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lot development

검색결과 509건 처리시간 0.028초

수도등숙 향상을 위한 생리생태 연구 제 1 보 생장조절제 처리가 수도등숙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f Physiological Action of Chemicals to Increase in Ripening of Rice Plant. I. Effect of Growth Regulators on Ripening of Rice Plant)

  • 서관석;이주열;김소연;태전보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4-188
    • /
    • 1983
  • 수도품종 밀양2003, 이리327호 진흥을 공시하여 출수기를 전후한 저온시 등숙 향상을 위해 다찌가렌, SZ8028, SZ8028+ABA를 출수기와 소포자초기에 살포한 후 저온($20^{\circ}C/13^{\circ}C$)과 외온에서 각각의 약효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약제처리시기는 출수기보다 출수 1주전 즉 소포자초기 또는 지경의 위치로는 2차지경 착생영화는 1차지경 착생영화보다 약효가 컸다. 2) 저온구와 외온구 공히 악제별로는 SZ8028+ABA > 다찌가렌 > SZ 8028 순으로 임실율 및 립종이 증가되었다. 3) 소포자초기에 SZ 8028+ABA와 다찌가렌 살포구는 대조구보다 1차지경 착생영화는 2배, 2차 지경 착생영화는 3배 가량 임실율이 높아 약효가 인정되었다.

  • PDF

점토질 논 토양의 심층화가 토지생산성 및 유면건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evelopment of Cracks into Deeper Zone on Productivity and Dryness of the Clayey Paddy Field)

