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cebo effect

검색결과 529건 처리시간 0.025초

인삼이 흰쥐의 조건회피반응 습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on the acquisition of conditioned avoidance response in rats)

  • 홍사악;박찬웅;장현갑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3-67
    • /
    • 1976
  • 본 연구는 인삼 extract가 동물의 조건회피반응에 양호한 영향을 미친다는 petkov 및 홍사악등(洪思岳等)의 이전 연구 결과를 재확인하기 위해 인삼 extract 대신 화학적으로 더욱 정 선된 saponin으로 바꾸고 또 인삼 투여량도 다양하게 했을 때 그 결과가 어떻게 되는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60마리의 흰쥐 숫컷을 피험동물로 삼아 매일 실험 25분전에 인삼을 복강으로 투여하고 왕복회피형 shuttle box에서 하루 30시행씩 조건반응을 6일간 계속하였다. 총 180시행중 전기충격을 받지않고 성공적으로 회피한 조건반응수(CR)를 성적의 지표로 삼아 투여량에 따른 각 무리간의 CR수를 식염수 통제군의 CR수와 비교하였다. 모든 인삼 saponin을 투여한 집단들은 식염수 통제집단에 비해 조건회피반응 수가 많은 경향을 보여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조건회피반응 중 동물들이 나타낸 배변수는 두 대량 인삼군 (50mg 및 100mg/kg)에서 통제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적었다. 이 결과는 인삼이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확실한 증거를 제시치 못하는 것이나 대량의 인삼이 배변수를 줄이는 것으로 보아 대량의 인삼은 중추신경 안정작용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게 한다.

  • PDF

리보오스 보충이 최대강도 운동 후 혈중 피로물질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Ribose Supplementation on the Production of Blood Fatigue Factors after Maximal Intensity Exercise)

  • 이율효;신기옥;김근수;김영일;우진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29-73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투여그룹을 비교하여 ergogenic aid로서 D-ribose의 효과를 운동영양학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고, 이를 위하여 2,000 m 조정운동 전, 운동종료 직후, 그리고 운동 종료 후 회복기 30분의 변화를 연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투여그룹에 따른 2,000 m 조정운동 수행력의 차이는 없었으며 둘째, 투여그룹에 따른 젖산과 암모니아 수치의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회복 30분에서 무기인산은 PS에 비해서 RS투여그룹의 수치가 더 낮게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회복 30분에서 hypoxanthine의 축적은 PS투여그룹에 비해 RS투여그룹의 수치가 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7-8분 정도의 고강도 운동 시 운동기록의 단축에 D-ribose 구강투여의 효과는 없었지만, 휴식 기 피로회복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털부처꽃과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의 한국 성인 체지방량 감소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전성에 관한 인체적용시험 (Eficacy and Sfety Human Study of the Ethanol Extracts from Lythrum Salicaria L. and Aceriphyllum Rossii for Reducing Body Fat Percentage of Korean Adult)

  • 박원형;선승호;차윤엽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32-841
    • /
    • 2013
  • This research, as a basic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health food, is aimed at assessing the body fat reduction effect and for application to human body for such reduction in actual clinical settings by preliminary extraction of 2 types of wild edible greens, Lythrum salicaria L. and Aceriphyllum rossii. Subjects over the age of 19 and less than 60 years old with BMI value range of $23.0kg/m^2{\sim}29.9kg/m^2$ were recruited through screening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with 25 subjects, through randomized allocation. With both patients and evaluators wearing blindfold, the experimental group was orally administered with 4 capsules of 500mg of composite preparation containing the extracts of Lythrum salicaria L. and Aceriphyllum rossii 3 times a day for a period of 8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orally administered with 4 capsules of 500mg of placebo (fake food) with the same appearance as the preparation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3 times a day for a period of 8 weeks. After having carried out evaluation on physical examinations (body weight, BMI and body fat ratio, etc.), laboratory tests (general blood test, biochemical test of blood and urine test), lipid test, the changes were analyze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between the 2 groups and within the groups in BMI and body fat ratio, which are the primary effectiveness evaluation at each ti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in serum lipid and WHR, obesity related KOQOL, KEAT-26 which are the secondary effectiveness evaluations. There was no change between the 2 groups and within the groups in vital sign, CBC, BC and urin t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Lythrum salicaria L. and Aceriphyllum rossii ext. showed no significant reduction in BMI, body fat ratio and serum lipid. Additional confirmative clinical application test is needed in the future.

