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int of knowing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3초

강우시 지붕유출수의 EMCs 및 특성비교 (Characteristics of EMCs for Roof Runoff)

  • 홍정선;;;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57-665
    • /
    • 2012
  • 각종 개발사업은 불투수층의 증가를 야기 시켜 자연적 물 순환 왜곡과 함께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을 증가시킨다. 개발로 인한 환경생태수리학적 영향을 저감하고 건전한 물 순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의 함량이 적은 유출유량에 대해서는 이용(use)을 고려해 볼 만하며, 오염물질의 함량이 높은 유량에 대해서는 조경공간에서 처리 후 저류, 침투 또는 증발산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지붕빗물유출수의 상대적 오염도를 평가하여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 평균 EMC 산정을 위한 비용 효율적 적정 모니터링 기법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지붕유출수의 오염도는 도로와 주차장에 비해 오염물질별 3배에서 13배 정도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나뭇잎, 담배꽁초 등의 협잡물과 바람의 영향으로 인한 오염물질의 대기침적 및 옥상구조물 등이 주요 오염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 효율적 모니터링 기법 연구결과 평균 EMC를 보이는 시료는 유출 발생 후 약 15분 경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소 8회 이상의 강우사상에 대한 모니터링이 수행되어야 평균 EMC를 산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upport set의 중앙값 prototype을 활용한 few-shot 학습 (Few-shot learning using the median prototype of the support set)

