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community

검색결과 1,228건 처리시간 0.026초

대산.군산공단지역의 대기오염이 삼림식물군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the Forest Plant Community by the Air Pollution around Daesan and Kunsan Industrial Complex Areas)

  • 이경재;조우;한봉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4
    • /
    • 1995
  • 대산공단과 군산공단의 대기오염에 의한 삼림피해현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조사구를 각각 5개, 3개씩 설치하였다(1개 조사구 당 면적 500$m^2$). 대산공단 삼림의 교목층 아교목층의 우점종은 소나무와 곰솔이었고 관목층에서는 진달래와 참나무류가 우점종이었다. 종다양도는 0.4859~0.9202 이었으며, 조사구간의 차이가 심하게 나타났다. 토양 pH는 4.67~5.12로 약산성이었다. 대산공단지역에서는 아직 대기오염에 의한 삼림의 피해가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군산공단삼림의 교목층 및 아교목층의 우점종은 곰솔과 소나무이었다. 종다양도는 0.8115~l.0983이었고 오염원과 가까운 조사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토양 pH는 4.32~4.76으로 강산성이었다. 군산공단의 오염원 인근삼림은 울산공단과 유사한 피해양상으로 심각한 피해를 받고 있었다.

  • PDF

용현자연휴양림 일대의 산림군락분류와 식생구조 (Forest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in National Yonghyeon Natural Recreation Forest)

  • 신재권;변준기;윤충원;구본열;김한결;김인식;김동갑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20-229
    • /
    • 2017
  • 본 연구는 국립용현자연휴양림일대 산림의 식생조사를 통하여 산림의 군락분류와 식생구조를 연구하였다. 2014년 4월부터 9월까지 약 26개의 방형구($20{\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고로쇠나무군락의 3개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군락은 소나무군과 전형군, 고소뢰나무군락은 회나무군과 전형군의 4개 군으로 세분되었다. 국립용현자연휴양림일대 산림식생유형은 3개 군락 4개군의 분류체계를 가졌으며, 총 5개의 식생단위로 구분되었다. 식생단위별 중요치 분석을 보면 교목 및 관목의 목본식물에서 식생단위 1은 소나무(65.1%), 식생단위 2는 신갈나무(73.6%), 식생단위 3은 굴참나무(75.1%), 식생단위 4는 회나무(33.3%), 식생단위 5는 비목나무(21.7%)가 높게 나왔으며, 초본층에서 식생단위 1은 주름조개풀(19.3%), 식생단위 2는 실새풀(16.9%), 식생단위 3은 땅비싸리(17.3%), 식생단위 4와 5는 개별꽃이 각각 14.8%, 24.7%로 높게 나왔다. 지표종 분석결과 총 33종이 유의한 종으로 분석되었다(p<0.05).

오대산 국립공원 동대산지역의 사면. 해발고에 따른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by the Slope and Altitude of Tongdaesan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 이경재;조우;황서현;임경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3-146
    • /
    • 1996
  • 오대산 국립공원 동대산지역의 해발고와 사면에 따른 식물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63개의 조사구(조사구면적 100m$^{2}$)를 설치하고 TWINSPAN과 DCA기법을 이용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구들은 사면보다는 해발고에 의한 군집분리가 명확하였는데 해발고가 높을수록 신갈나무, 피나무가 우점종을 이루었고 해발고가 낮을수록 들메나무, 박달나무, 서어나무, 층층나무의 우점치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분리된 군집은 6개군집으로써 동, 서사면 고지대의 피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중지대의 신갈나무-피나무군집, 동사면 저지대의 신갈나무0들메나무군집, 소나무-서어나무-박달나무군집과 서사면 저지대의 들메나무-층층나무군집이었다. 또한 지난 20여년간 동대산지역은 정상부분을 제외하고 동, 서사면에서 식생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라산 아고산지대 식물군집구조 및 식생훼손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nd Vegetation Deteriorations on Subalpine Zone in Mt. Halla)

