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ing density

검색결과 528건 처리시간 0.032초

질소시비량, 재식밀도 및 파종기가 오크라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Fertilizer, Planting Density and Seeding Date on the Yield of OKra(Abelmoschus esculentus (L) MOENCH))

  • 이경희;조재연;윤성탁;박석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9-183
    • /
    • 1990
  • 질소시비량, 재식밀도 그리고 파종기가 오크라 생협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당착과수는 질소시비량 8kg/10a, 재식밀도는 90$\times$30cm 처리에서 가장 많았다. 2. 질소비료수준 및 재식밀도간 생협수량은 각각 8kg/10a, 45$\times$30cm 처리에서 가장 많은 경향을 보였다. 가장 수량이 많은 구는 8kg/10a의 45$\times$30cm로서 1,348.7kg/10a이었다. 3. 파종기에 있어서 생협수량은 5월 1일 파종이 1,270.8kg/10a로 가장 수량이 많았다.

  • PDF

고랭지에서 재식 밀도 및 질소 시비 수준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Planting Densities and Nitrogen Level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Corn for Silage in Alpine Areas)

  • 이종경;박형수;정종원;김종근;임영철;김영근;이성철;정재록;성경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39-244
    • /
    • 2005
  • 본 시험은 옥수수 재식밀도 low(67,000 plants/ha), control(89,000 plants/ha) 및 high(95,000 plants/ha)를 주구로, 질소 시비량 150, 200 및 250kg/ha을 세구로 하여 분할구 배치법 3반복으로 2001년부터 2002년까지 2년간 축산연구소 한우시험장에서 수행하였다. 옥수수의 간장은 재식밀도가 낮을 수록 길었고, 모든 주처리구에서 ha당 200kg의 질소 시용구에서 길었으나 처리구간에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옥수수의 착수고는 재식밀도가 높아질수록 낮았으며, ha당 150 kg 시용구에서 가장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옥수수의 암이삭 비율은 재식밀도가 낮을 수록 높아지는 경향이고 질소시비 수준은 ha당 200kg이 높았다(P<0.05). 옥수수의 건물수량은 재식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를 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재식밀도에 따라 질소시비 수준은 차이를 보였다(P<0.05). 옥수수의 조단백질 함량은 큰 차이는 없었으나 높은 재식밀도와 낮은 질소시비 수준으로 가장 높은 경향이었다. NDF와 ADF 함량은 낮은 재식밀도와 200kg/ha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고려하여 보면 고랭지에서 낮은 재식밀도(67,000 plants/ha)와 ha당 150-200kg의 질소시비 수준이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남부지방 콩 만파 재배 시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변이 (Growth and Yield Responses of Soybean to Planting Density in Late Planting)

  • 박현진;한원영;오기원;고종민;배진우;장윤우;백인열;강항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343-348
    • /
    • 2015
  • 1. 남부지역에서 대원콩을 이용하여 재배한 결과, 주당본수를 높일수록 식물체 간 경합에 의해 경장은 길어지고 경태는 가늘어지며 분지수가 감소하여 도복에 취약한 초형으로 생육한다. 다만 만파재배 시에는 생육기간이 단축되므로 주당본수를 높이더라도 도복이 우려될 만큼 경장이 신장하지 않는다. 2. 마디수는 주당본수 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협수는 주당본수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재식밀도의 증가에 의한 증수효과는 7월 중순이후로 극만파할 때에 관찰되며 1주 4본 재배 시 표준재배에 비하여 34 % 증수효과가 있었고, 1주 5본 이상 재배할 경우 오히려 수량이 감소하였다. 4. 따라서 만파재배 시에는 밀식하여도 잘 도복하지 않으며 $70{\times}20cm$로 재배할 때 1주 4본까지 재식밀도를 높이는 것이 수량증대에 유리하다.