  • 백으뜸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1호
    • /
    • pp.24-31
    • /
    • 2023
  • 메타 학습(meta learning)이란 즉각적으로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구별하는 메타 인지로 적은 양의 데이터로 스스로 학습하고, 학습한 정보와 알고리즘으로 새로운 문제에 적응하며 해결하는 학습 방식이다. 그 중, few-shot 학습 방법은 메타 학습 방법의 한 종류로 매우 적은 학습 데이터 (support set)으로도 질의 데이터(query set)를 올바르게 예측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 클래스의 mean-point vector로 생성한 프로토타입의 한계점인 높은 밀도값을 낮추면서 이상치(outlier)값을 극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방법을 해결하기 위해, 딥러닝 모델에서 feature를 추출하고, 획득한 feature사이의 요소별로 중앙값 계산하여 프로토타입을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 후, 앞서 생성한 중앙값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few-shot 학습 방법에 사용한다. 제안한 방법의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 필체 인식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기존의 방법보다 향상된 성능을 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 김영정
    • 인지과학
    • /
    • 제13권4호
    • /
    • pp.80-80
    • /
    • 2002
  • 필자가 이 글에서 주장하려는 바는 예술의 맥락은 논외로 친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과학의 맥락에서는 창의성의 핵심은 비판적 사고 능력에 있으며, 그것이 창의성 교육과 관련이 될 때는 더더욱 비판적 사고 교육이 그 핵심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발산적 사고를 의미하는 협의의 창의성 개념을 제외한 나머지 2가지 창의성 개념, 즉 문제해결과 같은 유용성의 준거를 중시하는 광의의 창의성 개념이나 기존의 정보들의 변형이나 조합을 기반으로한 과정으로서의 창의성 개념은 모두 비판적 사고 개념 속에 포섭되며, 적어도 과학의 맥락에서는 이 비판적 사고 개념에 속하는 두 창의성 개념이 창의성 개념의 요체라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비록 발산적 사고라는 협의의 창의성 개념은 비판적 사고 개념 속에 포섭되지는 않으나, 창의적 문제 해결을 추구하는 과학의 맥락에서 그 역할은 결정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필자는 창의성 연구자들이 종합력이라고 분류하고 있는 지적 작업들이 실제로는 논리적ㆍ비판적 작업이라는 것을 우선 지적한다. 예를 들어, 가설이나 이론을 만드는 작업은 가설연역추리,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귀추법(abduction) 또는 최선의 설명에로의 추론(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이라고 불리는 고차적인 논리적 작업에 속하며, 일반화 작업 역시 귀납적 일반화, 또는 통계적 일반화와 같은 기본적인 귀납 추리 작업에 속한다는 것을 지적한다. 둘째로, 실제적인 창의적 문제 해결의 맥락에서는 예컨대 벽돌과 같은 물건의 용도를 주어진 시간내에 가능한 한 많이(fluency), 다양하게(flexibility), 그리고 독특하게(originality)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주어진 문제 상황과 관련하여 해결 개연성이 높은 적절한 아이디어를 찾아나갈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한 것임을 지적한다. 필자는 발산적 사고가 작동을 하지 않고서도 어떻게 역사적인 창의적 행위가 가능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예로 Kekule의 벤젠링 발견의 경우 둥을 살펴본다. 창의적 문제 해결에서는 발산적 사고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해결해야할 문제 영역에 대한 통찰력과 아울러 어떤 아이디어가 주어진 문제 해결에 유용한지에 대한 통찰력이 핵심 요체이며, 이러한 통찰력은 바로 논리적ㆍ비판적 사고 훈련을 통해서 길러질 수 있는 능력인 것이다. 이와 같은 비판적 사고 교육의 강조는 정보화 사회 혹은 지식기반 사회 등으로 특징지워지는 현대사회의 특성과도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현대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정치ㆍ사회ㆍ문화의 패러다임의 급속한 변화는 요구되는 지식기반의 내용과 중요성을 유동적으로 변화시키게 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변화에 신속히 적응하고 새로운 상황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을 적절히 해결할 수 있는 상황적응적인 인지적 능력의 배양이 필요하게 되었다 우리는 이제 누구나 인터넷 서핑을 통해 방대한 정보와 지식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암기 등을 통한 정보와 지식의 습득과 축적의 그 본래적 가치는 과거에 비해 현저히 낮아졌다. 가치를 만들어 내는 중심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데에 있지 않고, 습득한 정보와 지식들을 조합하고 재구성하여 합리적인 문제 해결안을 마련할 줄 아는 능력에 놓이게 된 것이다. 우리 시대에 정보와 지식을 논리적·비판적으로 구성하고 판단하는 능력은 합리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필수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새로운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새로운 형태의 문제들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상황적응적인 인지적 능력의 핵심이 바로 비판적 사고인 것이다. 그리고 비판적 논리적 사고를 통한 합리적 문제해결이 결과적으로 새로움의 성격을 띨 때 우리는 그것을 ''창의적 사고''라 부르는 것이다. 따라서 비판적 사고 교육은 명제적 지식(knowing that)이나 서술적 지식(declarative knowledge)에 대한 학습이 아닌 문제해결 방식(knowing how)이나 절차적 지식(procedural knowledge)에 대한 학습이 중심이 되어야 하며, 성취(performance)보다는 능력(competence)을 배양하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 김영정