  • 이경재;조우;조현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4-54
    • /
    • 1992
  • 한라산 영실의 오백나한-윗세오름대피소-방아오름에 이르는 아고산대(해발 1,440-1,700m)삼림의 식물군집 구조분석을 위하여 37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10 $\times$ l0m 방형구 1개씩 설치)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에 대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의 종류인 RA및 DCA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가축방목과 이용객에 의한 식생훼손을 파악하기 위하여 17개소에 조사구를 설치하였다. TWIMSPAN에 의해 5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어 구상나무-주목군집, 산철쪽-털진달래 -제주조릿대군집, 큰꽝꽝나무-보리수나무-제주조릿대군집, 산철쭉-눈향나무-털진달래군집, 시로미-눈향나무군집으로 나뉘었다. 가축방목과 탐방객의 이용에 의하여 식물군집의 종다양성이 심하게 감소되었다.

  • PDF

논산 경제림 육성단지의 식물상 및 식생 연구 (Study on the Vegetation and Flora of Nonsan Economical Forest Growing Site)

  • 오현경;최윤호;변무섭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7-45
    • /
    • 2008
  • The vascular plants of the studied area in Nonsan economical forest growing site appeared to be 341 taxa; 81 families, 218 genera, 290 species, 1 subspecies, 42 varieties and 9 forms.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5 taxa existed; Cephalotaxus koreana, Thalictrum actaefolium, Asperula lasiantha, Populus tomentiglandulosa (Planted species), Paulownia coreana (Planted species).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13 taxa; Cirsium setidens in class III, Potentilla dickinsii in class II, Cephalotaxus koreana, Pinus koraiensis (Planted species), Hosta capitata, Juglans mandshurica, Alnus hirsuta, Quercus variabilis, Ulmus parvifolia, Dictamnus dasycarpus, Gwenia biloba var. parviflora, Vaccinium oldhami, Trigonotis icumae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9 families, 19 genera, 20 species, 1 varieties, 21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6.1% of all 341 taxa vascular plants. The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Platycarya strobilacea community, Quercus aliena community of natural forests and Pinus rigida community,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community, Larix leptolepis community of artificial forests.

제주도 동백동산에 성립된 습지의 유형과 식생 (Type and vegetation of the Dongbaekdongsan wetland in Jeju, a southern island of Korea)

  • 정성희;임봉순;조용찬;김진석;이창석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81-293
    • /
    • 2018
  • 동백동산 습지는 못과 한시적 못으로 구분되었다. 어리연꽃군락, 흑삼릉군락, 좁은잎미꾸리낚시군락, 송이고랭이군락, 물고추나물군락, 청비녀골풀군락, 진땅고추풀군락, 중대가리풀군락, 수궁초군락, 기장대풀군락 및 참느릅나무군락의 11개 식물군락이 성립해 있다. 어리연꽃 군락은 동백동산입구에 위치한 한 못에 성립해 있고 좁은잎미꾸리낚시군락은 그 못의 가장자리에 성립해 있다. 흑삼릉군락은 수심이 비교적 낮은 인근의 못에 성립해 있고 그 못의 가장자리에도 좁은잎미꾸리낚시군락이 성립해 있다. 한시적 못은 과거 식수원으로 사용되었고 일부에서는 가축의 물먹이공간으로도 사용되었다. 송이고랭이군락은 그 못의 중심으로서 가장 습한 곳에 성립하고 청비녀골풀군락-진땅고추풀군락-물고추나물군락 및 수궁초군락이 그곳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동심원 구조로 성립해 있다. 참느릅나무군락은 상대적으로 더 건조한 한시적 못에 성립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한시적 못에 대해 처음으로 이루어진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혀진 대부분의 식생유형은 습지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다른 새로운 유형으로서 그 가치가 있다.