철원지역에서 재배한 양마 (Kenaf, Hibiscus cannabinus L.)의 재식거리와 품종, 수확시기에 따른 건물수량 및 사료성분의 변화 (Effects of Planting Density, Cultivar and Growing Days on the Dry Matter Yield and Forage Quality of Kenaf (Hibiscus cannabinus L.) in Cheorwon, Korea)

  • 한상은;성경일;조동하;김성무;김병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5-292
    • /
    • 2006
  • 본 연구는 양마 3품종을 재식거리, 품종 및 수확시기에 따른 건물수량과 사료성분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강원도 철원지역에서 2005년 5월 20일부터 2005년 9월 12일까지 수행되었다. 시험배치는 3반복 분할구 배치로 주구는 재식거리와 수확시기를, 세구는 양마 3품종(Dowling, Everglade 및 Tainung)을 배치했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생육일수에 따른 건물 생산량은 93일까지는 재식거리가 $10{\times}10cm^2$ 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품종별 건물생산량에서는 모든 품종이 생육시기가 진행됨에 따라 건물수량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Bowling이 모든 수확시기에서 가장 높은 건물생산량을 보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생육일수가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생육 중기(생육일수 84일)을 기준으로 생육초기에는 조단백질 함량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10{\times}20cm^2$ 구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품종별로는 Bowling의 조단백질 함량이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큰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재식거리 및 품종에 따른 NDF와 ADF 함량의 차이는 조사된 3 품종 공히 생육시기가 지나감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큰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양마는 우리나라 중북부 지방에서 훌흉한 사료작물로서의 가능성이 검증되었고, 특히 Bowling 품종이 재식거리 $10{\times}10cm^2$로 파종하여 104일째 수확했을 때 가장 좋은 건물생산량과 품질을 보여주었다.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Street Trees in Seoul

  • Jo, Hyun-Kil;Kim, Jin-Young;Park, Hye-M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162-164
    • /
    • 2018
  • This study quantified the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street trees in Seoul and explored suitable planting and management strategies. A systematic sampling model was used to select 50 plots to survey the structures of street trees. The average density and cover of street trees were approximately 5.8 trees/$100m^2$ and 12.1%, respectively. Trees with a dbh of less than 30 cm accounted for about 66.3% of the total number of trees surveyed. The total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the street trees were approximately 103,641 t and 10,992 t/yr, respectively. The total carbon uptake equaled the amount of annual carbon emissions from driving of about 11,000 cars. Street tree planting and management strategies were proposed to enhance carbon uptake. They included multi-layered and multi-aged planting, securing ground and space for plant growth, and avoiding excessive tree pruning.

토천궁(土川芎)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lanting Density on the Growth and Yield of Ligusticum chuanxiong Hort.)

  • 김충국;임대준;유홍섭;이승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6-31
    • /
    • 1994
  • 토천궁(土川芎)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 및 수양(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하여 재배기술개선(栽培技術改善)을 위한 자료(資料)로 이용(利用)하고자 시험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당(株當) 경수(莖數)와 엽수(葉數), 주경분지수(株莖分枝數)는 밀식(密植)할 수록 감소되었지만 단위면적당 경수(莖數)와 엽수(葉數), 주경분지수(株莖分枝數)는 증가되었다. 2. 경장(莖長)은 밀식(密植)할 수록 커졌으나 $50{\times}10cm$에서는 약간 작아졌으며 경태(莖太)는 재식밀도간(栽植密度間)에 큰 차이가 없었고 지표면에서 1차분지(分枝)까지의 높이는 밀식(密植)할 수록 높아졌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3. 지상부(地上部)와 지하부(地下部) 생육특성(生育特性)은 $m^2$당 경수(莖數)가 많으면 주당(株當) 엽수(葉數)와 주경분지수(株莖分枝數)가 적어지고, $m^2$당 경수(莖數)와 엽수(葉數), 주경분지수(株莖分枝數)가 많아지면 지표면에 서의 1차분지착생(分枝着生)높이가 높아졌다. 4. 10a당 근경수양(根莖收量)은 주당(株當) 경수(莖數)와 엽수(葉數)와는 유의적인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되었으며, $m^2$당 경수(莖數)와 엽수(葉數), 주경분지수(株莖分枝數)와는 유의적인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되었다. 5. 개체당(個體當) 근경중(根莖重)과 세근중(細根重)은 밀식(密植)할 수록 작아졌으며 10a당 근경(根莖)과 세근(細根)의 수양(收量)은 오히려 밀식(密植)할 수록 증가되었다.

