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amine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44초

담배나방의 난소발생시 폴리아민 합성효소에 미치는 저해제의 효과 (Effects of Inhibitors (DFMO, DFMA) on Polyamine Synthetic Enzymes (ADC, ODC) during Ovarian Development of the Tobacco Budworm, Helicoverpa assulta)

  • 우장환;김문익;김선희;이형철;정성은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6-35
    • /
    • 1999
  • Effects of $\alpha$-difluoromethylornithine (DFMO) and $\alpha$-difluoromethylarginine (DFMA), inhibitors of polyamine syntheic enzymes (ornithine decarboxylase, arginine decarboxylase), on ovary were investigated during pupal-adult development of Helicoverpa assulta. Two inhibitors (DFMO, DFMA) showed definite inhibition effects on ovarian development. The inhibition effect on ovaries weight was more marked in DFMA-injection than that observed in DFMO-injection. Two inhibitors (DFMO, DFMA) gave rise to a peculiar decrease in ornithine decarboxylase (ODC) or arginine decarboxylase (ADC) activity in ovaries, 72 hrs (5-day old pupa) post injection. However, DFMO clearly exhibited supression of ODC activity after 96 hrs (6-day old pupa). In addition, two inhibitors (DFMO, DFMA) diminished putrescine content in the ovary. The spermidine level was slightly decreased by each injection of the inhibitors. However, two inhibitors (DFMO, DFMA) raised the spermine content at certain developmental stages in the ovary. Although the effect of DFMA was less severe, two inhibitors (DFMO, DFMA) caused not only an overall delay in ovarian development, but also abnormalities in cellular differentiation. Noted effects in the pupal ovary were the appearance of irregular nurse cells and partial destruction of follicle epidermal cells. Adult ovary showed rapid degradation of nurse cells,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follicle epidermal cells and immature oocytes that had a low yolk content.

  • PDF

지료조성에 따른 AKD사이징의 효과

  • 이현철;김봉용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90-90
    • /
    • 2001
  • 1980년대 중반이후 국내에서는 기존의 로진-알람을 이용한 산성 초지 대신 중성 초지 로의 전환이 가속화 되어왔다. 현재 거의 모든 지종이 중성 초지 조건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A ASA(alkenyl succinic anhydride)와 함께 대표적 중성 사이즈제로 널리 쓰이고 있는 A AKD(alkyl ketene climer)를 이용한 중성 사이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AKD를 이용한 중성 사이정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 하여 지료 조성에 따른 AKD의 사이즈 발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공시펼프로는 미세분이 적은 미고해 NBKP와 신문고지를 실험실에서 탈묵한 DIP를 사 용하였으며, 정착제로는 PAM 및 분자량과 전하밀도가 서로 다른 3종의 Polyamine을 사용 하였다. 충전제로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공업용 Clay, Talc와 탄산칼습을 사용하였다. 각기 다른 지료 조성에서 AKD 사이즈도의 발현과 효과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적으로 미세분의 제거, 섬유손상의 억제, 적절한 정착제의 사용, 열처리 등의 조건 들이 갖추어 질 때 AKD의 사이정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었다. 탄산칼습이나 Talc같은 낮 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충전물들은 AKD 사이정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정착제 로서의 PAM의 첨가는 DIP에서 Polyamine보다 낮은 사이즈도를 보였으나 NBKP에서는 더 효과적이였다. Polyamine은 소량 투입만으로 일정수준의 사이즈도를 나타낼 수 있는 정착제 로 특히 DIP 사이정에 상당히 효과적이였으나 사용량과 충전물의 첨가에 매우 민감하게 반 응하였다.

  • PDF

생체생장에 관한 세포생물학적 연구 당근 뿌리의 원형질체에서 polyamine과 $Ca^{2+}$$\beta-glucan$ synthet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Cell Biological Studies on Growth and Development Effect of$Ca^{2+}$ and polyamine of $\beta-glucan$synthetase activity in carrot root protoplast)

  • 이순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0권3호
    • /
    • pp.173-179
    • /
    • 1987
  • The effect of polyamine, Ca2+ and calmodulin on GS ($\beta$-glucan synthetase) activity was studied in Daucus carota root. The Ca2+ is shown to have no effect on the GS activity whereas the GS II activity is increased in response to increase in concentration of the Ca2+. When the protoplasts are cultured, for 4 days, the GS II activity increases as a tunction of time and reachs a maximum after 3 days at a time when the network of cellulose microfibrils is known to be synthesized. The effect of the Ca2+ and 1mM spermine on the GS II activity turns out to be synergistic, especially more synergistic at lower concentration of the Ca2+. The GS II activity seems to be enhanced by the Ca2+. The GS II activity in the protoplast treated by the calcium channel blocker, verapamil, turns out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Cumulative results suggest that the Ca2+ stimulates the cell wall regeneration via enhancement of the GS II activity responsible for synthesizing the cell wall component throught synergistic effect with spermine.

