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sociology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6초

독일 산업·기술문화재 한자 코크스 제조소 재생사례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cedents for Industrial/Technological Cultural Properties of the Hansa Coking Plant)

  • 김홍기;박창호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9-68
    • /
    • 2016
  • The Industrial/Technological Cultural Properties are being protected, the rest facing with demolition and damages. In order to better cope with such situation, Korea has officially introduced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System since 2001 and began acknowledging the historical values of industrial buildings as modern cultural properties. In the Nordrhein-Westfalen, Germany, there are approximately 3,500 industrial buildings under the cultural asset protection and management not only in the Ruhr-region but also state-wide. Among these, this case study focuses on the Hansa Coking Plant, a large-scale Revitalization project to rehabilitate the old industrial complexes and facility buildings that have been shut down on December 15, 1992.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ain project plans of each facility in the Hansa Coking Plant and to bring out the main features of the plans, so that they can be utilized to find suggestions for Industrial/Technological Cultural Properties Revitalization in Korea.

Tabu 탐색 기법을 활용한 개선적 공장 설비배치 (Improvement Approach on the Plant Layout Based on Tabu Search)

  • 김채복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469-477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주어진 공장의 공간에 여러 개의 직사각형 형태 부서의 위치를 할당하고 문헌에 있는 다른 설비배치 기법과 비교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초기 설비배치가 주어졌을 때 물류비용을 최소화하는 개선적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문헌에 있는 접근 방법과 같이 이 연구에서 제시된 접근 방법도 하나의 설비배치에서 부서를 교환하여 더 좋은 해를 찾고자 하였으며, 물류비용을 개선하는 자기발견적 절차를 적용하였다. 수직적 교환, 수평적 교환, 통합 절차 및 분리 절차를 통해 더 좋은 해를 발견할 가능성을 높이고 크기가 같은 설비의 경우에는 설비 배치의 회전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CRAFT와 달리 이 연구에서 제시되는 알고리즘은 설비 형태의 왜곡이 일어나지 않고 직사각형을 유지하는 좋은 해를 제공한다. 또한 Tabu 탐색기법을 활용하여 지역적인 최적해에서 전체 최적해를 찾아가고자 하였다. 문헌에 있는 25개의 설비배치 문제에 대하여 다른 접근 방법과 비교한 결과 제시된 접근방법이 설비의 수가 많을 때 훨씬 더 좋은 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원전 조직 및 인적인자 평가 (A System Dynamics Model for Assessment of Organizational and Human Factor in Nuclear Power Plant)

  • 안남성;곽상만;유재국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3권2호
    • /
    • pp.49-68
    • /
    • 2002
  • The intent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ystem dynamics model for assessment of organizational and human factors in nuclear power plant which can contribute to secure the nuclear safety. Previous studies are classified into two major approaches. One is engineering approach such as ergonomics and probability safety assessment(PSA). The other is social science approach such like sociology, organization theory and psychology. Both have contributed to find organization and human factors and to present guideline to lessen human error in NPP. But, since these methodologies assume that relationship among factors is independent they don't explain the interactions among factors or variables in NPP. To overcome these limits, we have developed system dynamics model which can show cause and effect among factors and quantify organizational and human factors. The model we developed is composed of 16 functions of job process in nuclear power, and shows interactions among various factors which affects employees' productivity and job quality. Handling variables such like degree of leadership, adjustment of number of employee, and workload in each department, users can simulate various situations in nuclear power plant in the organization side. Through simulation, user can get insight to improve safety in plants and to find managerial tools in the organization and human side. Analyzing pattern of variables, users can get knowledge of their organization structure, and understand stands of other departments or employees. Ultimately they can build learning organization to secure optimal safety in nuclear power plant.