  • 김철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059-3088
    • /
    • 1973
  • 본연구(本硏究)에서는 연구(硏究)의 대상(對象)을 저습답(低濕畓)에 두기보다는 지하수위(地下水位)가 낮은 점질토(粘質土)의 건답(乾畓)에 두고 이 점질토(粘質土)논에 대(對)한 수잉전(移秧前)의 처리(處理)에 있어서 심경(深耕)을 한 것 답면(畓面)을 건조(乾燥)시켜 구열발달(龜裂發達)을 기(期)하게한 것 및 암거(暗渠)가 설치(設置)된 곳에서의 답면(畓面)을 건조(乾燥)시켜 구열발달(龜裂發達)을 기(期)하게 한 것 중에서 어떤 처리방법(處理方法)을 적용(適用)한 것이 뿌리신장(伸長)이 심층화(深層化)되여 벼의 수량(收量)을 높일 수 있고 동시(同時)에 지하배수기능(地下排水機能)이 제대로 발휘(發揮)되여 수확작업(收穫作業)에 대형기계(大型機械)를 도입(導入)하였을 때 농업기계(農業機械)의 주행성면(走行性面)에서 유리(有利)한가를 발견(發見)코저 한 것이다. 그래서 시험구처리(試驗區處理)에 있어서는 (1)이앙(移秧) 39일전(日前)에 경운(耕耘)하여 풍건(風乾)시킨 것(경운구(區)) (2) 이앙(移秧) 39일전(日前)에 경운(耕耘)하여 물로 포화(飽和)시켜 쓰린후(後) 구열(龜裂)을 발생(發生)시켜 이앙(移秧) 2일전(日前)에 15cm 깊이로 경운(耕耘)한 것(균열구(區)) (3) 이앙(移秧) 39일전(日前)에 암거설치(暗渠設置)와 동시(同時)에 경운(耕耘)하여 물로 포화(飽和)시켜 쓰린후(後) 구열(龜裂)을 발생(發生)시켜 이앙(移秧) 2일전(日前)에 15cm 깊이로 경운(耕耘)한 것(균암구(區))의 3요인(要因)에 15cm. 25cm, 35cm 깊이의 3수준(水準)으로 하고 15cm 깊이 경운구(區)를 Control구(區)로 정(定)하였는데 이에 의(依)하여 얻은 시험결과(試驗結果)는 대략(大略)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될 수 있다. 1. 소비수량(消費數量)은 균암구(區)에 있어서는 경운구(區) 및 균열구(區)보다도 소비수량(消費水量)을 나타냈다. 따라서 유효우량은 균암구(區)에서 가장 크고 경운구(區), 균열구(區)의 순(順)으로 작은값을 나타냈고 순용수량(純用水量)에 있어서는 여전(如前)히 균암구(區), 경운구(區), 균열구(區)의 순(順)으로 작어저 균암구(區)가 가장 큰 양(量)을 나타냈다. 심도(深度)에 불구(不拘)하고 순용수량(純用水量)의 크기는 균암구(區)에서 105cm 내외(內外), 경운구(區)에서 70cm 내외(內外), 균열구(區)에서는 45cm 내외(內外)를 나타냈다. 2. 뿌리중량(重量)이 구열최대심도(龜裂最大深度)에 예민(銳敏)하게 영향(影響)을 받고 있는 경향(傾向)으로 미루어 볼 때 뿌리 발달(發達)은 답면상(畓面上)의 구열(龜裂)에 의(依)하기 보다는 구열심도(龜裂深度)에 더 큰 영향(影響)을 받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깊은구(區)일수록 뿌리중량(重量)은 커지는 경향(傾向)을 가졌고 처리간(處理間)에는 균열구(區), 균암구(區), 경운구(區) 순(順)으로 증대(增大)하는 경향(傾向)을 가졌다. 3. 초장(草丈)의 신장(伸長)에 있어서는 어느구(區)를 막론(莫論)하고 생육초기(生育初期)(분얼최성기(分얼最盛期))에는 별(別)로 차이(差異)를 발견(發見)할 수 없으나 생육중기(生育中期)(분얼종료기(分얼終了期)부터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사이에서는 심도(深度)가 깊은구(區)일수록 그 성장(成長)이 떨어지고 생육후기(生育後期)(수잉기)(穗잉期)에 접어들면서 부터는 도리여 심도(深度)가 깊은구(區)가 얕은구(區)보다 더 왕성(旺盛)한 신장(伸長)을 하였다. 이것은 시험처리별(試驗處理別)로 볼 때 생육중기(生育中期) 이후(以後) 균열구(區)는 어느 다른 구(區)보다 떨어지고 균암구(區)와 경운구(區) 간(間)에는 별차이(別差異)는 없으나 균암구(區)가 여간(與干) 초장신장(草丈伸長)이 우세(優勢)한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4. 경수(數)에 있어서는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을 통(通)하여 심도(深度)가 깊은구(區)일수록 그 수(數)가 적어지는 경향(傾向)을 나타냈고 이것을 시험처별(試驗處別)로 볼 때 균열구(區)는 늘 균암구(區)와 경운구(區)보다 떨어졌으며 또 경운구(區)는 균암구(區)보다 약간(若干) 우세(優勢)한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5. 수량(收量)(조곡중)(租穀重))에 있어서는 시험처리별(試驗處理別) 각(各) 시험구(試驗區)의 수량(收量)을 Control 구(區) 15-경운구(區)와 대비(對比)할 때 35-경운구(區)에 있어서는 17%, 35-암거구(區)에 있어서는 10% 기타구(其他區)에 있어서는 모두 Control구(區)와 같거나 떨어졌다. 