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butylene succinate adipat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Poly(butylene glutarate-co-adipate-co-succinate-co-terephthalate) 공중합체의 서열분포 및 열적성질 (Sequence Distribution and Thermal Property of Poly(butylene glutarate-co-adipate-co-succinate-co-terephthalate) Copolyesters)

  • 박상순;조윤;강혜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82-690
    • /
    • 1999
  • 사성분계 랜덤 공중합체인 poly(butylene glutarate-co-adipate-co-succinate-co-terephthalate)(PBGAST)를 합성하고 $^1H-NMR$ 분광분석법, 시차주사열량분석법(DSC) 및 X-선회절법 등을 시행하였다. PBGAST 공중합체의 융점거동과 결정화거동은 반응조건 뿐 만 아니라 공중합체내 terephthalate 단위의 함량에도 의존하였다.

  • PDF

고활성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분해균의 선발 (Screening of Microorganisms with High Poly (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Degrading Activity)

  • 김말남;이선희;김완규;원항연
    • 환경생물
    • /
    • 제25권3호
    • /
    • pp.267-272
    • /
    • 2007
  • 우리나라 20개 지역의 경작토, 쓰레기 매립토, 부엽토 및 활성오니토에서 채취한 40개 토양 시료로부터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PBSA)를 분해하는 미생물을 $37^{\circ}C$에서 강화배양과 투명환시험법을 이용하여 PBSA를 분해하는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세균은 16S rDNA 염기서열분석으로 동정한 결과 Streptomyces sp. PBSA-1로 밝혀졌으며 진균은 형태적, 배양적 특징을 통하여 Aspergillus fumigatus PBSA-2와 Aspergillus fumigatus PBSA-3으로 동정되었다. 변형 Sturm test를 이용하여 선발균의 PBSA분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37^{\circ}C$에서 40일 동안 Streptomyces sp. PBSA-1은 PBSA를 83% 분해하였으며, A. fumigatus PBSA-2와 A. fumigatus PBSA-3은 PBSA를 각각 65% 및 75%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균주들은 PBSA의 분해에 대하여 매우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폴리에스테르의 화학적 구조에 따른 생분해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odegradable Properties of Polyesters associated with their Chemical Structures)

  • 우제완;손명호;차혜영;박용성;장길상;황영애;박상순
    • 청정기술
    • /
    • 제8권4호
    • /
    • pp.223-228
    • /
    • 2002
  • 다양한 화학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를 분해성 수지인 셀룰로오스와 비분해성 수지인 PVC 및 PE를 기준물질로 한 controlled compost test와 soil burial test를 적용하여 생분해 거동을 살펴보았다. 이들 고분자의 화학구조가 유연한 지방족 사슬과 에스테르기를 가지고 있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는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분해되고,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공중합 형태의 폴리에스테르는 상대적으로 낮은 생분해도를 보여주었다. 조절된 퇴비화 조건에서 셀룰로오스가 45일에 70.6%의 분해도를 보일 때, 합성된 poly(butylene adipate-co-succinate), poly(butylene succinate), poly(butylene adipate-co-succinate-co-terephthalate)는 각각 44.0%, 32.0%, 23.4%,의 생분해도를 보여주어 이들 고분자의 화학적 구조에 따라 생분해거동이 많은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and processing of Biodegradable polymer blends of poly(lactic acid) with poly(butylene succinate adipate)

  • Lee, Sang-Mook;Lee, Jae-Wook
    • Korea-Australia Rheology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71-77
    • /
    • 2005
  • We investigated thermal, rheological, morph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 binary blend of poly(lactic acid) (PLA) and poly(butylene succinate adipate) (PBSA). The blends were extruded and their molded properties were examined. DSC thermograms of blends indicated that the thermal properties of PLA did not change noticeably with the amount of PBSA, but thermogravimetric analysis showed that thermal stability of the blends was lower than that of pure PLA and PBSA. Immiscibility was checked with thermal data.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blends changed remarkably with composition. The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of blends decreased with PBSA content. Interestingly, however, the impact strength of PLA/PBSA (80/20) blend was seriously increased higher than the rule of mixture. Morphology of the blends showed a typical sea and island structure of immiscible blend. The effect of the blend composition on the biodegradation was also investigated. In the early stage of the degradation test, the highest rate was observed for the blend containing $80wt\%$ PBSA.

