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tical change

검색결과 591건 처리시간 0.029초

동아일보의 신탁통치 왜곡보도 연구 (A Study on Trusteeship Reports of Dong-a Ilbo)

  • 김동민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2권
    • /
    • pp.135-153
    • /
    • 2010
  • 동아일보는 해방 직후 시기에 친일파 지주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한 한국민주당(한민당)의 기관지 역할을 하면서 왜곡보도로써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선동하여 여론전의 주도권을 장악하려 했다. 이는 미 국무성의 방침과 달리 신탁통치를 반대했던 미군정 당국의 견해를 대변하는 동시에 즉시독립을 갈망하는 민중의 정서를 이용하여 친일파 집단의 정체성을 불식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모스크바 3상회의의 결정을 왜곡하면서 반탁=반공=반소의 분위기를 조장했다. 이것은 과오에 의한 오보가 아닌 의도적인 허위.왜곡보도였다. 그 결과 반탁=반소=반공=애국, 친탁=친소=용공=매국의 공식이 성립되었다. 친일파들이 애국자로 둔갑하고, 반대로 3상회의의 결정을 수용하여 민주정부 수립을 추진한 사람들은 독립을 원하지 않는 매국노로 매도되었다. 이로써 토지개혁과 친일파 청산의 과제는 실종되었다. 그것을 바랐던 민중들도 반탁선동에 매몰되어 현안의 과제를 잊어버린 것이다. 그 분위기에서 친일파들은 미군정의 도움을 받아 단독정부 수립에 박차를 가함으로써 정국의 주도권을 완전하게 장악하였다. 친일파들이 한국사회의 주류가 되어 새 역사의 출발을 왜곡시켜 놓은 것이다. 나치독일에 협력했던 지식인들을 철저하게 숙청함으로써 새 나라의 기초를 튼튼하게 놓은 프랑스와 대비되는 대목이다. 동아일보는 태도는, 역사적으로 정치적 격변기에 나타나는 정론지(政論紙)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객관성과 중립성, 불편부당을 표방하며 시장에서의 경쟁을 통해 독자를 확보하려 했던 대중지(大衆紙)가 출현하기 직전, 정파적 견해를 대변하면서 정치적 목적의 선전과 선동을 일삼던 정치신문의 모습인 것이다.

  • PDF

체제변동국가의 경험과 북한의 변화: '미얀마 모델'의 적용 가능성 (An Experience of a Country in Transition and the Change of North Korea : An Adaptation of the 'Myanmar Model')

  • 장준영
    • 국제지역연구
    • /
    • 제22권2호
    • /
    • pp.305-330
    • /
    • 2018
  • 이 글의 목적은 21세기에 들어 불량국가 중 가장 모범적인 변화를 추동한 미얀마의 경험이 과연 북한에 적용 가능한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 북한의 대화와 개혁개방 의지는 미얀마 군부가 스스로 군사평의회를 해체하고 총선을 통해 새로운 정치체제로 나아간 전례와 유사하다. 소위 '미얀마 모델'은 국제사회의 제재와 압력으로 인해 불량국가로 낙인 찍한 국가가 위로부터의 변화(transformation)를 선택함으로써 정치체제를 연성화하고 시장을 개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정치 엘리트가 주도적으로 국가의 전환을 계획하고 시행하기 때문에 개방이후 사회 전분야에 걸친 빠른 속도의 변화는 불가능하다. 미얀마의 경우 장기간에 걸친 군부 독재와 이로 인해 군사문화의 사회 침투 수준이 높고, 민주진영이라는 민간정부에서조차도 권위주의적 의사결정에 길들여져 있다. 나아가 군부의 기득권을 회수하지 못하는 기형적인 정치구조로 구체제를 위한 "예약된 영역"이 존재하므로 정치구조의 변화에 맞는 질적인 측면의 정치발전이 이뤄지지 않는다. 북한 또한 장기간의 독재체제로 인해 시민사회가 성숙하지 못했고, 경제발전 수준 또한 매우 낮기 때문에 단시일에 정치경제적 성과를 거두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미얀마처럼 북한 또한 1인 지배체제로서 최고권력자가 개혁과 개방을 선택했기 때문에 향후 개혁과 개방의 속도와 방향도 미얀마 군부처럼 조절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북한이 개혁과 개방을 선택하는 '미얀마 모델'로 나아간다면 단기적으로는 새로운 변화의 기대감이 크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지체 또는 정체될 수 있을 것이다.