그리고 전체적(全體的)으로 볼 때 심도(深度)가 깊은구(區)일수록 수량(收量)은 증가(增加)하였고 경운구(龜)는 균암구(區)보다, 균암구(區)는 균열구(區)보다 수량(收量)이 높았으며 심도구(深度區)에는 1%의 유의성시험처리(有意性試驗處理)에는 5%의 유의성(有意性)이 존재(存在)하였다. 6. 조곡중(粗穀重)에 더 많은 영향(影響)을 주는 감수심(減水深)은 후기감수심(後期減水深)이며 15cm 구(區)에서는 2.7cm/day 이내(以內)에서 25cm 구(區)에서는 3.0cm/day 이내(以內)에서 35cm 구(區)에서는 3.3cm/day이내(以內)의 범위(範圍)에서 감수심(減水深)이 증대(增大)하면 조곡중(粗穀重) 증대(增大)하였고 동시(同時)에 동일감수심(同一減水深)에서는 심도(深度)가 깊은구(區) 일수록 조곡중(粗穀重)은 증대(增大)하였다. 따라서 동일감수심도(同一減水深度)가 깊은구(區)일수록 수량면(收量面)에서 유리(有利)함을 암시(暗示)하고 있다. 7. 뿌리중량(重量)에서 비례(比例)하여 조곡중(粗穀重)은 증대(增大)하였으며 벼뿌리중량(重量)이 동일(同一)할때는 심도(深度)가 깊은구(區)일수록 조곡중(粗穀重)은 증대(增大)하는 경향(傾向)을 보여주고 있다. 또 시험처리별(試驗處理別)로 볼 때는 벼뿌리 중량(重量)은 균열구(區), 균암구(區), 경운구(區)의 순(順)으로 컸고 따라서 조곡중(粗穀重)도 역시(亦是) 같은 순(順)으로 컸다. 그리고 조곡중(粗穀重)은 중간낙수기간(中間落水期間)의 최소함수비(最少含水比)와 그때의 평균지온(平均地溫)에 관계(關係)되나 함수비(含水比)가 40%이하(以下)에서는 평균지온(平均地溫)은 함수비(含水比)에 비례(比例)하여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 있음으로 주(主)로 최소함수비(最小含水比)에 영향(影響)을 받는바가 크다. 8. 짚조곡중비(粗穀重比)는 심도(深度)가 얕은구(區)일수록 커지는 경향(傾向)을 보였고 또 벼뿌리중량(重量)에 역지수함수적(逆指數函數的)으로 증대(增大)하였다. 또 같은 심도(深度)의 구(區)에서는 15cm 구(區)를 제외(除外)하고는 짚조곡중비(粗穀重比)는 감수심(減水深)에 비례(比例)하여 증대(增大)하였다. 감수심(減水深)이 어느 한도(限度)까지 증대(增大)됨에 따라 조곡중(租穀重)이 증대(增大)하지만 동시(同時)에 짚조곡중비(粗穀重比)도 증대(增大)함을 보여주고 있다. 9. 동일토성(同一土性)에서 구열량(龜裂量)은 기상조건(氣象條件) 특(特)히 증발량(蒸發量)의 증대(增大)에 따라 증대(增大)하며 답면건조도중(畓面乾燥途中)에 강우(降雨)가 있으면 답면구열량(畓面龜裂量)은 현저(顯著)히 감소(減小)한다. 점질토(粘質土)의 구열량(龜裂量)은 대체(大體)로 함수비(含水比)가 25% 이상(以上)에서는 함량비(含量比)에 역지수적(逆指數的)으로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고 구열(龜裂)의 최대(最大) 심도(深度)는 31% 이하(以下)의 함수비(含水比)에서는 일정(一定)한 값을 유지(維持)하는 경향(傾向)이있다. 10. Cone 지수(指數)는 어느 한도(限度)까지는 구열량(龜裂量)에 비례(比例)하는 경향(傾向)이있으나 구열량(龜裂量)이 어느 한도(限度)를 넘으면 약간(若干) 구열량(龜裂量)에 역비례(逆比例)하는 경향(傾向)을 보여주고 있다. 그 한도(限度)의 함수비(含水比)는 25% 근처가 될 것이다. 11. 최종낙수후 (最終落水後)의 Cone 지수(指數)의 경시적(經時的) 증대(增大)는 생육후기(生育後期)의 감수심(減水深)에 비례(比例)하는 경향(傾向)을 보였고 동일감수심(同一減水深)에서 균암구(區)는 다른 두 구(區)보다 큰Cone지수(指數)를 나타냈고 경운구(區)는 심도(深度)가 깊은구(區)일수록 균열구(區)보다 작은 Cone 지수(指數)를 나타냈는데 특(特)히 35-경운구(區) Cone의 지수(指數)는 현저(顯著)하게 작은 값을 나타냈다. 12. 최종낙수후(最終落水後)의 답면건조(畓面乾燥)에 있어서는 함수비(含水比)의 감소상황(減少狀況) 및 Cone 지수(指數)의 증대상황(增大狀況)에 비추어 볼 때 시험처리별(試驗處理別)로는 균암구(區)가 다른 두 구(區)보다 밟르고 경운구(區)는 가장 늦어지고 심도(深度)가 깊은 구(區)에서는 더욱 늦어지고 있다. 농업기계(農業 機械)의 주행(走行)에 지장(支障)을 가져오지 않을 정도(程度)의 Cone 지수(指數)($2.5kg/cm^2$)로 답면건조(畓面乾燥)를 시키자면 최종낙수시기(最終落水時期)를 잡는 시기(時期) 및 낙수기간(落水期間)동안의 강우(降雨)의 유무(有無)에 따라 다르게지만 강우(降雨)가 전혀 없다면 누계계기증발량(累計計器蒸發量)을 기준(基準)으로 잡을 때 균암구(區)에서는 누계계기증발량(累計計器蒸發量)으로 약(約) 44mm가 필요(必要)하고 기타구(其他區)에서는 50mm 이상(以上)이 필요(必要)하게 됨으로 균암구(區)에서의 답면건조진행(畓面乾燥進行)은 대체(大體)로 경운구(區), 균열구(區)보다 2일이상(日以上)이 빠르며 35-경운구(區)와 비교(比較)하면 5일(日) 이상(以上)이나 빠르게 될 것이다.