월성원자력발전소 온배수가 해조류 종조성 및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rmal Effluents from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on Macroalgal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 최한길
    • ALGAE
    • /
    • 제23권2호
    • /
    • pp.151-162
    • /
    • 2008
  •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seasonally examined at three sites in the vicinity of the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in Korea from February to November 2006. A total of 126 seaweeds including 25 green, 31 brown, 70 red algae, and 1 marine plant were identified. The greatest number of species occurred at Jeonchonri (101 species) followed by intake (88 species) and discharge (29 species) during the study period. Of 126 seaweeds, 76 annuals and 13 warm tolerance species were recorded. Dominant species based on important value (IV > 10) were Ulva pertusa and Enteromorpha linza at intake, U. pertusa and Padina arborescens at discharge, and Sargassum horneri and Corallina pilulifera at Jeonchonri shore. Annual average biomass exhibited a wide range of variations, from 40.67g m-2 in dry weight at discharge to 133.69g m-2 at Jeonchonri. Among six functional groups, dominant group was coarsely-branched form at intake and Jeonchonri, but it was different at discharge site as filamentous form. Seaweed community structures of discharge site were distinguishable in decreasing species richness, biomass, species diversity index (H’), richness index (R), and evenness index (J’). Also, the ratios of green algae, warm tolerance species, annual algae, filamentous form and dominance index (DI) remarkably increased. Such phenomenons of discharge site are usually found under environmentally stressful conditions such as high disturbance. Thus, I can conclude that the heated effluents of nuclear power plant act as environmental stress influencing seaweed community structures and it can be detected with various community indices.

설악산국립공원 자양천지역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Chayang-chon Area in Soraksan National Park)

  • 이경재;조현서;김지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33-449
    • /
    • 1998
  • 설악산국립공원 장수대에서 한계령에 이르는 자양천지역의 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62개 조사구(1개 조사구당 100m$^2$)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62개 조사구는 DCA 분석을 통하여 6개 군집(소나무-황철나무군집, 소나무군집, 소나무-낙엽활엽수군집,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까치박달군집, 까치박달-낙엽활엽수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까치박달군집, 가치박달-낙엽활엾군집은 해발고 755m 이상에 분포하였고, 나머지 군집은 그 아래에 위치하였다. 해발고 755m 이상의 군집은 신갈나무에서 까치박달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거나. 까치박달과 낙엽활엽수가 서로 경쟁하고 있었다. 해발고 500~560m 지역은 소나무군집이었으나, 장기적으로 낙엽활엽수군집으로 촌이가 진행될 것이다.

  • PDF

조계산 털조장나무군낙의 구조와 동태 (Structure and Dynamics of Lindera sericea Community in Mt. Chogye, Korea)

  • Kim, J. H.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1호
    • /
    • pp.15-25
    • /
    • 1997
  • The deciduous shrubs, Lindera sericea belonging to family Lauracea are distributed in Mt. Chogye and Mudeung locally. To estimate the community structure of this shrub,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20 sites in Mt. Chogye were investigated. L. sericea community distributed at the hum양 zone of altitude 305-480 m in ES and NE slope of $15~30^{\circ}$.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this communities consisted of 17-32 species varied with sites. Sasa borealis, Sapium japonicum, and Quercus serrata were the constant species over 90%.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as Sasa borealis-Lindera sericea community, and the Sasa borealis-Meliosma oldhamii, and Sasa borealis-Callicarpa japonica were as subunit community. Acidity, organic matter content, inorganic phophate, potassium, calcium, magnesium,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conductivity were determined as environmental factors. Diameter of stem at ground surface and stem, distribution area and growth property of this plant were investigated, and this plant was presumed to be a relic endemic species.

  • PDF

조력발전소에서의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제도 효용성 제고방안 고찰 (A Study on the Way to Improve Beneficial Effects of the Community Assistant Program for Tidal Power Plants in Korea)

  • 권오정;오명학;이광수;박진순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0-223
    • /
    • 2009
  • Tidal power plants such as Shihwa, Garorim and so on are under construction or planned to construct in Korea. However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inappropriate community assistant program for tidal power plant is applied because tidal energy is imposed on a new and renewable energy criterion in Korea. Therefore in this paper, the optimum funding and region boundaries of community assistant program for tidal power plants are derived in order to improve beneficial effects of the community assistant program for tidal power plants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