  • PDF

들송이(Agrocybe cylindracea)와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ius)을 배양한 대두추출물의 암예방 효과 (Chemopreventive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Soybean Fermented with Basidiomycetes)

  • 김소연;손준호;하효철;이항우;이재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4-13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버들송이(Agrocybe cylindracea)와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ius)을 배양한 대두 추출물의 암예방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in vitro상에서 암발생 억제물질 연구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작 즉, Quinone reductase(QR), glutathione S-transerase(GST)의 활성 유도, glutathione(GSH)의 생성 촉진 그리고, polyamine 합성대사의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버들송이와 말똥진흙버섯를 배양한 대두 추출물이 마우스 hepatoma Hepa1c1c7 cell 배양에서 QR과 GST 유도활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GSH 생성량은 버들송이를 배양한 대두 추출물에서 20%, 말똥진흙버섯를 배양한 대두 추출물에서 40%로 증가하였다. 한편, 버들송이와 말똥진흙버섯을 배양한 대두 추출물의 polyamine 합성대사의 억제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Acanthamoeba castellanii의 증식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버들송이와 말똥진흙버섯을 배양한 대두 추출물 20mg/3ml와 40mg/3ml를 처리할 경우 A. castellanii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담자균을 배양한 대두 추출물은 in vitro상에서 나타난 암과 관련된 각종 활성으로부터 암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Methylglyoxal-bis (Guanylhydrazone)와 에틸렌 생합성 저해제가 대두 자엽 부정근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ylglyoxal-bis (Guanylhydrazone) and Ethylene Synthesis Inhibitor on Adventitious Root formation from Soybean Cotyledon)

  • 조형일;한태진;하건수;이순희;김응식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27-332
    • /
    • 1994
  • MGBG와 에틸렌 저해제가 대두 자엽 부정근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에틸렌 생성량과 내생 polyamine 함량을 조사하였다. 대두 자엽 절편을 부정근 형성 배지에 2주간 배양하면서 관찰한 결과 많은 양의 부정근이 형성되었으나 $10^{-3}$ M MGBG를 처리하면 부정근 형성이 거의 억제되었다. 그러나 MGBG + spermine, MGBG + Cocl$_2$ 및 MGBG + spermine + Coc1$_2$를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 부정근 형성 억제가 회복되었다. $10^{-3}$ M MGBG에 spermine을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 $10^{-5}$ M의 spermine 혼합 처리시 다소회복되었다. $10^{-3}$ M MGBG +$10^{-5}$ M spermine + $10^{-4}$ M Coc1$_2$ 처리구에서는 부정근 회복능이 $10^{-3}$ M MGBG +$10^{-5}$ M spermine 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였다. 또한 에틸렌 생성량과 polyamine 함량을 $10^{-3}$M MGBG, $10^{-3}$ M MGBG +$10^{-5}$ M spermine, $10^{-3}$ M MGBG +$10^{-4}$ M CoCl$_2$$10^{-3}$ M MGBG +$10^{-5}$ M spermine + $10^{-4}$ M Coc1$_2$처리구에서 조사한 결과 $10^{-3}$ M MGBG 단독 처리구에서 에틸렌 생성량이 가장 높았으며, spermidine과 spermine의 함량은 가장 낮았다. 부정근 형성능이 다소 회복된 $10^{-3}$ M MGBG+ $10^{-5}$M spermine 혼합처리구에서의 에틸렌 생성량은 대조구보다는 다소 높게 나타났다. 부정근 회복능이 가장 높았던 $10^{-3}$ M MGBG+ $10^{-5}$ M spermine + $10^{-4}$ M Cocl$_2$ 혼합처리구에서 에틸렌 생성량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olyamine 함량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아미노산, Polyamine 및 flavonoid 첨가가 복숭아 화분의 저온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ino Acid, Polyamine, and Flavonoid on the Pollen Germination of Peach(Prunus persica SIEB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 천병덕;최인수;강점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11-715
    • /
    • 2006
  • 복숭아는 다른 과수에 비하여 개화기가 빨라 저온으로 인한 화분발아 장해로 결실율이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온에서 복숭아의 화분 발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자 화분발아 배지에 아미노산, polyamine, flavonoid 등을 첨가하여 일련을 실험을 수행하였다. 저온에서 배지내 첨가물질로써 asparagine, glutamine, spermine, putrescine, kaemferol이 유효하였으며, 이들의 적정농도는 asparagine과 glutamine는 10 mM, spermine 100 mM, putrescine 1000 uM, kaemferol은 1.0 uM 이였다. 저온에서 발아율이 높았던 처리는 $100\;mg{\cdot}L^{-1}\;H_3BO_3+10\;mM$ asparagine 혼용조합이었고, 다음이 $100\;mg{\cdot}L^{-1}\;H_3BO_3+10\;mM$ glutamine 혼용조합, $100\;mg{\cdot}L^{-1}\;H_3BO_3+200\;{\mu}M$ spermine 혼용조합 순이었다. 기본배지에 치상된 ‘장택백봉’의 화분 발아율은 25.4%, '수봉' 13.9% 불과하였으나, $100\;mg{\cdot}L^{-1}\;H_3BO_3+10\;mM$ asparagine 첨가된 배지는 두 품종 모두 대조구보다 화분 발아율이 $18{\sim}19%$ 증진되었다. 아미노산과 폴리아민 첨가에 의한 화분발아율 증진 효과는 '장택백봉' 보다는 '수봉'에서 더욱 현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