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e needles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6초

A Comparison of Litterfall Dynamics in Three Coniferous Plantations of Identical Age under Similar Site Conditions

  • Jeong, Jae-Yeob;Kim, Choon-Sig;An, Hyun-Chul;Cho, Hyun-Seo;Choo, Gap-Chul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2호
    • /
    • pp.97-102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litterfall dynamics in three adjacent coniferous tree plantations (larch: Larix leptolepis; red pine: Pinus densiflora; rigitaeda pine: P. rigitaeda) planted in the same year (1963), and growing under similar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Sambong Exhibition Forests, Hamyang-gun, Gyeongsangnam-do. Litter was collected monthly between July 2006 and June 2008. Needle, broad leaf and total litter inputs followed a similar monthly pattern in the three coniferous plantations. The amounts of needles, flowers, and miscellaneous litte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larch than in the two pine plantations, while branch litt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arch than in the two pine plantations. Average total litterfall for two year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pine (5,475 kg $ha^{-1}\;yr^{-1}$ for red pine and 5,290 kg $ha^{-1}\;yr^{-1}$ for rigitaeda pine) plantations than for the larch (3,953 kg $ha^{-1}\;yr^{-1}$ plantation. Needle litter comprised about 73.1% of total litterfall for the rigitaeda pine, 70.8% for the red pine and 62.9% for the larch plantation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litterfall inputs can be affected by tree species.

Optimization of Mixing Ratio to Improve Antioxidant Activity of Aged Garlic with Pine Needl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Park, Jae-Hee;Shin, Eunji;Park, Eunju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2권3호
    • /
    • pp.241-245
    • /
    • 2017
  • Aged garlic has been reported to possess beneficial pharmac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stress and anti-fatigue properties, and to exert protective effects on the cardiovascular system and liver. Pine needles are widely used in folk medicine and as food additives owing to their pharmacological properties such as anti-ag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It has long been known that combining certain phytochemicals with other phenols or organic acids can produce synergistic effe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ptimal formula of aged garlic with added pine needle powder for improved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statistical technique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ged garlic mixed with pine needle powder were confirmed by measuring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An optimized antioxidant formula was identified that contained 5.08 g aged garlic and 1.97 g pine needle powd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ixture prepared using this optimal formul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dicted values according to an additive model. Hence,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addition of pine needle powder to aged garlic can improve its antioxidant activity. This study demonstrated an optimal mixing ratio to produce an aged garlic product with improved functionality through the addition of pine needle powder that could be successfully employed by the food industry to prepare functional foods.

솔잎의 항산화활성 및 솔잎분말을 첨가한 우리밀국수의 품질특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ine Needl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Noodle with Pine Needle Powder)

  • 김일훈;고유진;최인덕;김영기;류충호;심기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5호
    • /
    • pp.127-136
    • /
    • 2012
  • 본 연구는 기능성을 가진 우리밀 국수를 개발하기 위해 먼저 솔잎의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으며, 솔잎의 분말을 우리밀 밀가루 중량 100%를 기준하여 각각 0.5, 1.0 및 2.0% 첨가하여 제조한 국수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 환원력, 자동산화 억제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활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부탄올 분획물에서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 환원력, 자동산화 억제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솔잎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국수의 중량, 부피, 함수율 및 국물의 탁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색도는 솔잎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과 a값은 감소하였으며 b값은 증가하였다. 솔잎분말을 첨가하여 조리한 국수의 조직감은 우리밀 밀가루만 사용하여 제조한 대조구에 비하여 경도, 응집성, 탄력성, 검성 및 씹힘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솔잎 분말 1.0% 첨가구에서 색,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향과 조직감에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주요 솔잎 추출물의 돌연변이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Main Pine Needle Extracts on the Chemically Induced Mutagenicity)

  • 김은정;정성원;최근표;함승시;강하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50-455
    • /
    • 1998
  • 한국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곰솔, 리기다, 잣나무, 적송의 에탄올추출물과 각 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in vitro assay로서 spore rec-assay와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법으로 시료자체 변이원성 유무와 4가지 양성변이원 물질(MNNG, 4NQO, Trp-P-1 및 B(a)p)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고찰하였다. 곰솔, 리기다, 잣나무, 적송의 에탄올 추출물은 spore rec-assay와 S. typhimurium를 이용한 mutagenicity assay에서 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돌연변이 억제 시험에서는 4가지 시료 모두 농도 증가에 따른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또 각각의 시료들의 분획물 중 잣나무와 소나무의 에테르 분획물들이 간접변이원인 Trp-P-1의 변이원성에 대하여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높은 억제율을 보여주었다.