    • 인지과학
    • /
    • 제13권4호
    • /
    • pp.81-90
    • /
    • 2002
  • 필자가 이 글에서 주장하려는 바는 예술의 맥락은 논외로 친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과학의 맥락에서는 창의성의 핵심은 비판적 사고 능력에 있으며, 그것이 창의성 교육과 관련이 될 때는 더더욱 비판적 사고 교육이 그 핵심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발산적 사고를 의미하는 협의의 창의성 개념을 제외한 나머지 2가지 창의성 개념, 즉 문제해결과 같은 유용성의 준거를 중시하는 광의의 창의성 개념이나 기존의 정보들의 변형이나 조합을 기반으로한 과정으로서의 창의성 개념은 모두 비판적 사고 개념 속에 포섭되며, 적어도 과학의 맥락에서는 이 비판적 사고 개념에 속하는 두 창의성 개념이 창의성 개념의 요체라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비록 발산적 사고라는 협의의 창의성 개념은 비판적 사고 개념 속에 포섭되지는 않으나, 창의적 문제 해결을 추구하는 과학의 맥락에서 그 역할은 결정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필자는 창의성 연구자들이 종합력이라고 분류하고 있는 지적 작업들이 실제로는 논리적ㆍ비판적 작업이라는 것을 우선 지적한다. 예를 들어, 가설이나 이론을 만드는 작업은 가설연역추리,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귀추법(abduction) 또는 최선의 설명에로의 추론(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이라고 불리는 고차적인 논리적 작업예 속하며, 일반화 작업 역시 귀납적 일반화, 또는 통계적 일반화와 같은 기본적인 귀납 추리 작업에 속한다는 것을 지적한다. 둘째로, 실제적인 창의적 문제 해결의 맥락에서는 예컨대 벽돌과 같은 물건의 용도를 주어진 시간내에 가능한 한 많이(fluency), 다양하게(flexibility), 그리고 독특하게(originality)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주어진 문제 상황과 관련하여 해결 개연성이 높은 적절한 아이디어를 찾아나갈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한 것임을 지적한다. 필자는 발산적 사고가 작동을 하지 않고서도 어떻게 역사적인 창의적 행위가 가능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예로 Kekule의 벤젠링 발견의 경우 둥을 살펴본다. 창의적 문제 해결에서는 발산적 사고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해결해야할 문제 영역에 대한 통찰력과 아울러 어떤 아이디어가 주어진 문제 해결에 유용한지에 대한 통찰력이 핵심 요체이며, 이러한 통찰력은 바로 논리적ㆍ비판적 사고 훈련을 통해서 길러질 수 있는 능력인 것이다. 이와 같은 비판적 사고 교육의 강조는 정보화 사회 혹은 지식기반 사회 등으로 특징지워지는 현대사회의 특성과도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현대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정치ㆍ사회ㆍ문화의 패러다임의 급속한 변화는 요구되는 지식기반의 내용과 중요성을 유동적으로 변화시키게 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변화에 신속히 적응하고 새로운 상황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을 적절히 해결할 수 있는 상황적응적인 인지적 능력의 배양이 필요하게 되었다 우리는 이제 누구나 인터넷 서핑을 통해 방대한 정보와 지식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암기 등을 통한 정보와 지식의 습득과 축적의 그 본래적 가치는 과거에 비해 현저히 낮아졌다. 가치를 만들어 내는 중심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데에 있지 않고, 습득한 정보와 지식들을 조합하고 재구성하여 합리적인 문제 해결안을 마련할 줄 아는 능력에 놓이게 된 것이다. 우리 시대에 정보와 지식을 논리적·비판적으로 구성하고 판단하는 능력은 합리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필수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새로운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새로운 형태의 문제들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상황적응적인 인지적 능력의 핵심이 바로 비판적 사고인 것이다. 그리고 비판적 논리적 사고를 통한 합리적 문제해결이 결과적으로 새로움의 성격을 띨 때 우리는 그것을 ‘창의적 사고’라 부르는 것이다. 따라서 비판적 사고 교육은 명제적 지식(knowing that)이나 서술적 지식(declarative knowledge)에 대한 학습이 아닌 문제해결 방식(knowing how)이나 절차적 지식(procedural knowledge)에 대한 학습이 중심이 되어야 하며, 성취(performance)보다는 능력(competence)을 배양하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빙점이하에서 과일쥬스의 밀도측정방법 및 예측모델 (Density Measurement Technique and Prediction Model of Fruit Juices under Freezing Point)