  • PDF

쇠무릎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특성(生育特性) 및 근(根)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lanting Densit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Root Yield of Achyranthes japonica N.)

  • 김명석;정병준;박규철;박태동;김상철;심재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7-141
    • /
    • 1998
  • 쇠무릎의 적정(適正)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고자 나주(羅州) 자생수집종(自生蒐集種)을 공시하여 90cm 두둑에 재식밀도(栽植密度)를 조간(條間) 20cm, 25cm, 30cm의 3수준(水準)과 주간(株間) 5cm 7cm, 9cm의, 3수준(水準)으로 처리(處理)하고 시비량(施肥量)을 10a당(當) 실소(室素) 6kg, 인산(燐酸)14kg, 가리(加里)8kg 및 퇴비(堆肥) 1,500kg을 시용(施用) 후(後) 4월(月) 15일(日)에 $4{\sim}5$입(粒)씩 점파(点播)하여 양질(良質)의 생약(生藥) 생산(生産) 및 안정적(安定的)인 재배법(栽培法) 확립(確立)하고자 시험(試驗)한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의 화학성(化學性)은 시험후 토양이 시험전 토양에 비해 유기물(有機物), 유효인산(有效燐酸), 칼리, 칼슘, 마그네슘, C. E. C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2. $30{\times}9cm$의 소식(疎植) 재배구(栽培區)에서 경태(莖太)가 굵고 주당(株當) 분지수(分枝數) 및 지근수(枝根數)는 많았으나 $25{\times}5cm$(57, 140주(株)/10a) 구(區)에서 면적당 입모수(立毛數)가 많아 경장(莖長)이 길어지고 세근(細根)이 적어진 반면에 주근장(主根長)과 주근경(主根徑)이 커져 단위(單位) 면적당(面積當) 근수량(根收量)은 증가되었다. 3. 건근수량(乾根數量)은 $25{\times}5cm$ 구(區)에서 $25{\times}5cm$ (306kg/10a)의 밀식구(密植區)에 비하여 상근중(上根重) 비율(比率)이 71%로 높아지고 잔뿌리가 적어져 품질이 향상되어 71% 증수(增收)를 보였다. 4. $25{\times}5cm$ 밀식재배(密植栽培)에서 건근수량(乾根收量)은 경태(莖太), 주당(株當) 분지양(分枝數) 생경엽중(生莖葉重) 및 근수(根數)와는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며 경태(莖太), 절수(節數), 주근장(主根長,. 주근경(主根徑) 및 북근중(北根重) 북(比) 율(率) 등(等)과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되었다.

  • PDF

Effect of Sowing Date and Planting Density on Growth, Yield and Anthocyanin Content of Purple Corn 'sakso 1'

  • Hee Yeon Kim;Jae-Keun Choi;Si-Hwan Ryu;Moon-jong Kim;Jung Heon Han;Seung Hyun Wang;Ki Sun Kim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5-55
    • /
    • 2022
  • Purple com Saekso 1 was developed by Maize Research Institute (Hongcheon, Gangwon, Korea) and registered in 2011. Saekso 1 is a anthocyanin-rich hybrid variety that is yellow grain, purple husk and cob. Purple husk and cob of Saekso 1 is as a resource for the bioactive material by health food. In order to investigate optimum sowing date and planting density of Saekso 1. Agronomic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by sowing times April 25, May 15 and June 5. Husk dry weight were 68,72 and 70kg·10a-1, respectively. Cob dry weight were 90, 92 and 92kg·10a-1, respectively. Content of cyanidin-3-glucoside in husk were 0.56, 0.62 and 0.56% and in cob were 0.19, 0.14 and 0.17%. Therefore, the sowing time to increase husk and cob weight and content of cyanidin-3-glucoside is appropriate for planting in mid-May. The number of plants in planting density trial was 9,400, 7,000, 5,700 and 4,700 plants in 10a area. Plant height at each trial were 249, 250, 246 and 248cm, respectively. Husk dry weight were 76, 67 and 63 and 60kg·10a-1, respectively. Cob dry weight were 112, 92, 87 and 81kg·10a-1, respectively. Content of cyanidin-3-glucoside in husk were 0.70, 0.71, 0.71 and 0.75% and in cob were 0.21, 0.28, 0.26 and 0.20%. Therefore, appropriate sowing time was in mid-May and planting density was 5,700~7,000 plants·10a-1 in order to increase the yield and content of cyanidin-3-glucoside of purple com in South Korea.