  • PDF

솔잎, 돌나물, 톳, 메밀, 깻잎 등 5가지 혼합 열수 추출물의 면역 활성 효과 (Studies on the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Mixture of Pine Needles, Sedum sarmentosum Bunge, Hijkiaorme, Buckwheat and Perlla Leaves on the Immune Function Activation)

  • 류혜숙;김현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69-274
    • /
    • 2008
  • Plants have long been used as a food source in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mbined immunomodulative effects of a water extract mixture of(pine needles, Sedum sarmentosum Bunge, hijkiaorme, buckwheat and Peril a leaves) on Balb/c mice $7{\sim}8$ weeks old. The mice were fed a chow diet ad libitum and the plant extract was orally administered every other day for four weeks at two different concentrations(50 and 500 mg/kg BW). After preparing the single-cell suspension, splenocyte proliferation was determined by the MTT(3-[4,5-di-methylthiazol-2-y]-2,5-diphenyl terazolium bromide) assay. After 48hrs of incubation with the mitogens(ConA or LPS) splenocyte from the mice groups administered 50 and 500 mg/kg BW of the plant extrac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d in prolifer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 hemolytic plague forming cell assay was used to indicate antibody production against sheep red blood cells(SRBC). The number of antibody-secreting cells T-dependent antige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with this plant extract may regulate immune function by increasing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the number of plaque forming cells.

솔잎분말과 추출물을 첨가한 쌀 컵케이크의 항산화성과 품질 특성 (Antioixdative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upcakes Prepared with Pine Needle Powder and Extract)

  • 김원지;김지명;허영란;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13-622
    • /
    • 2012
  • To develop the tailor made rice flour products for consumers with increasing functionality of pine needles, rice cupcakes were prepared with adding different contents of pine needle powder (PP) and extract (PE, by pressing pine needle). The physicochemical, textural, sensory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ice cupcakes were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ice cupcakes with PP and P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n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adding pine needle type (PP or PE). The specific volume of rice cupcakes increased with adding PP and PE, except for 10 g PP added cupcake. Textural properties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pine needle types and contents. On the sensory preference test data, the scores of the teens, the twenties, and the thirties were higher in PP added rice cupcakes (3 and 5 g added), but those in the forties, the fifties, and above the sixties were higher in PE added rice cupcakes (3 g added). From these above results, the PP addition improved the processing quality of rice cupcakes (under 10 g added), but reduced unique flavor of pine needle. It was suggested that rice products added with pine needle would be developed to consider consumer's age, type of pine needle and its content.

솔잎혹파리의 생태조사(生態調査) (1) - 유충낙하율(幼虫落下率) 및 충영형성률(虫癭形成率) - (A Study on the Ecology of the Pine Gall-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1) - The Percentage of Larval Falling to the Ground and The Degree of Gall-Forming -)

  • 고제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2-26
    • /
    • 1966
  • 이것은 솔잎혹파리의 생태(生態)를 밝히고저 서울지방(地方)에서의 시기별유충낙하율(時期別幼虫落下率)과 시기별피해율(時期別被害率)을 조사(調査)한 것이다. 1. 솔잎혹파리의 유충(幼虫)이 피해엽(被害葉)의 충영(虫癭)으로 부터 지표(地表)에 떨어지는 시기(時期)는 9월(月) 하순(下旬)부터 다음해 1월하순(月下旬)까지 이다. 2. 솔잎혹파리 유충(幼虫)은 11월중(月中)에 가장 많이 낙하(落下)하며 전체낙하수(全體落下數)의 76%가 11월(月)에 낙하(落下)하였다. 3. 솔잎혹파리 유충(幼虫)은 강우시(降雨時)에 많이 떨어지며 온도습도(溫度濕度), 강우량(降雨量)은 유충낙하수(幼虫落下數)에 상관(相關)이 없다. 4. 피해도(被害度)가 평균(平均) 70%인 피해임수관하(被害林樹冠下)에서 $1.5m^2$당(當) 47,000여(餘) 마리의 유충(幼虫)이 낙하(落下)하였다. 5. 솔잎혹파리의 시기별(時期別) 피해율(被害率)은 대조구(對照區) 91%, 5월(月)30일구(日區) 80%, 6월(月)6일구(日區)50%, 6월(月)10일구(日區)36%, 6월(月)15일구(日區)19%, 6월(月)25일구(日區)20%, 6월(月)30일구(日區)1%이었다.