개인과 미디어의 선택성이 강화된 디지털 뉴스 유통 환경에서 선택적 노출과 의견변화, 정치참여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ve exposure, opinion chang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a digital news distribution environment)

  • 신지희;양승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391-406
    • /
    • 2024
  • 본 연구는 현재 디지털 뉴스 유통 과정이 개인의 선택, 이에 기반한 미디어의 선택으로 인해 이용자들에게 정치적으로 편향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개인의 뉴스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용자의 정파적 선호에 맞춤화된 뉴스가 추천됐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의견변화와 정치참여의 효과를 탐색적으로 분석했다. 자신의 정파적 선호에 부합하는 뉴스를 선택하는 선택적 노출의 현상은 개인이 한정적 정보처리를 많이 이용하고, 정치적 신념이 같은 집단 간의 높은 토론 효능감을 경험할수록 그 정도가 높은 것으로 니타났다. 선택적 노출의 정도가 높은 개인에게 정파적 성향과 일치하는 일방향 메시지의 뉴스를 무작위로 제공했을 때 기존 의견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의견 공고화와 의견보강 정보처리가 일어나면서 온라인 정치참여가 높아지는 경향성이 발견되었다. 반면 이들에게 미디어가 경쟁하는 두 정파적 입장을 균형있게 다룬 양방향 메시지 뉴스를 무작위로 제공했을 경우 상대편의 견해와 논지를 이해하고 더 나은 의견이 있다면 기존 의견을 조정해보려는 의향이 함께 발견되었다. 이 연구는 숙의민주주의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을 균형있게 이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지적하고 이와 관련한 미디어 리터러시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기후변화의 쟁점과 물 (Current Issues on Climate Change and Water)

  • 윤주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41-650
    • /
    • 2009
  • The IPCC's standing on the anthropogenic warming is discussed in this articl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limate alarmist and skeptics have been addressed in terms of scientific and policy stand point of view. The political and economical significances of climate change have been discussed, too. Although atmospheric temperature and rainfall precipitation are two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climate change, most of the recent attentions have drawn on mainly temperature and $CO_2$ issue. In spite of argues on the uncertainty in anthropogenic warming related to $CO_2$, the inevitable climate change should correspondingly change the humanity in near feature.

신라통일기 정치적 상황과 복식연구 -흥덕왕 복식금제에 나타난 복식실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litical Situation and Costumes in the Period of King Hungduk in the Silla Dynasty -Focus of King Hungduk′s Prohibition of Clothing-)

  • 김혜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6권2호
    • /
    • pp.181-202
    • /
    • 1998
  • When the study the costumes of Silla Dynasty, the only well-founded data is shown in the prohibition that is promulgated in the period of King Hungduk. In the prohibition, the social limitation according to the Silla Golpum system is closely described, now it is interesting researchers very much. Any times the promulgation of a ordinance has a proper reason. The ordinance of the period of King Hungduk also has no exceptions. It made a reason clear in the introduction - inaccordance with the social position, the list of articles is used with different, in spite of the strict regulation, the distinction of costumes was in disorder because of the trend of luxury and os we have to make right according to law. Some historian think that the prohibition assumes the character of an political innovation. The prohibition contains an social signification, the items of prohibition did not enumerate simply prohibiton items. Through away of research to analyze the hidden meaning contained in the prohibition, we can see the social phenomenon of Silla Dynasty. And compared with the type of clothing, the kinds of clothing mentioned in prohibiton have changed very much. I believe that we can find out political and social change in prohibition.

  • PDF

가사노동의 정채적 반영을 위한 연구 (Why the states has no housework policy\ulcorner : The political issue on housework)

  • 윤소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5권1호
    • /
    • pp.41-52
    • /
    • 1997
  • This paper explored the public issue on housework analyzed the policy and the law associated housework and developed the theorical model for its political program. This idea is dependent that the policy has priority over change of the social ideology. That policy contains a campaign and a education to be aimed to share of housework in order to make responsibility of men as well as women on family and work. Also it contains economic value estimates to quantify and value the non-wage work(childcaring homemaking etc.) in order to confirm its productive activity. It would assume the lawful form as like a social security or a pension. For example the Family Rights Law Tax Law and Social Security Act have to be reflected on the value of housework and to be secured the social status of provider. After all this work was useful to improve a wage and a social status of all women. As consistent policy and operation associated housework are poor in Korea it is difficult to develop theoric l model on this theme. On the range a political proposal on housework would be bound by family policy(evaluation of housework) and women's labor policy(housework support). So the policy intend to secure a family life to improve welfare of women and to equilibrate the family and the work.

