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arization control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35초

전파강수계 시스템의 통신 및 자료처리 전략 개발 (Communication and data processing strategy for the electromagnetic wave precipitation gauge system)

  • 이정덕;김민욱;박연구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62-6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전파강수계의 운영제어 및 자료처리를 위한 통신 및 자료처리 전략을 개발하였다. 전파강수계는 24GHz 대역의 이중편파 관측을 통하여 반경 1km 이내의 강수장을 산출하고 최종적으로 관측지역내의 면적강수를 산출하고자 하는 소형 시스템이다. 소형 시스템의 특성상 시스템 내의 제한된 자원을 활용하되 정확한 강수측정을 위한 방안이 고려되어야 하고 무인운영 및 원격 관리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사용도 최소화해야 할 필요가 발생한다. 이러한 제한 사항의 극복을 위하여 자료의 품질관리 측면에서는 비기상 에코의 제거를 위해서 퍼지 논리(Fuzzy logic)을 이용한 품질관리 기법을 적용하였고, 강수강도 산출을 위해서 다양한 강수강도 추정식을 활용한 강수장 가중합성 전략을 개발하였다. 또한 가변 통신데이터를 이용하여 전파강수계와 원격지 관리 컴퓨터간의 통신량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자료처리 전략개발을 통해 원격지에 설치되어 운영될 전파강수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통신 및 자료처리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실리콘 기판의 광집적회로를 위한 Pyrex 무응력 도파박막 (Stress-Free Pyrex-Based Optical Waveguide for Planar Lightwave Circuits on Silicon Substrate)

  • 문형명;정형곤;이용태;김한수;전영윤;정석종;윤선현;이형종
    • 한국광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56-161
    • /
    • 1998
  • 에어로졸 화염증착법을 개발하고 이 방법을 써 실리콘 기판 위에 Pyrex 무응력 도피박막으로 제작하였다. 파이렉스 도파 박막계의 굴절률은 조절하기 위하여 지르코늄을 첨가하였으며, 지르코늄 함량이 0wt%부터 3wt5까지 변하는 경우 굴절률이 1.460부터 1.475까지 변화하였다. 파이렉스 도파로의 평판도파로형 광증폭기에 응용 가능성을 보기 위하여 어븀을 첨가하여보았으며 어븀 함량이 0wt%부터 1wt% 까지 변하는 경우 박막의 굴절률이 1.460부터 1.465 까지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프리즘 커플러를 써서 제작된 도피피막에 과을 여기시킨 결과 광집적회로에 응용이 가능한 수준의 투과성이 우수한 박막임을 확인하였다. 파이렉스 도피피막의 편광 변화에 따른 박막굴절률의 변화는 2$\times$104이하로 측정되었다.

  • PDF

An Operating Software Development of A Prototype Coronagraph for The Total Solar Eclipse in 2017

  • Park, Jongyeob;Choi, Seonghwan;Kim, Jihun;Jang, Be-ho;Bong, Su-Chan;Baek, Ji-Hye;Yang, Heesu;Park, Young-Deuk;Cho, Kyung-Suk
    • 천문학회보
    • /
    • 제42권2호
    • /
    • pp.85.1-85.1
    • /
    • 2017
  • We develop a coronagraph to measure the coronal electron density, temperature, and speed by observing the linearly polarized brightness of solar corona with 4 different wavelengths. Through the total solar eclipse on 21 August 2017, we test an operating software of a prototype coronagraph working with two sub-systems of two motorized filter wheels and a CCD camera that are controlled by a portable embedded computer. A Core Flight System (CFS) is a reusable software framework and set of reusable software applications which take advantage of a rich heritage of successful space mission of NASA. We use the CFS software framework to develop the operating software that can control the two sub-systems asynchronously in an observation scenario and communicate with a remote computer about commands, housekeeping data through Ethernet. The software works successfully and obtains about 160 images of 12 filter sets (4 bandpass filters and 3 polarization angles) during the total phase of the total solar eclipse. For the future, we can improve the software reliability by testing the software with a sufficient number of test cases using a testing framework COSMOS. The software will be integrated into the coronagraph for balloon-borne experiments in 2019.