  • PDF

사과원 잡초관리 방법에 따른 사과해충 및 천적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hagous Arthropods and Their Natural Enemies at Different Weed Management Systems in Apple Orchards)

  • 김동순;이준호;전흥용;임명순;김기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56-265
    • /
    • 1995
  • 사과원 잡초군락이 해충 및 천적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제초제를 살포하여 잡초를 제거한 구(제초구)와 수관하부까지 잡초를 키우면서 인력으로예초한 구(예초구)에서 수상의 해충 및 천적과 잡초상의 곤충류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응애류와 진딧물의 발생은 처리간에 유의성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응애류의 경우는 예초구에서 발생이 적은 경향이었다. 사과굴나방의 경우 예초구에서 1993년에는 피해엽률이 10% 정도 낮았고, 1994년은 4% 정도 낮은 발생을 보였다. 응애류와 진딧물의 천적류 발생은 쳬초구에서 높은 경향이었으나 큰 차이는 없었으며 사과굴나방의 기생청 천적류는 예초구에서 1993년에는 6~10%, 1994년에는 20~25% 높은 발생을 보였다. 사과원 잡초상에서 포충망을 이용 곤충류를 채집 조사한 결과, 사과해충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사과해충 천적류로서 좀벌류, 고치벌류, 애꽃노리재, 무당벌류, 풀잠자리류 등이 발견되었다. 사과생육기간중 잡초상 및 수상에서 군충군집변화는 상이하였다. 수상에서의 곤충군집형성에 약제살포가 큰 영향을 주었으나, 잡초상에서는 약제살포에 상대적으로 안정된 군집이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사과원 잡초는 수상의 사과해충 및 천적발생에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사과굴나방 기생벌같은 기주특이적인 천적들은 수상이동에 의하여 밀도억제작용을 하였고, 잡초상에 먹이가 풍부하거나 또는 광식성인 천적들은 잡초상 곤충군집에 연관되어 수상의 해충밀도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 PDF

디스크형 유체역학적 방향제어 시스템 성능해석 및 설계 인자 민감도 분석 (Performance and Sensitivity Analysis of Disk-type Fluidic Control System)

  • 조민경;한두희;성홍계;최현영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3-110
    • /
    • 2016
  • 유동 제어 시스템에 적용을 위한 디스크형 유체 소자 밸브의 성능해석 알고리즘을 수립하고 설계 변수들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유입 유량 발생에 따른 챔버의 압력 변화와 디스크 거동 변화를 예측 하였고 설계 변수들의 민감도 분석을 위해 Scattering plot 기법을 활용하였다. 민감도 분석결과 유동 마하수에 가장 큰 민감도는 갖는 변수는 노즐 출구이며 밸브 응답 시간과 노즐 출구 모두에서 큰 민감도를 갖는 변수는 유입 유량임을 확인하였다.

vlda: An R package for statistical visualization of multidimensional longitudinal data

  • Lee, Bo-Hui;Ryu, Seongwon;Choi, Yong-Seok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8권4호
    • /
    • pp.369-391
    • /
    • 2021
  • The vlda is an R (R Development Core team et al., 2011) package which provides functions for visualization of multidimensional longitudinal data. In particular, the R package vlda was developed to assist in producing a plot that more effectively expresses changes over time for two different types (long format and wide format) and uses a consistent calling scheme for longitudinal data. The main features of this package allow u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ategories and objects using an indicator matrix with object information, as well as to cluster objects. The R package vlda can be used to understand trends in observations over time in addition to identifying relative relationships at a simple visualization level. It also offers a new interactive implementation to perform additional interpretation, therefore it is useful for longitudinal data visual analysis. Due to the synerg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existing VLDA plot and interactive features, the user is empowered by a refined observe the visual aspects of the VLDA plot layout. Furthermore, it allows the projection of supplementary information (supplementary objects and variables) that often occurs in longitudinal data of graphs. In this study, practical examples are provided to highlight the implemented methods of real applications.