Poly(butylene adipate-co-succinate)/Thermoplastic Starch 블렌드의 물성과 발포특성 (Physical Properties and Foaming Characteristics of Poly(butylene adipate-co-succi nate)/Thermoplastic Starch Blends)

  • 김상우;박준현;김대진;임학상;서관호
    • 폴리머
    • /
    • 제29권6호
    • /
    • pp.557-564
    • /
    • 2005
  • 전분을 가소화시킨 thermoplastic starch(TPS)를 제조하고 이를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하나인 poly (butylene adipate-co-succinate) (PBAS)와 블렌드하였다. TPS의 조성 및 함량이 PBAS의 기계적 물성과 열적 성질 및 생분해도에 미치는 영향과 PBAS/TPS 블렌드의 발포특성을 관찰하였다. 소량의 TPS가 첨가됨에 따라 PBAS/TPS 블렌드의 인장강도,신장률 및 인열강도는 급격히 저하되다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폭이 둔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TPS는 PBAS 블렌드의 결정화도와 열분해온도를 낮추었다. PBAS/TPS 블렌드에서 TPS의 함량이 20 phr일 때 최고의 발포배율을 가지는 발포체가 얻어졌으며,TPS 함량이 증가할수록 발포 배율은 낮아졌다.

토양 매립 시험에서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의 생분해 특성 (Bio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during Soil Burial Test)

  • 김말남
    • 환경생물
    • /
    • 제28권3호
    • /
    • pp.150-157
    • /
    • 2010
  • 자연 토양 및 Burkholderia cepacia를 접종한 멸균 토양에 PBSA film을 매립하여 PBSA의 생분해 특성을 조사하였다. 상온에서 80일간 매립 시험을 실시한 결과, 자연 토양에서는 PBSA film의 34.0%, B. cepacia를 접종한 멸균 토양에서는 59.2%의 질량 감소가 일어났으며 PBSA film의 표면 형태 변화도 B. cepacia를 접종한 멸균 토양에 매립한 경우가 자연 토양에 매립한 경우에 비하여 PBSA film 표면의 침식 및 균열이 더 빠르게 일어났다. PBSA film을 매립하였을 때 80일 후 자연 토양에서 세균수는 6~7배 증가한 반면 B. cepacia를 접종한 멸균 토양에서 개체수는 10~14배 증가하였다.

토양에서 분리한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분해균의 분해활성 증진 (Improvement of Degrading Activity of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Degrading Strains Isolated from Soils)

  • 주현진;김말남
    • 환경생물
    • /
    • 제27권2호
    • /
    • pp.198-204
    • /
    • 2009
  • 우리나라 서울시와 경기도 일대의 토양으로부터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PBSA)를 분해하는 중온성세균 3주를 분리하였다. 0.01%의 PBSA film이 유일 탄소원으로 첨가된 변형 Sturm test에서 40일간 PBSA의 생분해도는 각 분리균주가 30%, 55% 및 43%를 나타내었으며, 이 중 Bacillus licheniformis PBSA-5의 경우는 PBSA뿐만 아니라 PVA에도 분해 활성을 나타내어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분리균주에 대한 16S rDNA 염기서열분석 결과로부터 각각 Burkholderia cepacia PBSA-4, Bacillus licheniformis PBSA-5 및 Burkholderia sp. PBSA-6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주들의 PBSA 분해 활성은 $27^{\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7^{\circ}C$ 이상의 고온에서는 분해 활성이 감소하였다. 초기 균 접종량이 $10^{10}cfu\;mL^{-1}$일 때 $10^9cfu\;mL^{-1}$보다 PBSA의 분해 활성이 약 1.2~1.3배 증가하였다. 0.1 및 0.5%의 gelatin, yeast extract 및 ammonium sulfate를 첨가한 경우에 PBSA의 분해 활성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0.1% gelatin의 첨가는 PBSA의 분해 활성을 33% 증진시켰다. 또한 각 분리균주를 단독 배양할 때보다 두 균주를 혼합 배양한 경우는 PBSA의 분해 활성이 약 1.2배~2.1배까지 증진되어 PBSA의 생분해도는 54~68%에 도달하였다.