  • PDF

고소작업 사고 시나리오 기반 웨어러블 응용 HSE 시스템 안전관리 방안 (HSE System Safety Management Using Wearable Based on Accident Scenario of High Place Work)

  • 조윤정;임기창;임동선;박정호;김종면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417-425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조선해양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중대재해를 줄이고 체계적인 안전관리를 위하여 ETA(event tree analysis)기반 시나리오 도출 및 ICT 기술접목을 통한 안전관리 구축방안을 제안한다. 안전보건공단과 (구)국민안전처의 통계결과 조선해양 관련 중대재해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사고유형은 떨어짐이고, 주요사고원인은 안전대 미착용 및 안전대 고리 미체결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TA기반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안전사항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사고예방을 위한 ICT 기술접목으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ETA 기반 시나리오 도출 및 ICT 기술접목을 통해 제안한 해결방안으로는 안전대 및 안전모 착용여부 감지시스템, 안전대 고리 체결여부 감지시스템, 안전거리 측정을 위한 걸이설비 측정시스템이다. 안전사항별 시스템을 통해 작업자의 떨어짐 위험을 줄여 사망확률을 낮출 수 있다. 제안한 방안을 통해 사고를 예방함으로써 조선해양 분야의 중대재해를 줄이고 체계적인 안전관리를 도모한다.

Effect of Fungicides and Plant Extracts on the Conidial Germination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ausing Mango Anthracnose

  • Imtiaj, Ahmed;Rahman, Syed Ajijur;Alam, Shahidul;Parvin, Rehana;Farhana, Khandaker Mursheda;Kim, Sang-Beom;Lee, Tae-Soo
    • Mycobiology
    • /
    • 제33권4호
    • /
    • pp.200-205
    • /
    • 2005
  • In Northern Bangladesh, generally mango trees are planted as agroforest that gives higher Net Present Value (NPV) than traditional agriculture. Mango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Penz. is seen as a very destructive and widely distributed disease, which results in poor market value. Five fungicides such as Cupravit, Bavistin, Dithane M-45, Thiovit and Redomil were tested against conidial germination of C. gloeosporioides. Dithane M-45 and Redomil were the most effective when the conidia were immersed for $10{\sim}20$ minutes at $500{\sim}1000\;ppm$ concentrations. Antifungal activities of 13 plant extracts were tested against conidial germination of C. gloeosporioides. Conidial germination of C. gloeosporioides was completely inhibited in Curcuma longa (leaf and rhizome), Tagetes erecta (leat) and Zingiber officinales (rhizome) after 15 minutes of incubation respectively.

유러닝 박스와 유비쿼터스 기반의 시험 시스템을 이용한 글로벌 교육 혁신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Global Educational Innovation using U-Learning Box and Ubiquitous-based Test)

  • 황민태;랄슨 바즈라차려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79-28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네팔(Nepal)의 6개 시범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유러닝 박스(U-Learning Box)와 유비쿼터스 기반의 시험(UBT, Ubiquitous-based Test) 시스템을 이용한 교육 혁신 사례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있다. 전력 공급 사정이 열악한 네팔 국가의 현실을 고려할 때 작고 이동성이 용이한 교사용 태블릿 PC와 자체 배터리를 가진 소형 스마트 빔으로 구성된 유러닝 박스가 시범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기초 영어 교육과 보건 위생 교육을 지원하는 최적의 솔루션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태블릿 PC를 이용한 UBT 기술을 이용해 시범 초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영어 학습 능력을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한 교육 환경 개선 및 현지 수준에 적합한 교육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유러닝 박스와 UBT 기술을 이용한 글로벌 교육 혁신 사례는 네팔 뿐만 아니라 기초 교육 환경이 열악한 개발도상국들을 대상으로 하는 글로벌 교육 기회 평등 프로젝트의 성공 모델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수 교육을 위한 ICT 기반의 장애 평가 애플리케이션 연구 (A Study on the ICT-based Disability Evaluation Applications for Special Needs Education)