  • PDF

직립형 팥의 넓은이랑 줄뿌림 재배시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특성 (Effects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in Wide-Row Drill Seeding of Upright Type Adzuki Beans (Vigna angularis (Willd.) Ohwi Ohashi))

  • 정기열;최영대;전현정;이상훈;전승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4호
    • /
    • pp.378-383
    • /
    • 2018
  • 본 연구는 건강 기능성 팥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수요와 재배면적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팥의 생산량 증대와 자급률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기계화 수확에 적합한 넓은이랑 줄뿌림 재배시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 경장은 주간거리가 짧아질수록 '아라리' 품종은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홍언' 품종에서는 대체적으로 짧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경태와 분지수에서는 두 품종 모두 주간거리가 짧아질수록 가늘어지거나 적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2. 착협고는 재식거리가 짧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홍언'에서는 $30{\times}10cm$ 처리구에서 5.0 cm로, '아라리'에서는 $30{\times}10cm$$50{\times}10cm$ 처리구에서 8.8 cm로 가장 높았다. 3. 주당협수와 주당립수는는 두 품종 모두 재식거리가 길어질수록 많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백립중에서는 '홍언'에서는 재식밀도간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아라리' 에서는 재식밀도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 수량성은 조간거리 40cm${\times}$주간거리 15 cm 처리구에서 두 품종 모두 (285, $374kg{\cdot}10a^{-1}$) 가장 높았다.

재식밀도에 따른 유ㆍ무한 신육형 콩의 생육 및 수량형질 반응 (Responses of Growth and Yield Characters on Planting Density in Determinate and Indeterminate Soybeans)

  • 김홍식;홍은희;박상일;박연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89-195
    • /
    • 1993
  • 본시험은 유ㆍ무한신육형콩의 생육 및 수량형질의 차이와 그 변이 정도를 구명하고 콩 육종 및 재배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1990년 수원 작물시험장에서 실시하였다. 유한신육형인 황금콩과 장엽콩, 무한신육형인 Clark와 Qilliams를 공시하여 재식밀도는 휴폭을 60cm로 동일하게 하고 주간을 10cm (밀도, 33개체/$m^2$), 15cm(표준, 22개체/$m^2$) 및 20cm(소식, 16개체/$m^2$)로 달리하여 생육 및 수량형질의 재식밀도 반응을 검토한바 그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m^2$) 분지수와 분지절수는 유한신육형이 무한신육형 보다, 단위면적당($m^2$) 주경절수는 무한신육형이 유한신육형 보다 많았으며 밀식일수록 증가하였다. 2. 단위면적당($m^2$) 입종은 유한신육형이 무한신육형보다 많았고, 밀식일수록 많았다. 3. 수량구성요소의 주경의존도는 밀식일수록 높아 졌는데 이러한 경향은 유한신육형 보다 무한신육형에서 더 컸다. 4. 입경비는 무한신육형이 유한신육형 보다 높았으며 소식일수록 증가하였고,면적경중은 유한신육형이 무한신육형 보다 많았으며 밀식일수록 증가하였다. 5. 개체간 변이 분석 수량형질 > 개체전체의 수량형질 > 주경의 수량 형질 > 주경의 형태적 형질 및 100입종의 순으로 컸으며 유ㆍ무한신종육형간에 뚜렷한 차이는 분지 관련 형질이었다. 6. 재식밀도 변화에 따른 개체간 변이의 변동이 큰 형질은 분지의 수량형질로서 무한신육형이 유한신육형에 비하여 변이폭이 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