경기지방(京畿地方)의 농업공해(農業公害)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제1보(第1報) 황구지천유역(黃口池川流域)의 오수류입답(汚水流入畓)에서 질소수준(窒素水準)과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가 수도(水稻)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Agricultural Pollutions in Gyeong Gi Area 1. Effect of Nitrogen Level and Soil Improvements on Growth and Yield of Rice in the Paddy Field Irrigated with Polluted Water of Hwangguji River)

  • 최영진;조광동;박창규;박준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6-122
    • /
    • 1982
  • 1981년(年) 황구지천(黃口池川)의 수질(水質)을 조사(調査)하고 아울러 황구지천 유역(黃口池川 流域)의 오수 유입답(汚水 流入畓)에서 주구(主區)로 실소수준(室素水準)을 달리하고 세구(細區)로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의 종류(種類)를 달리하여 수양반응(收量反應)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황구지천(黃口池川)의 수질(水質)은 중류(中流)인 안영리(安寧里)에서 파종기(播種期)에 COD 54ppm, $NH_4-N$는 6.5ppm이고 이앙기(移秧期)는 COD 52ppm, $NH_4-N$ 5.2ppm으로 기준치(基準値)를 상회(上廻)하였다. 수질오염(水質汚染)은 주(主)로 유기성 폐기물(有機性 廢棄物)의 유입(流入)에 의(依)한 것으로 생각된다. 2) 질소적량(窒素適量)은 NPK 3요소(要素)인 표준구(標準區) 7.2㎏/10a에 비(比)하여 가리배양(加里倍量)+규회석(珪灰石)+석회(石灰)+생고(生藁) 500 ㎏/10a인 종합개량구(綜合改良區)는 7.3㎏/10a, 석회구(石灰區)는 7.5㎏/10a, 규회석구(珪灰石區)에서는 8.2㎏/10a로 증가 경향(增加 傾向)이며 황구지천변(黃口池川邊)에서 수도재배시 질소량(水稻栽培時 窒素量)은 $7{\sim}8Kg/10a$가 적양(適量)이었다. 3) 질소적정 사용시(室素適正 施用時)의 수량(收量)은 NPK 3요소(要素)인 표준구(標準區) 569㎏/10a에 비(比)하여 3요소(要素)+석회(石灰)+규회석(珪灰石)+가리배양(加里倍量)+생고(生藁) 500㎏/10a인 종합개량구(綜合改良區) 8%, 석회구(石灰區) 5%, 가리배양구(加里倍量區)에서 4% 증수(增收)하였다.

  • PDF

바지락 치패발생장 조성을 위한 모래살포가 저서동물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태안군 고남면 옷점 갯벌 사례) (The impact of sand addition to an intertidal area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habitat on benthic community structure (the case of Ojjeom tidal flat in Gonam-myeon, Taean-gun))

  • 윤상필;송재희;최윤석;박광재;정상옥;한형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59-271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and addition to an intertid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nila clam habitat on benthic community structure. For this, we focused on the spatio-temporal changes in the surface sediment condition and benthic community structure including Manila clam before and after the event. Study site was the lower part of Ojjeom tidal flat in Gonam-myeon, Taean-gun where sand added to on July 2010. We set three stations at each of sand adding area (experimental plot) and non sand-adding area (control plot) and did sampling works ten times from June 2010 to October 2011. Directly after the event, surface sediments changed to very coarse sand, but the state was not maintained over two months because of seasonal sedimentation and finally got back to the original grain sizes in eight months. The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were temporarily reduced right after the event and polychaetes such as Sternaspis scutata, Ampharete arctica were most negatively affected by the event. However, the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quickly recovered from the reduction in four to six weeks owing to the recolonization by the existing species and species in the vicinity of the plot. However, despite the recovery of ecological indies, species composition was continuously changed from one to another, thereby community structure stayed unstable condition, especially in some stations with finer sediment in their original condition. After sand addition, density of Manila clam was prominently increased at only one station with coarser sediment in its original condition.

안토니오 무뇨스 몰리나의 『어둠의 왕자』와 역사적 트라우마 (A study on the historical trauma in Antonio Munoz Moliña's Beltenebros)