Ca과 Vitamin D 보충이 폐경 이후 여성의 뼈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 and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Bone Metabolism in Postmenopausal Women)

  • 홍희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7권10호
    • /
    • pp.1025-1036
    • /
    • 199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 and/or vitamin D supplementation for 53 weeks on bone metabolism in postmenopausal women. The subjects were healthy 18 women aged from 59 to 69 years ol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placebo, Ca(1000mg/day) supplementation and Ca(1000mg/day) with vitamin D(12.5$\mu\textrm{g}$/day) supplementation.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s except for metabolic studies, the subjects ate their usual diets and the use of drugs as well as excessive exercise was prohibited. Metabolic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1st week and in the 53rd week of the experimental periods. The subjects ate experimental diets which consisted of 1787.3kcal, 69.6g of protein, 561.5mg of Ca and 1078.6mg of P daily during both of the metabolic study period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Bone density of the second lumbar spine and trochanter measured after treatment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ntrol group as compared with pre-experimental level(p<0.05). On the contrary, bone density of femoral neck and Ward's triangle in Ca group and the second lumbar spine in Ca.Vit D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eatment. 2) Serum PTH and calcitonin level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before and after treatment. But serum PTH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groups after treatment(P<0.05). 3) Serum Ca and P level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before and after treatment. But serum Ca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groups after treatment (P<0.05) and serum P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in Ca.Vit D group after treatment(P<0.05). 4) Mean 24-hours fecal Ca excretion of Ca group was the highest in the 1st week of treatment(P<0.01), and that of control group was the lowest in the 53rd week of treatment(P<0.01). Fecal Ca excre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ntrol and Ca.Vit D group in the 53rd week of treatment(P<0.05). Urinary Ca excre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he 1st and 53rd week of treatment, but that of Ca.Vit D group was the highest the 1st week of treatment(P<0.01). In the 53rd week of treatment Ca and Ca.Vit D group showed positive Ca balance, but control group showed negative Ca balance.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it will be difficult to prevent degenerative bone loss without Ca and/or vitamin D supplementation in postmenopausal women eating Korean usual diets.

  • PDF

Butylated Hydroxytoluene첨가 식이 및 2-Acetylaminofluorene 투여가 식이지방을 달리한 쥐간의 Microsomal Mixed Function Oxidase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utylated Hydroxytoluene and 2-Acetylaminofluorene Administration and Microsomal Mixed Function Oxidase System in Young Rats fed different Fats)

  • 윤은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1호
    • /
    • pp.11-18
    • /
    • 1990
  • Sprague-dawley 숫쥐를 식이지방을 달리하여(I:Soybean oil p/s 4.0, II:beef tallow p/s 0.08) 이유후 8주동안 사육하였다. 이때 I,II군은 각각 기초식이군, 기초식이군에 0.3% butylated hydroxytoluene(BHT)를 첨가신킨 군, 생후 5~7주 사이에 4번의 2-Acetylaminofluorene(2-AAF)를 투여한 군 2-AAF를 투여하고 BHT도 먹인 군으로 나누었다. BHT는 이유 후부터 식이에 섞어 먹였으며 2-AAF를 투여하지 않은 군읜 2-AAF 주사에 의해 얻는 stress와 같은 효과를 주기위해 placebo로 polyethylene glycol 300을 투여하였다. Mixed function oxidase(MFO)계의 효소인 cytochrome p-450, cytochrome b$_5$및 cytochrome p-450 reductase와 과산화지질 등을 측정하였다. 성장기에 2-AAF의 투여는 성장지연을 초래하였으며 지질과산화물은 지방의종류, 2-AAF,BHT 등에 의해 큰 차는 없었다. Cytochrome p-450은 2-AAF에 의해 I-BHT-AAF와 II-AAF군에서 증가되었고 BHT에 의해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불포화지방을 먹인경우 cytochrome p-450과 cytochrome p-450 reductase가 2-AAF에 의해 증가되기보다는 오히려 감소하거나 I,II군에 비해 별 차이가 없었는데 2-AAF의 농도와 식이의 불포화도가 높아 세포막이 손상되었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Cytochrome $b_5$는 각군 사이에 별 차가 없었다. Cytochrome p-450과 과산화지질(r=0.2475, p<0.05), cytochrome p-450 reductase와 cytochrome $b_5$ (r=0.2475, P<0.05)가 각각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2-AAF를 대사시키는 MFO계는 식이지방의 종류 및 BHT의 존재에 따라 영향을 받고, 특히 불포화지방식이인 경우 2-AAF를 대사시킬 수 있는 cytochrome p-450 유도 및 합성능력이 매우 저조함을 알 수 있으며 2-AAF는 어린 쥐의 성장을 지연시켰다.