  • PDF

Grounded-Plate PMOS 게이트 강유전체 메모리 셀을 이용한 새로운 FRAM 설계기술에 관한 연구 (A Feasibility Study on Novel FRAM Design Technique using Grounded-Plate PMOS-Gate Cell)

  • Chung, Yeonbae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9권12호
    • /
    • pp.1033-104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grounded-plate PMOS 게이트 (GPPG) 강유전체 메모리 셀을 이용한 새로운 FRAM 설계기술을 제안하였다 GPPG 셀은 PMOS와 강유전체 커패시터로 구성되며 셀 plate 는 ground 에 접지 된다. 제안된 FRAM 에서는 비트라인이 V/sub DD/로 precharge 되고, negative 전압 워드라인 기법이 사용되며, negative 펄스 restore 동작을 이용한다 GPPG 셀을 이용한 FRAM 구조는 셀 plate 구동기폭 사용하지 않으므로 메모리 셀 efficiency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common-plate 셀과는 달리 제안된 FRAM 구조는 데이터의 읽기 및 쓰기 동작 시 강유전체 커패시터에 V/sub DD/거 충분한 전압이 가해지므로 저 전압 동작에 제한이 없다. 아울러 제안된 FRAM 구조는 필요한 8 비트 데이터만 선택하는 column-path 회로를 사용하므로 메모리 array 전력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끝으로 0.5-um, triple-well/1-polycide/2-metal 공정을 이용한 4-Mb FRAM 설계를 통해 GPPG 셀 FRAM architecture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Electrochemical Behavior of Plasma Electrolytic Oxidized Films Formed in Solution Containing Mn, Mg and Si Ions

  • Lim, Sang-Gyu;Choe, Han Cheol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0-80
    • /
    • 2017
  • Titanium and its alloys that have a good biocompatibility, corrosion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hardness and wear resistance are widely used in dental and orthopedic implant applications. However, they do not form a chemical bond with bone tissue.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PEO) that combines the high voltage spark and electro-chemical oxidation is a novel method to form ceramic coatings on light metals such as tita-nium and its alloys. This is an excellent re-producibility and economical, because the size and shape control of the nano-structure is relatively easy. Silicon (Si), manganese (Mn), and magne-sium (Mg) have a useful to bone. Particularly, Si has been found to be essential for normal bone, cartilage growth, and development. Mn influences regulation of bone remodeling be-cause its low content in body is connected with the rise of the concentration of calcium, phosphates and phosphatase out of cells. Pre-studies have shown that Mg plays very im-portant roles in essential for normal growth and metabolism of skeletal tissue in verte-brates and can be detected as minor constitu-ents in teeth and bone. In this study, Electrochemical behavior of plasma electrolytic oxidized films formed in solution containing Mn, Mg and Si ions were researched using various experimental in-struments. A series of Si-Mn-Mg coatings are produced on Ti dental implant using PEO, with the substitution degree, respectively, at 5 and 10%. The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and AC impedance tests for corrosion behav-iors were carried out in 0.9% NaCl solution at similar body temperature using a potentiostat with a scan rate of 1.67mV/s and potential range from -1500mV to + 2000mV. Also, AC impedance was performed at frequencies anging from 10MHz to 100kHz for corrosion resistance.

  • PDF

Application of Graphene in Photonic Integrated Circuits

  • 김진태;최성율;최춘기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2회 동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96-196
    • /
    • 2012
  • Graphene, two-dimensional one-atom-thick planar sheet of carbon atoms densely packed in a honeycomb crystal lattice, has grabbled appreciable attention due to its extraordinary mechanical, thermal,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Based on the graphene's high carrier mobility, high frequency graphene field effect transistors have been developed. Graphene is useful for photonic components as well as for the applications in electronic devices. Graphene's unique optical properties allowed us to develop ultra wide-bandwidth optical modulator, photo-detector, and broadband polarizer. Graphene can support SPP-like surface wave because it is considered as a two-dimensional metal-like systems. The SPPs are associated with the coupling between collective oscillation of free electrons in the metal and electromagnetic waves. The charged free carriers in the graphene contribute to support the surface waves at the graphene-dielectric interface by coupling to the electromagnetic wave. In addition, graphene can control the surface waves because its charge carrier density is tunable by means of a chemical doping method, varying the Fermi level by applying gate bias voltage, and/or applying magnetic field. As an extended application of graphene in photonics,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phene-based plasmonic waveguide for optical signal transmission. The graphene strips embedded in a dielectric are served as a high-frequency optical signal guiding medium. The TM polarization wave is transmitted 6 mm-long graphene waveguide with the averaged extinction ratio of 19 dB at the telecom wavelength of $1.31{\mu}m$. 2.5 Gbps data transmission was successfully accomplished with the graphene waveguide. Based 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graphene-based plasmonic waveguide can be exploited further for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integrated photonic circuits on a chip.

