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식재밀도에 따른 강송의 Biomass 생산 및 배분 특성 (Biomass Production of 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by Planting Density and Its Allocation Chracteristics)

  • 이돈구;권기철;김영환
    • 임산에너지
    • /
    • 제18권1호
    • /
    • pp.6-10
    • /
    • 1999
  • 식재밀도에 따른 강송(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의 biomass 생산 및 배분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 소재 서울대학교 칠보연습림내 12년생 강송 조림지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식재밀도가 1.0m×1.0m, 1.8m×1.8m, 3.0m×3.0m인 강송 조림지에서 각각 6본, 5본, 4본씩 표본목을 선정하여 부위별로 생중량을 측정하고 식재밀도에 따른 임분의 biomass 현존량 및 배분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ha당 biomass 현존량은 밀도 순으로 나타났다. (2) 식재밀도가 높을수록 가지와 침엽이 차지하는 biomass 현존량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3) 당년생 가지와 줄기의 경우 밀도가 낮을수록 수분함량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침엽과 전년생 가지의 경우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4) 식재밀도가 높을수록 최대광합성부위가 위쪽에 나타났다.

  • PDF

금강송의 기계적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Korean Red Pine (Geumgangsong, 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 김동우;황성욱;이원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58-67
    • /
    • 2014
  • 울진산 금강송의 재질특성 조사의 일환으로 기계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종압축강도는 $36.2N/mm^2$로 국산 소나무재와 잣나무재보다 다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수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종압축강도는 수에서 60 mm 떨어진 지점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휨강도는 $76.5N/mm^2$로 나타났으며, 국산 소나무재와 잣나무재보다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수로부터 60 mm 떨어진 지점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전단강도는 높은 비중을 나타내었던 수 부근에서 $10.4N/mm^2$로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80 mm 지점에서 $9.1N/mm^2$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표면경도는 횡단면이 $43.7N/mm^2$, 방사단면이 $12.0N/mm^2$, 접선단면이 $13.7N/mm^2$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슷한 비중을 나타낸 소나무의 표면경도 값과 유사하다. 금강송의 기계적 성질은 비슷한 비중을 가지는 소나무과 수종인 소나무 및 잣나무와 비슷하였다. 그리고 금강송의 기계적 성질은 평균연륜폭보다 비중에 의해 더욱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울진 금강송재의 재질: 수지구 및 방사조직의 출현형태 (Property of Uljin-Geumgangsong Wood (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Appearance Pattern of Resin Canal and Ray)

  • 김동우;황성욱;이원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78-87
    • /
    • 2014
  • 울진산 금강송재의 재질발현 수령의 판단기준에 대해 검토하기 위해,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 et Zucc.)와 울진금강송(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대표목의 물리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울진금강송의 기건밀도는 소나무재보다 약 20% 이상 높았다. 또한 심재율은 70% 이상이었다. 단위면적($1mm^2$)당 수직수지구의 분포수는 0.3개로서 울진금강송이 소나무보다 약 40% 높았다. 수직수지구의 평균 직경은 소나무 $67.8{\mu}m$, 울진금강송 $67.3{\sim}69.9{\mu}m$로서 수종 간 큰 차이는 없었으며, 연륜수가 증가함에 따라 직경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수평수지구의 분포수는 울진금강송-1이 소나무와 울진금강송-2 보다 약 55%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소나무와 울진금강송-2의 수지구 분포수는 연륜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울진금강송-1은 연륜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방사조직 분포수는 수종 간의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동일 수종 내 조재와 만재 사이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연륜이 증가함에 따라 소나무와 울진금강송 모두 방사조직의 분포수가 감소하였다. 방사조직의 세포고는 소나무가 비교적 높았으며, 조재와 만재 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결과, 울진금강송의 재질발현 기준 수령은 약 150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