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olenic acid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잣기름 성분분석 및 비만 예방효과 연구 (Analysis of Pine Nut Oil Composition and Its Effects on Obesity)

  • 김경곤;강윤환;김대중;김태우;최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30-63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성분분석을 통해 품질이 확인된 PNO의 항비만효과를 세포수준에서 확인하고 기능성소재로서의 연구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PNO는 기존에 알려진 바와 같이 linoleic acid, oleic acid, pinolenic acid, 및 palmitic acid가 분석되었으며 정량을 위한 표준물질인 undecanoic acid의 함량을 기준으로 확인한 결과 linoleic acid 43.4%, oleic acid 25.7%, pinolenic acid로 예측되는 11번 unknown peak 12.8%, palmitic acid 5.2% 및 다수의 미량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다. 세포독성 실험을 통해 0.2 mg/mL 농도 까지 독성이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도 PNO보다는 용매 DMSO에 의한 독성이 관찰되었다. PNO를 이용하여 항비만 효과에 대한 잠재적 기능 및 기전을 연구하기 위해 Oil Red O staining, $PPAR{\gamma}$ 및 aP2 mRNA 발현 확인 그리고 leptin의 분비량 측정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PNO는 MDI solution 처리를 통해 분화가 유도된 mature adipocyte에서 지방적(lipid droplet) 형성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PNO가 항비만 활성에 잠재적으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PPAR{\gamma}$와 aP2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 두 유전자가 유의한 수준으로 MDI control 대비 감소하는 반면 SREBP-1c, $C/EBP{\alpha}$, glucokinase,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및 perilipin에는 영향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data not shown). RT-PCR 결과는 PNO의 처리가 지방대사 및 축적을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조절 기전에 의해 억제할 수 있음을 제시하여 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확인한 PNO의 leptin 방출유도 실험을 통해 leptin이 PNO의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방출량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Leptin은 식욕억제 효과가 있는 호르몬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는 PNO가 기존에 알려진 cholecystokinin과 glucagon like peptide-1 (GLP-1)의 분비증가를 통해 식욕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leptin의 방출을 유도하여 추가적인 식욕억제작용을 유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PNO는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우수한 식물성유지이며 기능적으로 항비만 효능을 잠재적으로 가지는 우수한 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 및 소재의 개발을 위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Korean pine nut oil on hepatic iron, copper, and zinc status and expression of genes and proteins related to iron absorption in diet-induced obese mice

  • Shin, Sunhye;Lim, Yeseo;Chung, Jayong;Park, Soyoung;Han, Sung Nim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5호
    • /
    • pp.435-447
    • /
    • 2021
  • Purpose: Body adiposity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hepatic iron status, and Korean pine nut oil (PNO) has been reported to reduce adiposity. Therefore, we aimed to study the effects of PNO on adiposity, hepatic mineral status, and the expression of genes and proteins involved in iron absorption. Methods: Five-week-old male C57BL/6 mice were fed a control diet containing 10% kcal from PNO (PC) or soybean oil (SBO; SC), or a high-fat diet (HFD) containing 35% kcal from lard and 10% kcal from PNO (PHFD) or SBO (SHFD). Hepatic iron, copper, and zinc content; and expression of genes and proteins related to iron absorption were measured. Results: HFD-fed mice had a higher white fat mass (2-fold; p < 0.001), lower hepatic iron content (25% lower; p < 0.001), and lower hepatic Hamp (p = 0.028) and duodenal Dcytb mRNA levels (p = 0.037) compared to the control diet-fed mice. Hepatic iron statu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dy weight (r = -0.607, p < 0.001) and white fat mass (r = -0.745, p < 0.001). Although the PHFD group gained less body weight (18% less; p < 0.05) and white fat mass (18% less; p < 0.05) than the SHFD group, the hepatic iron status impaired by the HFD feeding did not improve. The expression of hepatic and duodenal ferroportin protein was not affected by the fat amount or the oil type. PNO-fed mice had significantly lower Slc11a2 (p = 0.022) and Slc40a1 expression (p = 0.027) compared to SBO-fed mice. However, the PC group had a higher Heph expression than the SC group (p < 0.05). The hepatic copper and zinc content did not differ between the four diet groups, but hepatic copper content adjusted by body weigh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D-fed mice compared to the control diet-fed mice. Conclusion: HFD-induced obesity decreased hepatic iron storage by affecting the regulation of genes related to iron absorption; however, the 18% less white fat mass in the PHFD group was not enough to improve the iron status compared to the SHFD group. The hepatic copper and zinc status was not altered by the fat amount or the oil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