no difference were observed among the dyed fabric samples with regard to dyeing uptake and dyeing rate. However, the color yield of dyed fabrics increased as $TiO_2$ contents decreased in the yarns especially when the fabric samples were dyed to pale shade. The physical reasoning could be proposed on why the yarns having low $TiO_2$ contents appeared to have higher color yield after dyeing.

Sulfona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의 중금속 흡착능 (Heavy Metal Absorption Properties of Sulfona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 강영구;김동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92-9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eavy metal absorption of recycled PET(poly ethylene terephatalate) NWF(non woven faric). The results of test are summarized as follows; Heavy metal abworption rates in Ni ions were higher then Zn and Cu ions, whereas heavy metal absorption rates by sulfonation times were not different. The heavy metal absorption times have a higher tendency from 60 min to 120 min.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among the amount used CSA(Chloro Sulfuric Acid) and the amount of absorption Zn(r = -0.33784, p < 0.05), Cu(r = -0.61177, p < 0.01) ions, whereas correlations between heavy metal absorption rates and sulfonation times were not significan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amount of absorption Zn ions and the amount of absorption Ni(r = 96475, p < 0.014), Cu(r = 0.51614, p < 0.01) ions, likewise th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absorption N ions and the amount of absorption Cu(r = 0.54766) ions were significant(p < 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