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cy information services

검색결과 1,601건 처리시간 0.028초

이용자맞춤형정책정보서비스 수요분석 연구 (A Study on Need Analysis for User-Customized Policy Information Services)

  • 곽승진;노영희;김동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75-10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정책정보 이용자의 수요 및 요구조사와 맞춤형서비스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이용자맞춤형정책정보서비스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용자맞춤형서비스 관련 문헌분석, 사례조사, 그리고 정책정보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맞춤형정책정보서비스가 제공해야 할 세부적인 서비스를 정보검색 및 자료제공서비스, 참고정보서비스, 정책정보 네트워크 서비스, 도서관 마케팅서비스, 개인화서비스 등으로 제안하였다.

정책정보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연구 - 교육정책정보전문센터의 모형 제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Promotion of Public Policy Information Services: Focusing on a Model of a Specialized Educational Policy Information Center)

  • 이명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39-160
    • /
    • 2013
  • 국내의 교육정책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육정책당국, 전문 연구기관과 전문사이트의 10개 웹사이트를 선정하여 내용분석법의 방법으로 이들이 제공하는 주요 정책정보의 종류, 분류체계, 검색시스템의 정보검색 기능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한 결과 제시된 문제점을 검토하여 표준화된 교육정책정보 분류체계 개발, 교육정책정보원의 메타데이터 표준화와 검색시스템의 편의성 제고, 정책당국 밀착형 맞춤서비스 제공, 분야별 정책정보 전문센터 운영, 정책분야 간 협력체제 구축을 개선점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교육정책정보원, 교육정책정보시스템, 운영체제, 협력체제로 구성된 교육정책정보전문센터 모형을 제시하였다.

통신서비스의 정보화: 그 현황 및 개선 방향 (Informatization of Telecommunication Services: Its Actual Conditions and Policy Recommendations)

  • 조찬식
    • 정보관리연구
    • /
    • 제26권4호
    • /
    • pp.1-27
    • /
    • 1995
  • 정보사회에서의 통신서비스는 정보교환의 중요한 매체이며 이러한 통신서비스의 정보화란 그 사회 모든 부분에 통신서비스를 통한 정보의 교환이 가능해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통신서비스 정보화의 이론적 토대 위에 우리나라 통신서비스의 역사 및 현황을 살펴보고 분석한 뒤, 그 분석을 바탕으로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PDF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 정보행태 분석 (Analysis of User Information Behaviors for the Improvement of Policy Information Services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 이종욱;박성재;최재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11-128
    • /
    • 2019
  • 본 연구는 국립세종도서관의 정책정보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수행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정책정보 이용자의 정보이용 행태,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서비스 이용행태, 이용자 직업 유형별(공직자, 연구원, 사서) 정책정보 이용행태 차이를 분석하였다. 정책정보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31명이 설문응답을 완료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설문 응답자가 빈번하게 이용하는 자료의 유형은 연구보고서, 학술논문, 일반도서 등의 순이었으며, 이러한 자료 입수를 위해 주로 검색포털 사이트와 정책정보사이트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47.7%는 세종도서관의 정책정보서비스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용한 경험이 있었다. 나아가 응답자의 직업에 따라 선호하는 정책정보의 유형,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서비스 인지도, 이용경험 및 경로 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정책정보 특화도서관인 국립세종도서관은 서비스 표적 집단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정책정보제공서비스를 위한 BRM분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BRM Classification System for Policy Information Service)