  • PDF

1950-1960년 콩고민주공화국 바콩고동맹(ABAKO)의 정체성 변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Change of ABAKO Identity from 1950 to 1960)

  • 김광수
    • 한국아프리카학회지
    • /
    • 제43권
    • /
    • pp.3-48
    • /
    • 2014
  • ABAKO(Alliance des Bakongo) of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is an organization founded by an ethnic group who sought to preserve its language, culture and tradition. It later developed into a political organization and led an independence movement from Belgium. In 1950, Edmond Nzeza-Nlandu founded the ABAKO in Leopoldville (currently known as Kinshasa), the capital of Belgian Congo. ABAKO changed into a political organization, however, when Nzeza-Nlandu stepped down from his position and Joseph Kasa-Vubu was elected instead as the chief of ABAKO in March 21, 1954. The Bakongo nationalism, as a link between the Kongo Kingdom of the past and the Bakongo people of the present, had influence on their cultural identity, attitude towards authority, political orientation, a common ground for geographical boundaries, and provided foundation for group mobilization. Moreover, the Kimbangu Church, founded by Simon Kimbangu had close ties with ABAKO. They struggled to obtain independece from the Belgian colonial rule. In conclusion, the leaders and members of ABAKO regarded the 'ethnic, linguistic and historical' affinities as the identity of their Bakongo nationalist group.

해외로비와 원산지규정 사후검증제도의 엄격성에 대한 정치경제학 (Political Economy of Cross-Border Lobbies and the Stringency of the Rules of Origin Verification)

  • 황석준;황욱;이진권
    • 무역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55-171
    • /
    • 2020
  • In reality, there are numerous [Note: I advise to change the tone to being more certain, as opposed to offering a possibility. You need to emphasize the seriousness of the conditions that your study wants to talk about] non-tariff trade barriers under free trade agreements, with various stakeholders having different trade-off interests. This study focuses on the rules of origin verification and considers cases in which domestic firms, foreign firms, and domestic consumer groups compete politically for their rent protection in the domestic market. As in Gwande et al. (2006), cross-border lobbies are considered possible wherein foreign firms also lobby the government to influence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how stringently to verify the rules of origin. [Note: Starting here, switch to past tense because a: study intentions above can be in present tense, b: study procedures should be in past tense] In this study, we assumed that all stakeholders form interest groups and present political contributions to the government based on their interests. The stringency of the rules of origin verification was then determined through this political process, and we compared this to a socially optimal one in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verification was less stringent when there was cross-border lobbying than the socially optimal one.

민주주의(民主主義)의 사회안전관리 기능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Function of Social Security of Democracy)

  • 공배완
    • 시큐리티연구
    • /
    • 제4호
    • /
    • pp.5-27
    • /
    • 2001
  • This study analyzes the social function of democracy and the essential problems of social security of democracy. So far democracy has used a political term in politics. Democracy allows us the right to the freedom of individuality and social equality. Even scholars however, neglect to study about the criticism of democracy and social problems that are caused by democracy. It was expected that democracy would be valued by humans throughout the world. People have been fighting to establish a reliable political system of democracy. So they can have security in their society and the subject of politics.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study on democracy in function of democracy in relation to security of society and essential problems on what is democracy? Does democracy change with social change? Didier Bigo said, 'rising of freedom cause rising of a social unrest', B. Jeanneau said 'Democracy itself is the starting of social discord'. These are criticism of social security, the system and the function of democracy. It especially explains social discord and unrest that has occurred by an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of democracy or the meaning of a word interpretation. It is a question of the day that it's converse the function of the system and the operation of democracy, act as social unrest.

  • PDF

1987년 민주항쟁 30년, 민주노조운동의 평가와 전망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ree Decades of the 'Minjoonojoundong' in Korea)

  • 노중기
    • 산업노동연구
    • /
    • 제24권1호
    • /
    • pp.1-28
    • /
    • 2018
  • 이 논문은 노동자대투쟁 30주년을 맞아 민주노조운동의 현재를 거시적으로 평가하고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민주노조운동은 1987년 노동체제의 공세기를 지나 1998년 이후 크게 약화되었다. 그 배경에는 종속 신자유주의 노동체제라는 노동체제의 구조변동이 자리하고 있었다. 노동운동은 과거의 전투적 노조주의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변화된 구조적 조건에 전략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던 것이다. 현재 민주노조운동은 전투적 경제주의, 정치경제주의, 불완전한 산별노조운동이라는 3중의 위기 상황에 봉착해있다. 그런데 2016년 갑자기 발생한 촛불혁명은 민주노조운동이 새로운 노동체제를 만들 수 있는 전망을 열어주었다. 촛불혁명은 일차적으로 정치변동이었지만 기존 노동체제의 문제점인 사회적 양극화와 비정규직 문제, 그리고 노동기본권문제를 해결하라는 요구를 담고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은 민주노조운동의 전면적 혁신이 긴요하다. 그리고 그것은 노동체제 전환이라는 전략적 목표 위에서 조직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