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ce

검색결과 14,977건 처리시간 0.034초

pLog: User Generated Media for Personal LBS

  • Kaji, Hideki;Arikawa, Masatoshi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54-62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 framework for personal location based services with personal life content, for example diaries, schedules and to-do lists. A lot of Internet users are recording their personal experiences and knowledge as text and other digital media on the network. Our proposed tool provides users with an environment to store personal records with related place attributes, and to retrieve these personal records at the right place. There are two applications on this tool, a place-enhanced blog and a LBS client on a mobile phone. The place enhanced blog provides users with blog interfaces for inputting place information. The place rem inder is a browser for spatial data on the place enhanced blog. Users can generate place information by writing personal records on their blog. Furthermore, using the LBS client, other users can retrieve personal records at the appropriate spots.

  • PDF

뉴커뮤니티에서 장소의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ntity of Place in a New Community)

  • 조극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67-7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dentity of place expressed by people living in a new community. First of all,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place and then grasps what the identity of place means through the documentary studies, and experiential levels of the identity of place are examined as well. Through the field survey on a new community as a case based on interviews and cognitive maps, the identity of place is analyzed in terms of physical features, activities and meanings with relation to levels of visibility, cognition and value, and besides, attractive places and unattractive places are examined for enhancing the identity of place in a new community.

건축에서 장소의 이론과 구성체계 요소의 분석 연구 (An Analytic Study on the Theory of Place and System of Compositional Elements in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 이일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호
    • /
    • pp.78-84
    • /
    • 1994
  • The theory of Place is based on the relations of human being, environment and architecture in the view of the existentialism and phenomenology. A place has two respects, the one is Natural place as landscape and the other is Man-made place as city, public building , private house. These properties of place are appeared through axis , directions, boundaries, centers , enclosures that are basic elements in architecture . Therefore these elements embody sense of place as orientation , identification , identity. imageability, stabilitas loci, heirarchy. And these sensually compositional elements of poace concretize district, landmark, node, path, edge that ceate a setting into work and place in architecture & interior design.

  • PDF

한국어 연파찰음의 조음위치에 관한 연구 (On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the Korean Lenis Affricate)

  • 백운일
    • 음성과학
    • /
    • 제10권2호
    • /
    • pp.281-285
    • /
    • 2003
  • An EPG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Korean lenis affricate /c/. Results indicated that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the stop portion /t/ of /c/ was shifted to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the fricative portion /s/ of /c/. Also, we found that the shifting in the place of articulation occurred because of the gap of the place of articulation between /t/ and /s/ (two portions of /c/). From this study, we proposed that the /e/ is articulated at the same place of articulation of /s/ both for its stop portion and its fricative portion. Also, we observed that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t/ is articulated farther front than that of /s/ and /c/.

  • PDF

Place Perception in Korean Consonants

  • Oh, Mi-Ra
    • 음성과학
    • /
    • 제9권4호
    • /
    • pp.131-142
    • /
    • 2002
  • Place assimilation in Korean has been argued to reflect the consonantal strength hierarchy in which velar is stronger than labial which is in turn stronger than coronal. The strength relationship has been manifested in two ways in literature. One is through phonological representation as shown in Iverson and Lee (1994). The other is through perceptual salience ranking as suggested by Jun (1995).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ual salience of placed consonants through an identification experiment. The experiment conducted in this study reveals four facts. First, place identification of a prevocalic consonant is higher than that of a postvocalic one. Second, place identification of a stop in coda is more confusable than that of a nasal counterpart in Korean contrary to other previous studies. Third, velar is most confusable in place identification in contrast to Jun (1995) and Hume et al. (1999). Finally, place perception of consonants can vary depending on adjacent vocalic context.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ceptual salience is one of the possibly several factors affecting a phonological process.

  • PDF

동적 도시 환경에서 의미론적 시각적 장소 인식 (Semantic Visual Place Recognition in Dynamic Urban Environment)

  • 사바 아르샤드;김곤우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34-338
    • /
    • 2022
  • In visual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vSLAM), the correct recognition of a place benefits in relocalization and improved map accuracy. However, its performance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variation in light, viewpoints, seasons, and presence of dynamic objects. This research addresses the problem of feature occlusion caused by interference of dynamic objects leading to the poor performance of visual place recognition algorithm. To overcome the aforementioned problem, this research analyzes the role of scene semantics in correct detection of a place in challenging environments and presents a semantics aided visual place recognition method. Semantics being invariant to viewpoint changes and dynamic environment can improve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place matching method. The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on the two benchmark datasets with dynamic environment and seasonal chang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improved performance of the visual place recognition method for vSLAM.

인문지리학자의 '장소'와 '경험'에 대한도가적 접근 - 제프 말파스와 노장사상을 중심으로 - (The Taoist Approach to 'Place' and 'Experience' as Seen by Anthropogeographers: Focusing on Jeff Malpas and Lao-Zhuang Thought)