생분해성 PBAST와 변형 열가소성 전분 블렌드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iodegradable Blends of PBAST and Chemically Modified Thermoplastic Starch)

  • 신부영
    • 폴리머
    • /
    • 제35권6호
    • /
    • pp.580-585
    • /
    • 2011
  • 본 연구는 석유유래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butylene adipate-co-succinate-co-terephthalate)(PBAST)의 생분해도와 친환경성을 높이기 위하여 변형 열가소성 전분(CMPS, chemically modified thermoplastic starch)을 첨가하였다. CMPS는 천연고분자인 전분을 가소제, maleic anhydride(MA) 및 반응개시제로 반응시켜 제조한 일종의 식물유래 생분해성 수지이다. PBAST/CMPS 블렌드의 파단면 사진으로부터 PBAST와 CMPS 상이 분리된 비혼화성 (immiscible blend) 블렌드이지만 상 사이의 계면 형상이 좋은 상용성 블렌드임을 알 수 있었다. 인장강도와 연신율은 CMPS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지만 탄성률은 증가하였다. 블렌드의 생분해도는 순수 PBAST에 비해 매우 높았고 CMPS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PBSA 분해효소 유전자의 분석 (Analysis of Gene Encoding the PBSA Degradation Enzyme)

  • 주현진;김말남
    • 환경생물
    • /
    • 제28권2호
    • /
    • pp.95-100
    • /
    • 2010
  • 우리나라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주와 김 2009) poly (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PBSA) 분해균 Burkholderia cepacia PBSA-7, Bacillus licheniformis PBSA-8 및 Burkholderia sp. PBSA-9에서 PBSA 분해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PCR을 수행하여 B.cepacia PBSA-7과 Burkholderia sp. PBSA-9는 약 1.5 Kb, B. licheniformis PBSA-8은 약 600 bp의 lipase 유전자(lip A) 절편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 균주 모두에서 유전자의 염기서열 내 lipase box인 Gly-X1-Ser-X2-Gly와 Ala-X1-Ser-X2-Gly가 존재하였다. B. cepacia PBSA-7의 PBSA 분해효소 유전자는 family I-1 lipases와 36~40%, family I-2 lipases와는 82~92%의 높은 유전적 상동성을 보였다. 또한 B. licheniformis PBSA-8의 PBSA 분해효소 유전자는 subfamily 1-4 lipases와 64~65%의 유전적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나, subfamily 1-5에 속하는 lipase들과는 거의 유전적 상동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Burkholderia sp. PBSA-9의 PBSA 분해효소 유전자도 family I-1 lipases와 35~37%, family I-2 lipases와는 83~94%로 높은 유전적 상동성을 보여 B. cepacia PBSA-7의 PBSA 분해효소 유전자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해수 미생물의 환경친화성 플라스틱의 생분해 특성 (Bio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Eco-friendly Plastics by Seawater Microbes)

  • 김말남;윤문경
    • 환경생물
    • /
    • 제26권3호
    • /
    • pp.247-251
    • /
    • 2008
  • 통영, 인천, 군산 및 홍성의 해수 미생물에서 각종 어업용구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 Mater-Bi$^{(R)}$, PHBV, PBSA 및 PCL의 분해거동을 조사하였다. Acinetobacter lwoffu/junii와 Shewanella algae/putrefaciens는 모든 해수속에 서식하고 있었으며 Eikenella corrodens 역시 비록 YITEK 결과의 신뢰도가 조금 낮은 수준으로 동정되었지만 모든 해수에서 검출되었다. 해수에서는 Mater-Bi$^{(R)}$가 PHBV, PBSA및 PCL보다 더 빠르게 분해되어 토양 환경에서의 분해와는 다른 거동을 나타내었다. 인천의 해수가 이들 플라스틱에 대하여 가장 높은 분해활성을 보였으며 이는 인천의 해수가 가장 많은 수의 total viable count를 포함하고 있는데 일부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