  • 배동호;최용희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6권
    • /
    • pp.163-169
    • /
    • 1988
  • 본 연구는 식품의 동결시 동결기구의 설계 및 동결에너지의 효율적인 운용등을 위하여 동결상태에서 과일쥬스의 농도 및 온도변화에 따른 밀도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0, 15, 20, 25, 30, 35, 40%농도의 Orange Juice, Apple Juice, Grape Juice 및 Sucrose Solation을 시료로 하여 온도강하에 의해 동결팽창되는 부위를 제거하므로써 거기에 따른 무게변화를 $-5^{\circ}C$에서 $-40^{\circ}C$까지의 온도범위에서 $5^{\circ}C$ 간격으로 각각 측정하여 밀도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Heldman의 식을 이용하여, 위의 농도와 온도범위에서 각 과일쥬스와 Sucrose Solution의 Unfrozen water fraction을 계산하였다. 실험을 통해 측정된 밀도데이타와 Unfrozen water fraction 데이타를 최적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0%에서 40%까지의 농도범위와 $-5^{\circ}C$에서 $-40^{\circ}C$까지의 온도범위에서 Orange Juice, Apple Juice, Grape Juice 및 Sucrose Solution의 밀도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수립하였다.

  • PDF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ur of Women Working in Government Hospitals Regarding Breast Self Examination

  • Yurdakos, Kursat;Gulhan, Yildirim Beyazit;Unalan, Demet;Ozturk, Ahme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8호
    • /
    • pp.4829-4834
    • /
    • 2013
  • Background: Breast self examination (BSE), performed regularly every mont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s in the early diagnosis of breast cancer.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the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of women working in government hospitals within the province of Samsun regarding BSE.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between January-March 2012, on a total of 550 women (500 health personnel, and 50 general administration services (GAS) workers) from 7 government hospitals and the Cancer Early Diagnosis, Screening, and Education Centre (CEDSEC). Percentages were used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chi-square test for the evaluation of statistical importance. Values of p<0.05 were accepted as significant.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36.2{\pm}15.3$, and 42.5% were in the 30-39 year old age group, 78.0% being married. Seventy-eight point four percent (78.4%) of the health personnel and 76.0% of the GAS workers performed BSE. However, the rates of performing BSE regularly every month were only 25.6% and 5.0%. Within the health personnel, 1.4% stated that they did not perform BSE because they found it unnecessary as they had no history of breast cancer in their family, 3.6% did not do so due to fear and stress, 13.2% because they forgot, and 14.6% because they had no complaints. Some 22.2% of the health personnel and 52.0% of the GAS workers had undergone mammographic evaluation, the difference being significant (p<0.05), 84.1% of the health personnel and 61.9% of the GAS workers knowing symptoms of breast cancer. Conclusions: Women in society should be brought to a certain level of awareness and knowledge regarding BSE. It is of the utmost importance that health personnel, who carry the responsibility for counseling and enlightening society, should interiorize the necessary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Conditional Density based Statistical Prediction

  • J Rama Devi;K. Koteswara Rao;M Venkateswara Ra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6호
    • /
    • pp.127-139
    • /
    • 2023
  • Numerous genuine issues, for example, financial exchange expectation, climate determining and so forth has inalienable arbitrariness related with them. Receiving a probabilistic system for forecast can oblige this dubious connection among past and future. Commonly the interest is in the contingent likelihood thickness of the arbitrary variable included. One methodology for expectation is with time arrangement and auto relapse models. In this work, liner expectation technique and approach for computation of forecast coefficient are given and likelihood of blunder for various assessors is determined. The current methods all need in some regard assessing a boundary of some accepted arrangement. In this way, an elective methodology is proposed. The elective methodology is to gauge the restrictive thickness of the irregular variable included. The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theory includes assessing the (discretized) restrictive thickness utilizing a Markovian definition when two arbitrary factors are genuinely needy, knowing the estimation of one of them allows us to improve gauge of the estimation of the other one. The restrictive thickness is assessed as the proportion of the two dimensional joint thickness to the one-dimensional thickness of irregular variable at whatever point the later is positive. Markov models are utilized in the issues of settling on an arrangement of choices and issue that have an innate transience that comprises of an interaction that unfurls on schedule on schedule. In the nonstop time Markov chain models the time stretches between two successive changes may likewise be a ceaseless irregular variable. The Markovian methodology is especially basic and quick for practically all classes of classes of issues requiring the assessment of contingent densities.