  • PDF

녹두추출물의 자극완화 효과에 관한 임상 연구 (Clinical Studies on the Anti-Irritation Effects of Mung Bean (Phaseolus aureus) Extract in Cosmetics)

  • 안기웅;강태원;정지헌;조병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3-28
    • /
    • 2004
  • 본 연구는 화장품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자극원에 대한 녹두추출물의 자극완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임상연구에 관한 것이다. 녹두는 해독 작용이 탁월하여 예로부터 민간요법이나 화장료의 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녹두의 생물학적인 효능 및 구성 성분을 구체적으로 밝혀낸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우리는 기존의 연구를 통하여 녹두의 에탄을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이러한 효능을 제공하는 유효물질인 비텍신(vitexin)과 이소비텍신(isovitexin)을 분리해낸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녹두추출물의 항염증 기작을 살펴보고자 흰쥐 복강 비만세포로부터의 항원 유도성 히스타민 유리 억제능 및 5-lipoxygenase 활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녹두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히스타민 유리를 억제시켰지만 5-lipoxygenase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현재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극 유발 물질인 lactic acid, retinol, 방부제 등에 대한 녹두추출물의 자극완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임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체 첩포시험 결과, 5.0% lactic acid, 4000 IU retinol, 1.0% Preservative mixture가 들어간 제형에 2.0% 녹두추출눌을 첨가할 경우 각각 60%, 30%, 50% 정도의 우수한 자극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주관적인 자극을 평가하는 피부 자극감시험 결과도 2.0% 녹두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에서 약 50∼30%의 자극완화 효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3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4주간 실시한 double-blind usage test 결과 역시 녹두추출물을 화장품에 사용하였을 경우 우수한 항자극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새로운 주름개선 소재: 3,9-diferuloyl-6-oxopterocarpen (Tensolin-F$^\circledR$)의 개발과 화장품 응용 (3,9-Diferuloyl-6-oxopterocarpen (Tensolin-F$^\circledR$): a Novel Anti-wrinkle Agent for Cosmeceuticals)

  • 이범천;이정재;박성민;김철배;심관섭;김진화;이근수;이천일;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13
    • /
    • 2004
  • 3,9-Dihydro-6-oxopterocarpen과 ferulic acid의 에스테르 반응을 통해 페룰산 유도체인 3,9-diferuloyl-6-oxopterocarpen (Tensolin-$F_{(R)}$ )를 합성하여 이를 함유한 주름개선 화장품을 개발하였다. Tensolin-$F_{(R)}$ 는 농도 의존적으로 DPPH와 superoxide radical에 대한 소거효과를 나타냈으며, 각각 0.8 mM에서 78%, 0.053 mM에서 92.9%로 DPPH와 superoxide radical을 소거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MMP-1 효소 활성 저해 효과도 0.16 mM에서 74%를 저해하였다. HDF에서 UVA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MMP-1의 발현 저해 효과는 Tensolin-$F_{(R)}$ 0.8 uM에서 85.5%로 단백질 수준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Tensolin-$F_{(R)}$ 를 함유한 제품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 평가 결과, Tensolin-$F_{(R)}$ 를 함유한 화장품을 약 8주 간 도포한 경우 유의한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Tensolin-$F_{(R)}$ 는 항산화 효과와 MMP-1활성 저해 효과 및 UVA에 의한 MMP-1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새로운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미숙아 빈혈에 대한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의 효과 : 예비연구 (Effect of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in the Anemia of Prematurity : a Pilot Study)

  • 이경아;신손문;박용훈;하정옥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115-126
    • /
    • 1994
  • 1991년 1월부터 1993년 2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출생하여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치료 받았던 12명의 미숙아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대조군과 rHuEPO투여군으로 나누어 체중 kg당 100unit의 rHuEPO을 1주간 3회씩 4주동안 피하주사하고 rHuEPO투여 시작과 같이 체중 kg당 3mg의 elemental iron을 매일 경구투여 하였고 출생 후 수유가 가능할 때 부터 25unit씩의 비타민 E를 매일 경구투여 하였다. 망상적혈구, 혈색소치, 백혈구수, 혈소판수, 혈청 철, ferritin, 총 철결합능, erythropoietin농도, 활력징후, 체중, 간기능, 신장기능 및 피하주사부 위의 국소 부작용을 비교해 본 결과 치료 시작전 erythropoietin의 농도는 대조군과 rHuEPO투여군 사이에 차이는 없었으며 모두 정상 범위에 속했고 rHuEPO투여군에서는 치료 1주에서 3주사이에 급격한 망상적혈구의 경향이 관찰되었고 전반적으로 혈색소치, 백혈구수, 혈소판수, 혈청 철, ferritin, TIBC등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체중증가 및 활력증상, 간기능, 신장기능에서도 대조군과 rHuEPO투여군 사이에서 차이가 없었고 rHuEPO 투여 기간 동안 계속 정상적으로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우리의 연구에서는 rHuEPO치료로 뚜렷한 혈색소치 및 헤마토크리의 증가를 볼 수 없었지만 망상적혈구가 치료 초기에 증가되는 경향이 관찰되었고 치료로 인한 특이할 만한 부작용이 없었으므로 첫째, 치료 기간 중의 예견할 수 없이 발생하는 패혈증, 무시할 수 없는 채혈량과 spontaneous endogenous erythropoietin생산이 rHuEPO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둘째. rHuEPO의 가장 높은 효과를 얻기 위한 보다 적절한 투여용량, 기간 및 rHuEPO의 투여를 출생 후부터 바로 예방 목적으로 할 것인지 또는 출생 몇 주 후부터 rescue therapy로 할 것인지 투여 시작 시기, 셋째, 용량의 증가 및 감소에 동반되는 부작용의 정도등을 고려해서 앞으로 더 많은 미숙아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한다면 rHuEPO을 이용해 더욱 더 활발하고 효과적으로 미숙아 빈혈을 치료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이압요법이 암환자의 불면증에 미치는 효능 : 무작위배정, 단일맹검, 위약대조군 연구 (Effect of Auricular Acupress Therapy on Insomnia of Cancer Patients : Randomized, Single Blinded, Placebo Controlled Trial)