  • 김찬기
    • 비교문화연구
    • /
    • 제26권
    • /
    • pp.445-463
    • /
    • 2012
  • Beltenebros is Antonio Mu?oz Molina's third novel. Its plot originates in a criminal act. Darman, the main character, arrives in Madrid to kill a traitor of the undercover organization to which he himself belongs. Treason is paid with death and Darman is in charge of the executions. The intricate story of espionage and intrigue is absorbing. Unlike other novels of the genre, in Beltenebros we can witness a uniqu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the main character. In his fiftieth anniversary, Darman becomes conscious of the painful and devastating effects of his criminal acts on the lives of the people he has crossed paths with. Then, for the first time, he acts like a Romanesque heroe by killing Valdivia-Ugarte, a deceitful mole who has been manipulating the strings of the plot to his own benefit. The story unfolds along an almost uniform progression of chronological time, only interrupted by random memories of a past that twenty years ago destroyed Walter's life, and in which Darman and the rest of the characters are all implicated. Few references to the Spanish Civil War inserted in the discourse are, however, of paramount importance as the depiction of a historical trauma, as a triggering force for the episodes of the novel, or as justification to Darman'scrimes as well as those of the clandestine Comunist Party. Indeed they were the victims of the conflict and the winners inflicted upon them hatred, repression, treason and disloyalty. As in other Mu?oz Molina's novels, the literary space, in this case Madrid, propels the development of the plot, and plays a protagonist role only equal to that of the main characters. It is in Madrid where Darman lives until he becomes prisoner of the enemy army, or where the symmetrical deaths of Walter and Andrade take place. Other spaces inhabit Madrid: the Universal Cinema, symbolic territory of the secret and hidden, where the story,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of the characters start and end the warehouse; or the Bo?te Tab? the nightclub that frequents Valdivia-Ugarte through secret passages connected with the Universal Cinema.

과맥의 파성에 대한 생리화학적 연구 III. 파성심도에 따른 유수분화 및 발육과정에 있어서의 유이아미노산의 소장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Chemistry of Spring Habits in Naked Barley III. Variation of Free Amino acids during the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Young Spkie with Different Spring Habits)

  • 최선영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0권3호
    • /
    • pp.127-134
    • /
    • 197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free amino acids during the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young spike in naked barley, a typical spring grain, Wanju, and two winter grains, Sedohadaka and Nonsankwa No. 1-6 differing in their spring habits, were analyz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In all the varieties 22 ninhydrin positive components were detected at the sowing time of March 5 and 20 components in the sowing plots of March 30. In case of the latter plot, β-alanine was identified only in both Wanju and Sedohadaka, whereas pipecolic acid was detected only in Nonsankwa No. 1-6. Particularly, it is interesting that β-alanine was observed only in the case showing the normal heading independent of the varieties and sowing times. Whether these component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physiology of spring habits in barley or not is also a question to be answered. Of the major amino acids, alanine and γ-aminobutyric acid were always detected in appreciably large spots, and serine, leucine, aspartic acid, valine and asparagine were somewhat larger. In the plot of march 30, glutamic acid was also detected in very large spot in both Wanju and Sedohadaka at the stage of spikelet differentiation and in Nonsankwa No. 1-6 at the stage of bract differentiation. Histidine, which showed the only qualitative difference among the varieties during seed germination, cannot be observed at all. Proline observed considerably large spot during seed germination was always detected but very small except that it was observed in large spot at the stage of floret differentiation in Nonsankwa No. 1-6 in the plot of March 5.

  • PDF

The Changes of Understory Vegetation by Partial Cutting in a Silvopastoral Practiced Natural Deciduous Stand

  • Kang, Sung Kee;Kim, Ji H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2호
    • /
    • pp.156-164
    • /
    • 2008
  •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multi-purpose management of natural deciduous fores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lement the partial cutting for stand regulation to examine agroforestry practice as well as other concurrent forest resource production,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tand characteristics and understory vegetation in a silvopasture practiced natural deciduous stand in the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Three different partial cutting intensities (68.1%, 48.6%, and control) were performed in the unmanaged natural deciduous stand in order to improve the growing condition, especially light condition, for introducing some commercial herbaceous plants on the forest floor to establish agroforestry and/or silvopastoral system. Dominated by Quercus varibilis Blume (50.5%) and Quercus dentata Thum. ex Murray (42.6%), eight tree species were composed of the study forest, including poles of Pinus desiflora Siebold & Zucc and sapling of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The total of 87 (13 tree species, 12 shrub species, 58 herbaceous species, and 4 woody climbers) vascular plant species were observed in study site after partial cutting treatments, while that of before partial cutting was 53 species (14 tree species, 8 shrubs species, 30 herbaceous species, and 1 woody climbers). The proportion of life form spectra in plot B was Mi (28.4%)-Na (23.0%)-Ge (17.5%)-Ch (10.8%)-He (9.5%)-MM (6.7%)-Th (4.1%).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hanges of life form spectra from before to after partial cutting treatment and among partial cutting gradients in this study. Partial cutting and scratching for forage sowing made plants invade easily on the forest floor, and light partial cutting (LPC) plot (500 stems/ha) had much higher number of undersory species than those of heavy partial cutting (HPC) plot (310 stems/ha) and control plot (1,270 stems/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