  • PDF

치과용 레이저 조사가 배양 치수 섬유모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DENTAL LASER ON PULP FIBROBLAST IN VITRO)

  • 정혜전;민병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2호
    • /
    • pp.519-535
    • /
    • 1997
  • The responses of human pulp fibroblastic cells to Ga-As Semi-Conductor-Dens-Bio Laser (Frequency: 5 Hz~10,000 Hz Model: SD-101A RCA, U.SA)) were examined in vitro using pulp fibroblastic cells obtained from the pulp tissue of human tooth. The mitogenic effect of soft laser was assessed by measuring the MTT assay. The morphologic effect for soft laser showed under the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as follows; 1. The mitogenic response of the soft laser was not observed until 4th time of radiation, while the mitogenic response at 4th time increased mitogenic effect by as much as 1.7 fold compared to the control value. 2. The mitogenic response of the soft laser on pulp fibroblast differ from the mitogenic response on other fibroblasts. 3. In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The microvilli of cell surface increased gradually with width and length after laser radiation, it demonstrate that development of microvilli have close connection with differentiation of cells. 4. Under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laser-treated cells maintained their elongated shape and a high degree of cellular polarization. The large cell body containing a well developed Golgi complex, a large number of profiles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great numbers of mitochondria. 5. The laser-treated cells maintained the long straight bundles of closely apposed microfilaments or individual filaments forming a cross-linked network.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laser may have important roles in promotion of pulp healing and consequently may be useful for clinical application in pulp regenerative procedures.

  • PDF

직교형으로 배열된 2개의 1x2서브-어레이를 이용한 433MHz에서 동작하는 RFID 리더용 안테나 설계 ((Design of RFID Reader Antenna Using Two Orthogonally Oriented 1x2 Sub-Arrays at 433 MHz))

  • 김종성;박승모;최원규;성낙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9호
    • /
    • pp.97-10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433MHz에서 동작하는 RFID 리더용 직교형 안테나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본 이중편파 안테나는 1x2 서브어레이를 기본으로 하여 급전회로망의 위상을 동위상 또는 반대 위상을 갖도록하여 2개 안테나의 방사체에서의 상대적인 전류 분포를 제어하여 빔 패턴에서 편파를 수직 및 수평으로 복사가 가능토록 하였다 단일 안테나는 역-에프형 구조를 이용하였으며 위상차에 따른 단락점에서부터 개방점 까지의 전류의 변화가 궁극적으로 수직 및 수평 편파가 제어되도록 하였다 이중입력에 대한 안테나의 이득은 수직 및 수평 편파에 대하여 2.7 및 0.4 dBi를 나타내었으며, 포트간 아이솔레이션은 25dB 이하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시동/정지 반복에 의한 데드엔드형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성능 감소 (Performance Degradation of Dead-end Type PEMFC by Startup and Shutdown Cycles)

  • 정재현;정재진;송명현;정회범;나일채;이호;박권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5호
    • /
    • pp.540-544
    • /
    • 2013
  •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는 시동/정지과정에서 성능과 수명이 감소한다. 본 연구에서는 캐소드가스로 산소를 사용하는 데드엔드 형 PEMFC의 시동/정지 과정의 영향을 분극곡선, 임피던스(EIS), SEM과 TEM을 사용해 연구하였다. 시동/정지 과정에서 PEMFC 성능감소를 막기 위해서는 더미 로드를 사용해야 함을 보였다. 시동/정지 반복과정 중 50% 상대습도(RH)에서 캐소드 카본지지체의 부식에 의한 열화가 100% RH보다 심했다. 데드엔드 형 PEMFC의 정지과정에서 PEMFC에 물을 공급해줌으로써 50% RH에서 열화속도를 감소시켰다.

평판형 안테나 급전구조를 이용한 원형편파용 도파관 배열안테나 설계 (Ka-band Microstrip Antenna Fed Circular Polarized Horn Array Antenna Design)

  • 정영배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40-14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Ka-대역 혼 배열안테나를 제안한다. 제안된 배열구조의 소자안테나는 평판형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와 사각형 혼의 두 개 부분으로 구성되며, 평판형 안테나는 원형편파를 위한 모서리가 절단된 평판형 패치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평판한 패치안테나는 혼에 신호전력을 여기시키기 위한 급전부와 급전된 신호전력을 원형편파로 바꾸는 일종의 편파기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도파관 안테나의 크기를 소형활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안된 혼 안테나 구조를 이용하여, $0.9{\lambda}_0$의 배열간격을 갖는 $1{\times}8$ 배열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작된 단일 혼 안테나는 8dBi의 이득과 3dB 기준으로 4.9%의 축비대역폭을 가지며, $1{\times}8$ 배열안테나는 14dBi의 이득과 8.2%의 축비대역폭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