  • PDF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고농도미량엽면살포- (Chemical Control of the Pine Gall Midges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I ) -Low-volume Foliar Spray of the Insecticides-)

  • 최승윤;송유한;이형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1-116
    • /
    • 1979
  • Salithioll $(25\%\;Ec)$, Omethoate $(Folimat^{(R)}\;50\%\;Ec)$, Monocrotophos $(Azodrin^{(R)}24\%\;Ec)$, Acephate $(Ortran^{(R)}50\%\;Wp)$, Metalkamate $(Bux^{(R)}24\%\;Ec)$, BPMC $(Bassa\;50\%\;Ec)$, 및 MIPC $(Mipcin^{(R)}\;50\%\;Wp)$를 100배, 200배, 400배액으로 희석하여 5월 9일 5월 24일, 6월 6일, 6월 20일, 7월 17일, 7월 17일에 각각 1회씩 고농도 미량 엽면살포를 실시하여 솔잎혹파리 방제에 관한 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효과는 약제의 종류, 농도 및 살포시기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Salithion, Omethoate, Monocrotorhos, Metalkamate순으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있었으나 그 밖에 약제들은 방제효과가 낮거나 없었다. (2) 100배액에서는 방제효과가 높였으나 농도가 낮어 짐에 따라 방제효과가 현저히 낮었다. (3) 방제효과면에서나 잔효력면에서 볼 때 Salithion이 가장 좋았다. Salithion은 5월 9일에서 7월 1일 사이에 1회 엽면살포로서 솔잎혹파리의 방제가 가능하였다. 그 밖에 Omethoate, Monocrotophos, Metalkamate는 Salithion에 비하여 방제효과가 낮을 뿐만 아니라 잔효력이 짧었다. (4) 100배액 살포에 있어서는 Omethoate, Salithion의 순으로 피해량적엽이 많었다. (피해량적엽이란 솔잎은 위축되었으나 충영을 형성치 못하고 부화유충에의한 피해양적만 남아 있는 잎을 말함) (5) 충영내 유충의 밀도는 약제의 종류, 농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Omethoate, Salithion처리에서 충영내 유충밀도가 낮었다. 농도가 낮어짐에 따라 충영당 유충의 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충영내유충의 밀도는 7월 15, 7월 17일 처리에서만 조사 되었는데 처리시기간에는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 PDF

소나무재선충 인공접종에 의한 해송묘목의 병 발달 및 수분함량 변화 (Change of Water Content and Disease Development on Pinus thunbergii Seedlings Inoculated with Bursaphelenchus xylophilus)

  • 윤준혁;우관수;문일성;구영본;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6호
    • /
    • pp.570-575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산 4년생 해송을 대상으로 소나무재선충을 인공접종하여 나타나는 병징의 발달과 묘목내 수분함량 및 선충밀도의 변화를 조사 및 분석하여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생리적 변화과정 구명에 사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수행되었다. 소나무재선충 인공접종 후 20일을 기점으로 외부적으로 잎의 변색 그리고 내부적으로 접종 부위 위 아래의 목부 건조 및 수 갈변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접종 후 10일에 대조구 묘목과 접종목의 목부 및 피층의 건조상태는 차이를 나타내어 목부 건조는 접종 후 10일 경부터 진행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나무재선충 밀도는 접종 후 5일과 10일 사이에서 소폭의 증가를 보였으나 외부적 또는 내부적 피해증상이 나타난 10일과 20일 사이에서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소나무재선충 접종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염목의 줄기수분함량 및 당년생 잎과 줄기의 상대수분함량은 꾸준히 감소하였다. 소나무재선충의 개체 수가 증가함에 따라 줄기수분함량, 당년생 가지 및 잎의 상대수분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소나무재선충 증식은 병 발달 및 수체내 목부의 수분건조 현상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지만 묘목의 고사와 함께 재선충 번식이 현격히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