  • 정종문;정대영;황민태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889-899
    • /
    • 2017
  •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특수 교육 분야에서도 ICT 기술을 접목해 시너지 효과를 얻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특수 교육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ICT 기반의 장애 평가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한 다음 이를 특수 교육 현장에서의 필드테스트를 통해 그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개발한 웹사이트는 평가자가 노트북이나 PC를 이용해 평가 대상자의 자폐 행동이나 학습 장애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평가자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평가 결과는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되며, 개발한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므로 쉽게 연동되어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특수 교육 현장에서 평가 대상자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관찰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시스템 다이나믹스를 활용한 원전 조직 및 인적인자 평가 (The System Dynamics Model for Assessment of Organizational and Human Factor in Nuclear Power Plant)

  • 안남성;곽상만;유재국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 /
    • pp.19-40
    • /
    • 2002
  • 경제 활동의 근간이 되는 에너지 공급원으로서의 원자력 발전소는 그 경제적 성과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원전의 안전성은 하드웨어(hardware) 개선을 포함한 공학적 성능과 조직 및 인적 관리 요소에 대한 부분이 상호 작용하는 시스템 구조를 갖음에도 불구하고, 원전의 경제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직 및 인적 관리분야에 대한 연구는 기술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히 취급된 경향이 있다.(중략)

  • PDF

삼척 비화진 유역 산불피해지의 2003년도와 2014년도의 식생구조 비교 (Comparison of Vegetation Structure Change between 2003 and 2014 in Forest Fire Damaged Area of Bihwajin Basin, Samcheok in Korea)

  • 송주현;임주훈;권진오;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2호
    • /
    • pp.150-168
    • /
    • 2017
  • 이 연구는 2000년도 동해안 산불이 발생한 강원도 삼척 비화진 유역을 대상으로 2003년도와 2014년도의 식물사회학적 식생유형분류, 층위별 중요치, 종다양도, 군락유사도 분석을 통해 임분 구조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32개소의 식생조사를 각각 실시하였다. 식생유형분류 결과, 7개의 식생단위에서 4개의 식생단위로 감소하였으며, 11개의 종군에서 7개의 종군으로 감소하였다. 중요치 분석 결과, 교목층에서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졸참나무(Q. serrata), 굴참나무(Q. variabilis)가 각각 6.8%, 5.2%, 2.9% 증가하였으며, 소나무(Pinus densiflora)가 각각 2.8%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으며 밤나무(Castanea crenata),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a), 살구나무(Prunus armeniaca var. ansu), 복자기(Acer triflorum), 모감주나무(Koelreuteria paniculata) 등 대부분의 조림 수종들의 중요치가 감소되었다. 종다양도의 경우, 교목층에서 0.252에서 0.287로 증가하였고, 아교목층에서 0.252에서 0.434로 증가하였고, 관목층에서 1.293에서 1.333으로 증가하였지만 초본층에서는 1.745에서 1.646으로 감소하였다. 군락유사도의 경우, 각 층위별로 0.78, 0.65, 0.72, 0.55로 나타나 초본층의 변화가 가장 심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이 조사지와 유사한 산불피해지의 생태계 진단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사물인터넷 기반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서비스를 위한 경량 암호화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n the Lightweight Cryptographic Algorithms for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er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정종문;랄슨 바즈라차려;황민태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437-445
    • /
    • 2018
  • 기기는 큰 고장보다는 사소한 고장이 많이 생기지만 작은 고장에도 출장 기사를 부르는 것과 같은 정비 서비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인력과 비용이 낭비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서비스를 사용한다면 이러한 인력과 비용의 소모를 최소한으로할 수 있다. 그러나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서비스에는 개인정보와 같은 유출 되면 위험한 정보를 사용하므로 보안이 중요하다. 하지만 사물인터넷 기반 모니터링 서비스 기기는 종류가 다양하고 특성상 최소한의 성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기본적으로 높은 수준의 보안을 기대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서비스를 유형에 따라 네 가지로 분류하고, 유형별로 암호화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사물인터넷에 사용해도 높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는 경량 암호화 알고리즘들을 비교·분석하여 장비관리형은 LED, 환경관리형은 DESLX, 환경관리형은 CLEFIA, 휴대관리형은 LEA가 유형별 최적의 경량 암호화 알고리즘임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