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e distribution of vegetat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도시하천 둔치내 식생의 평면적 분포에 따른 홍수위 변화의 실험적 연구 (A Physical Model Test of Flood Level Changes by the Vegetation on the Floodplain of Urban River)

  • 조홍제;최현근;이태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203-212
    • /
    • 2002
  • 도시하천 둔치내에 대규모로 자생하고 있는 식생으로 인한 흥수위 변화를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연구대상지역으로는 둔치내에 대나무군락이 밀생하고 있는 태화강을 선정하였다. 모형실험은 9.0km 하천구간을 수평축척 1/300, 연직축척 1/72으로 제작한 왜곡모형을 이용하였다. 현재 밀생하고 있는 대나무군락을 3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대나무군락의 평면적 위치와 대나무군락이 횡단면에서 차지하는 비율에 따른 홍수위 상승효과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대나무군락에 의한 수위상승효과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으나 횡단면에서 차지하는 비율에 비해서는 다소 작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도시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을 고려하며 둔치에 적절한 식생을 하는 경우 친수 공간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지이용패턴에 따른 하천수질과 식생분포 (The Quality of Water and Distribution of Vegetation According to Land Use Pattern)

  • 오영주;강병화;김병우;김성필;한민수;김진호;나영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4-39
    • /
    • 2006
  • 남한강 수계의 항금천과 사탄천, 만경강 수계의 익산천, 전주천, 고산천과 정읍천의 수계와 유역을 대상으로 수질, 토지이용현황, 식생을 조사한 결과 항금천, 사탄천과 고산천은 산림지역과 농경지로 구성되고 익산천은 대부분 농경지이며 축산단지가 형성되어 있고 전주천은 도시지역을 많은 범위에서 차지한다. 정읍천은 공업지역과 도시지역이 함께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천의 수질은 BOD, T-N, T-P는 익산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COD는 전주천에서 높게 조사되었다. 산림지와 농경지가 대부분인 항금천, 사탄천과 고산천은 수질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천 식물의 종다양성은 상류보다 하류지역이 익산천을 제외하고 낮게 조사되었다. 생활형의 비교에서는 상류에서는 다년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하류에는 일년생이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었다. 하천 수질과 토지이용 그리고 식물의 생활형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하천의 농경지와 주거지 같은 인간의 영향이 있는 곳의 생태계의 교란은 하천의 수질과 식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Nutrient Intake and Utilization by Range Managed Sheep in Critical Physiological Stages Maintained on Grazing with Concentrate Supplementation in a Hot Semi-Arid Environment

  • Karim, S.A.;Santra, A.;Sharma, V.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9호
    • /
    • pp.1228-1234
    • /
    • 2000
  • The reported study was conducted on range managed Malpura ewes that were non-breeding empty, were at an advanced stage of pregnancy, and were in early lactation, under a protocol of free grazing with concentrate supplementation at 1.00, 1.25 and 1.50% of their body weight to assess their plane of nutrition and nutrient intake. The biomass yield of pasture plots was 1689, 1820 and 2912 kg/ha in pregnancy, lactation and empty phases, respectively. In addition to natural shrubs and forbs, Cenchrus ciliaris (36.4%) and dead litter (31.6%) were the major component of pasture vegetation during pregnancy. The dead litter disappeared during the lactation and empty phase with a concomitant increase in distribution of Cenchrus ciliaris to 73.0 and 87.2% respectively. The daily dry matter consumption from supplemental concentrate and free grazing was 70.1, 57.3 and 63.5 g/kg $W^{0.75}/d$ with concentrate to roughage ratio of 40:60, 47:53 and 33:67 in pregnancy, lactation and empty phases respectively. Digestibility of DM and OM were similar in the three phases while CP digestibility was higher (p<0.0l) during lactation than other two phases. Digestibility of NDF, ADF and cellulose were higher (p<0.0l) in empty than pregnancy and lactation, while hemicellulose digestibility was similar in lactation and empty and lower in pregnancy phase. The ewes in ~hases of pregnancy, lactation and empty consumed 7.1, 7.7 and 6.1 g DCP and 197.2, 214.6 and 232.5 kcal DE/kg $W^{0.75}/d$ respectively. It is concluded that ewes maintained on semi-arid Cenchrus dominated pasture with concentrate supplementation during pregnancy, lactation and empty phases consumed 45.2, 45.1 and 35.2 g DCP/Mcal ME respectively.

서낙동강 유역 하천의 식생 분포특성과 영양염류 정화 수생식물 탐색 (Screening of Nutrient Removal Hydrophyte and Distribution Properties of Vegetation in Tributaries of the West Nakdong River)

  • 김춘송;고지연;이재생;황재복;박성태;강항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7-156
    • /
    • 2006
  • 본 연구는 서낙동강의 수질정화를 위하여 영양염류 고흡수식물을 선발하고자 서낙동강 유역 하천에 자생하고 있는 식물의 분포특성과 자연 상태에서의 건물생산능력 및 체내 영양염류함량을 분석하였다. 서낙동강 유역 12개 하천의 물속과 물가 2 m 이내 식물을 조사한 결과 27과 61속 76종 3변종의 총 79종이 자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주요 우점식생은 고마리, 줄, 갈대, 갈풀, 달뿌리풀, 털물참새피 이었고, 건물생산능력은 줄, 갈대, 달뿌리풀, 물피, 갈풀이 높았다. 지천의 상류에서는 주로 고마리와 달뿌리풀이 우점종이었으며, 하류에서는 대형수생식물인 갈대와 줄이 우점하였다. 수생식물의 초종은 상류에 비하여 하류로 갈수록 단순해지는 경향이었으나 biomass량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하천별 수생식물의 자생 단위면적당 체내 총질소 및 총인함량은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고, 조만강과 평강천, 불암배수로, 호계천에서 높은 특징을 보였다. 79종의 자생식물 중에서 biomass가 큰 57종의 수생식물을 영양염류 함량별로 분류한 결과, 단위무게당 영양염류(총질소, 인산)의 함량이 높은 식물군은 검정말이나 말즘과 같은 침수식물이었던 반면, 자연식생의 영양염류 흡수능을 의미하는 단위면적당 영양염류의 체내함량이 높았던 식물군은 줄이나 갈대와 같은 정수식물 이었으며, 털물 참새피는 두 분류 모두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