  • 김덕삼
    • 대순사상논총
    • /
    • 제33집
    • /
    • pp.351-379
    • /
    • 2019
  • 장소는 공간과 구분된다. 인문지리학에서 장소는 공간과 달리 사람과 사람의 경험이 강조된다. 본고에서는 인문지리학자들과 방향을 같이하면서 지리학이 아닌 철학에서 출발한 제프 말파스(Jeff Malpas)의 관점과 노장(老莊)의 관점에 기초하여, 장소와 경험에 대한 말파스와 노장의 견해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사전적 의미를 기초로 장소와 공간을 구분하고, 이를 말파스와 노장적 견해로 정리하였다. 이어서 '경험'과 '장소 경험'이라는 측면에서 장소에 대한 논의를 전개했다. 경험은 장소를 장소이게 하는 것으로 말파스가 강조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장소의 장소됨을 확인하고 장소의 특징을 규명하면서 노자(老子)와 장자(莊子)에서 언급된 견해와 말파스의 견해를 비교하며, 장소와 장소 경험의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장소가 왜 장소여야 하는지, 장소에서 경험은 어떤 의미를 갖는지, 이러한 것에 대하여 노장사상에는 어떤 관점과 입장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장소연구에서, 장소는 동서양을 떠나 모두에게 의미 있는 주제이다. 이러한 작업을 토대로 동양적 장소론이 보다 정교하게 대두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삼국유사" 기이편 '수로부인'조에 근거한 헌화가(獻花歌)와 해가(海歌) 배경지 추정에 관한 연구 (The Estimation on the Background Place of Heonhwa-ga(獻花歌) and Hae-ga(海歌) Based on the Suro-buin(水路夫人) Item, Giyi(紀異) part in Samgukyusa(三國遺事))

  • 전영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2-100
    • /
    • 2014
  • "삼국유사" '수로부인'에 나오는 '헌화가'의 배경 설화를 토대로 헌화가와 해가의 배경지를 다양한 관점에서 추정해보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헌화가 배경지는 경북 영덕군 남정면 부경리 지경천 골곡포(骨谷浦) 부근 암석단애지 일대로 판단된다. 2) 해가 배경지(임해정 옛터)는 헌화가 배경지인 골곡포에서 이틀거리(약 60km)에 위치하는 울진의 월송정 일대로 판 단된다. 3) 일부 지자체에서 주장하는 헌화가 배경지와 해가 배경지는 지자체들의 장소 마케팅(place marketing) 차원에서 설정된 경향이 강해 설득력이 없다.

  • PDF

유기장업 관리체제 : 게임법제의 태동기 연구 (Regulation System of Amusement Place Business : The Quickening Period of the Game Legislation)

  • 황승흠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3-54
    • /
    • 2009
  • 이 논문은 한국 게임법제의 변천과정을 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 논문에서 논의 되고 있는 유기장업 관리체제는 1973년 유기장법 시행규칙에서 시작하여 1999년에 까지 이르는 시기로 현행 게임법제의 태동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의 법적 규율은 유기장법, 유기장업법, 공중위생법을 거치면서 이루어졌다. 유기장업은 현행 법제의 체육시설업, 유원시설업, 게임제공업으로 분화되었는데, 유기장업 관리체제의 핵심은 현행 게임법제의 게임제공업이 이어받았다. 따라서 유기장업 관리체제 시기는 현행 게임법제의 근간이 형성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유기장업 관리체제의 두 핵심요소인 유기기구와 사행성의 분리 문제와 영업장소 규제의 문제는 현행 게임법제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문제이다.

  • PDF

동해 무릉계(武陵溪) 명승 탄생의 문화사적(文化史的) 배경 (The Cultural History of Mureung Valley, the Scenic Site designated as National Cultural Property)

  • 이상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1호
    • /
    • pp.22-43
    • /
    • 2019
  • 강원도 동해시에 소재한 무릉계는 역사 경관 학술적 가치가 뛰어난 곳으로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37호로 지정되었다. 별유천지(別有天地)라 불릴 만한 수려한 비경을 지녔을 뿐만 아니라 과거 많은 선현들의 유람이 있었고, 이들이 남긴 시문과 각자 등의 역사 유적이 풍부하게 남아 있다. 무릉계는 두타산(頭陀山) 무명의 한 골짜기였으나 1577년 삼척부사 김효원(金孝元, 1542~1590)의 유람을 통해 '무릉계'라는 이름을 얻었다. 이후 당대 명사들이 유람함으로써 명성을 얻게 된다. 지역민뿐만 아니라 외부 인사들도 애호하는 유람 명소였다. 무릉계는 사람들의 유람을 통해 선계 강학처의 의미가 부여된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한다. 그 명성은 수그러들지 않아 현재까지도 유람 명소로 각광받고 있다. 무릉계를 유람한 사람들은 그 과정이나 감흥을 시문으로 남겼다. 이러한 시문에는 무릉계가 품고 있는 심미적 이미지가 표현되었으므로, 시문을 통해 대중들에게 무릉계의 이미지가 형성되어가고 그 명성이 알려진다. 무릉계를 제재로 한 시문은 무릉계의 장소적 의미와 명성을 알릴 수 있는 전거가 되었다. 무릉계에 새겨진 수많은 각자는 무릉계의 명성을 현장에서 직접 보여주며, 사람들로 인해 그 공간이 어떻게 변모해가는지를 말해주고 있다. 시문이나 각자 등은 오늘날 무릉계의 역사 유적으로 남아 무릉계의 문화사적 의미와 그 명성을 더욱 각인시켜준다. 특히 각자를 통해 조선 후기 화가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이 무릉계를 유람한 것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무릉계는 일찍이 척주팔경의 하나로 지목되었고 무릉계만을 대상으로 한 별도의 무계팔경도 만들어진다. 지역에서 가장 아름다운 자연경관의 정수로 인정받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무릉구곡이 설정됨으로써 경관의 장소적 의미를 넘어 성리가 구현되는 도학의 장소로도 의미가 부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