Of Scent and Sensibility: Embodied Ways of Seeing in Southeast Asian Cultures

  • Ly, Boreth
    • 수완나부미
    • /
    • 제10권1호
    • /
    • pp.63-91
    • /
    • 2018
  • One of the goals of this article is to continue the momentum begun by emerging scholarship on theory and practice of writing about visual culture of and in Southeast Asia. I hope to offer culturally sensitive and embodied ways of looking at images and objects as sites/sights of cultural knowledge as further theoretical intervention. The argument put forward in my essay is three-fold: first, I critique the prevailing logocentric approach in the field of Southeast Asian Studies and I argue that in a postcolonial, global, and transnational period, it is important to be inclusive of other objects as sites/sights of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analysis beyond written and oral texts. Second, I argue that although it has its own political and theoretical problems, the evolving field of Visual Studies as it is practiced in the United States is one of many ways to decolonize the prevailing logocentric approach to Southeast Asian Studies. Third, I argue that if one reads these Euro-American derived theories of vision and visuality through the lens of what Walter Mignolo calls "colonial difference(s)," then Visual Studies as an evolving field has the potential to offer more nuanced local ways of looking at and understanding objects, vision, and visuality. Last, I point out that unlike in the West where there is an understanding of pure, objective and empirical vision, local Southeast Asian perspectives on objects and visions are more embodied and multi-sensorial. I argue that if one is ethically mindful of the local cultural ways of seeing and knowing objects, then the evolving field of Visual Studies offers a much-needed intervention to the privileged, lingering logocentric approach to Southeast Asian Studies. Moreover, these alternative methods might help to decolonize method and theory in academic disciplines that were invent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 PDF

노마드적 관점에서 본 전통 정자의 평면구성에 관한 연구 - 안동하회마을 내의 정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tential for Korean Traditional Pavilion from the Perspective of Nomad - Focused on Korean Traditional Pavilion in Andong Hahoe Folk Village -)

  • 조정화;김개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59-6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erception of lives and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the concept of its sculptures can be reflected in Korean traditional pavilion place, from the perspective of Nomadism as a western philosophy of this era. Nomadism literally refers to way of life of peoples who do not live continually in the same place but move cyclically searching for temporary centres whose stability depends on the availability of food and water supply or pastures for their livestock. In recent years, the term encompasses three general types: job nomads, digital nomads and ubi-nomads, which represent distinct features of modern society. Its concept implies looking for the new creative possibility through the liberation of desire and the breakaway to another thinking through continuous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Likewise, Korean traditional pavilion is the architecture to take a quick rest while walking in the mountains. This open place thus connects surroundings with people who are allowed to assimilate with nature as well as train their mind by following the law of nature, in order to finally reach the celestial state of mind. Knowing how to see, enjoy and appreciate the arts very close to nature, our ancestors were able to learn aesthetic activities. After recognizing Korean traditional pavilion as the potential place of unification of heaven and men which is Korean scholor's lifestyle and outlook on the world, this study accordingly will identify the value and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ccording to Nomadism in the occidental point of view.

고성능 콘크리트의 활용을 위한 신경망의 적용 (Applications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 Using High Performance Concrete)

  • 양승일;윤영수;이승훈;김규동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119-129
    • /
    • 2003
  • 콘크리트와 철은 건설에서 필수적인 구조 재료이다. 그러나, 철과 달리 콘크리트는 하나의 재료가 아니라 많은 물질들로 구성된 복합재료이며, 구성 재료, 현장 환경, 그리고 기술자의 숙련도 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유동성과 공기량 등 즉시 알 수 있는 물성도 있지만 강도나 내구성 같이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는 특성도 존재하므로 콘크리트의 배합은 전문가의 경험에 많이 의존해 왔다. 하지만, 콘크리트도 고성능화 되는 시점에서 첨가 재료도 늘어나고 기존의 자료도 부족하기 때문에 새로운 기법이 필요한 때이다. 신경망은 복잡한 비선형 문제를 처리하는 인간의 두뇌를 모방한 모델로 패턴 인식 및 분류, 예측 등의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는 그 중에서 역전파 알고리즘과 광선형 기저 함수망 모형이 사용되었다. 여덟가지 재료(물, 시멘트, 잔골재, 굵은 골재, 플라이 애쉬, 실리카 흄, 유동화제, 그리고 공기연행제)가 배합에 사용되었으며, 압축강도와 슬럼프, 공기량을 물성으로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신경망은 고성능 콘크리트치 배합 및 물성 예측 등 활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