  • 노영희;박양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135-17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정책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분류체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RM분류체계분석, 문헌분석, 정책정보제공사이트 분류체계분석, 분류전문가논의과정, 정책정보수요자대상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 정책정보자료의 실제적 구축을 통한 경험적 검증과정을 거쳤다. 최종적으로 BRM 분류체계를 수정 보완하여, 정책정보관련 정보자원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전문가 논의 과정을 거쳐 정책정보서비스에 적절한 BRM 분류 단계를 3단계로 확정하였다. 국내외 정책정보제공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는 기관의 분류체계와 서비스 조사를 통해 BRM 분류체계가 정책정보자료 제공을 위해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무자 면담 조사를 통해 BRM의 적절성 확인과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정책정보서비스를 위한 BRM 분류체계 사용의 적절성과 BRM 주제분야별 보완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경험적 검증을 통해 정책정보서비스를 위한 BRM 분류 체제의 주제 내용을 확정하였다.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서비스 개선 전략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Strategies of Policy Information Services for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 최재황;정홍상;박성재;이재영;이종욱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71-8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서비스의 고도화를 위해 서비스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 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정책정보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를 면담 조사하였으며, 서비스 제공 및 이용 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서비스 제공자 면담을 통해 서비스 제공 체계의 분산 및 이원화에 따른 문제점과 서비스 유형별 제공 상의 문제점을 식별하였고, 서비스 이용자 면담을 통해 주요 이용자 유형, 서비스 이용 전반에 대한 인식, 서비스 유형별 이용 상의 문제점, 정책정보 이용절차 상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개선 전략을 여섯 영역(수집, 서비스, 조직, 시스템, 홍보, 협력)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이들 전략을 바탕으로 정책정보서비스의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정책정보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켜 서비스 이용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중소기업 정책정보시스템의 현황 및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Korea SMEs Policy Information System)

  • 김주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61-86
    • /
    • 2008
  • Korea 5MBA(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is operating SMEs Policy Information System called SPi-1357 as a part of electronic government business, G4B. SPi-1357 system is offering tailor made policy information to a nation through on-off line system. In this paper, I provide the offering status of policy information, the status of SPi-1357 system, political results of SPi-1357 system, comparison with other country's policy information system,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Pi-1357 system. Until now, most Policy Information Systems documents have focused on policy maker but the focus of this paper is functionally oriented SMEs.

국립세종도서관 핵심역량 및 미래 지향성에 대한 인식도 조사연구 (A Study on Awareness Survey on Core Competence and Future Orienta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 윤희윤;오선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221-239
    • /
    • 2023
  • 개관한 지 10년을 맞이하는 국립세종도서관은 정책정보 전문도서관으로서의 책무를 수행하는 동시에 세종시민을 위한 공공도서관 기능을 수행하여 왔다. 그럼에도 국립세종도서관이 계속해서 정책정보서비스와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병행하는 것이 바람한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는 견해가 적지 않다. 국립세종도서관이 정체성을 바로 세우고 핵심역량과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국립세종도서관의 현주소 및 이해집단의 선행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립세종도서관의 현주소를 진단하여 SWOT 분석한 후 정책정보서비스와 관련된 이해집단(국립세종도서관 및 유관 정책기관 직원)을 대상으로 국립세종도서관의 핵심 역할과 정체성, 정책정보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정책정보 특화도서관으로서의 핵심역량 제고 방안과 미래 지향성을 제시하였다.

A Enhanced Security Model for Cloud Computing in SSO Environment

  • Jang, Eun-Gyeo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55-61
    • /
    • 2017
  • Cloud computing is cost-effective in terms of system configuration and maintenance and does not require special IT skills for management. Also, cloud computing provides an access control setting where SSO is adopted to secure user convenience and availability. As the SSO user authentication structure of cloud computing is exposed to quite a few external security threats in wire/wireless network integrated service environment, researchers explore technologies drawing on distributed SSO agents. Yet, although the cloud computing access control using the distributed SSO agents enhances security, it impacts on the availability of services. That is, if any single agent responsible for provid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ails to offer normal services, the cloud computing services become unavailable. To rectify the environment compromising the availability of cloud computing services, and to protect resources, the current paper proposes a security policy that controls the authority to access the resources for cloud computing services by applying the authentication policy of user authentication agents. The proposed system with its policy of the authority to access the resources ensures seamless and secure cloud computing services for users.

정책기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정책 충돌 탐지 및 복구 (Detection and Recovery of Policy Conflicts in Policy-based Network Management Systems)

  • 이규웅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7-188
    • /
    • 2007
  • Policy-based Network Management (PBNM) has been presented as a paradigm for efficient and customizable management systems. The approach chosen is based on PBNM systems, which are a promising and novel approach to network management. These systems have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automation of network management processes. 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 has also used policy concepts and provided a framework to describe the concept as the Policy Core Information Model (PCIM) and its extensions. There are policy conflicts among the policies that are defined as the policy information model and they are not easily and effectively detected and resolved.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brief description of PBNM and illustrate the concepts of policy core information model and its policy implementation for a network security. Especially we describe our framework for detecting and resolving the policy conflicts for network secu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