  • 정인숙;김정선;유화승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3-100
    • /
    • 2010
  • Background: Auricular acupressure is one of the traditional health care treatments in oriental medicine. Approximately, 30~40% of the cancer patients have said to be suffering from insomnia and half of them having chronic and severe insomnia at the same time. Insomnia caused cancer patients feel more pain, fatigue, depression and anxiety and it sometimes let the power to have the best of cancer pull down. Objective: To investigate how effective the auricular acupressure treatment to cancer patients suffering from insomnia. Methods: We recruited participants from East-West Cancer Center of Daejeon University. Finally, of the people whose age range from 20 to 75, 12 patients who got less than 40 points from the score of Oh's sleeping score (OSS) were recruited. Single-blind, randomized pilot study was performed.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auricular acupressure treatment (AAT) on active points and the control group had received sham acupressure treatment (SAT) for five times. Sleep parameters were checked by using OSS and numeric rating scale (NRS). We checked the scale everytime, both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 analyzed the data statistically by using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test. (p<0.05) Results: Twelve cancer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pilot stud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 group. Only 7 of them had completed the whole treatment process, 4 patients of AAT group and 3 participants of SAT. The OSS of AAT group had increased from $34.0{\pm}4.3$ to $39.5{\pm}3.1$ and that of SAT group had increased from $38.3{\pm}3.5$ to $40.0{\pm}0.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The NRS of AAT group had increased from $6.3{\pm}2.9$, $04.8{\pm}2.1$ and that of SAT group had increased from $7.0{\pm}1.0$ to $5.0{\pm}2.6$.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m. Conclusion: Although both group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most of the experimental participants showed increasing OSS and NRS after treatments. Significant participants' number will be needed in the next study.

Effects of Weekly Administration of Implant-type Recombinant Porcine Somatotropin on the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Finishing Pigs

  • Kim, Y.H.;Jung, H.J.;Park, J.C.;Kwon, O.S.;Chung, C.S.;Ko, Y.D.;Moon, H.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4호
    • /
    • pp.557-561
    • /
    • 2005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eekly administration of implant type recombinant porcine somatotropin (rpST) on the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A total of 120 crossbred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pigs were employed for 11 weeks in a growth trial in experiment. A rpST designed to implant every 7 d was used. Forty pigs, each weighing 75 kg, were allocated into three rpST treatments; control (CONT), implant of rpST from 75 kg (TRT1) or 90 kg (TRT2) of body weight. The CONT pig and pigs in TRT2 from 75 kg to 90 kg were treated without rpST but with placebo. In rpST-treated pigs, each 100 mg and 125 mg of the equivalent rpST was implanted from live weight of 75 kg to 90 kg and from 90 kg to market weight, respectively. Half of the pigs from each treatment were marketed at live weight of 110 kg and the rest at 130 kg. All pigs were allowed ad libitum access to a commercial feed containing 0.94% and 0.88% of lysine from 75 to 110 kg, 110 to 130 kg of body weights, respectively. rpST had no effect on daily gain, while feed efficiency was improved by 7 to 13% (p<0.05) in the rpST-treated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 Compared with the CONT, backfat thickness was decreased by 12% (p<0.05) in TRT1 at 110 kg of market weight, and by 23 to 32% (p<0.05) in the rpST-treated groups at 130 kg of market weight, respectively. Lean muscle rate tended to be higher in TRT1 at both 110 kg and 130 kg of market weight, and carcass fat percentage in the rpST-treated groups was decreased by 33 to 46% (p<0.05) compared with the C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