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g manure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28초

반부숙상태 돈분뇨 액비의 저장기간 및 폭기여부에 따른 특성 변화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Semi-cured Pig Manure Liquid Fertilizer according to the Storage Duration and Aeration)

  • 정광화;박회만;이동준;김중곤;김현종
    • 유기물자원화
    • /
    • 제30권4호
    • /
    • pp.109-122
    • /
    • 2022
  • 현재 국내 양돈농가에서 발생하는 돼지분뇨 성상은 수분함량이 97% 정도인 슬러리 형태가 대부분이다. 돈사에서 배출되는 돼지분뇨 슬러리는 돼지의 분뇨와 돈사 내부 청소 물 등이 혼합된 성상의 액상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기공급 여부와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돼지분뇨 액비의 부숙정도와 성상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운용 중인 액비화시설의 후단 공정에서 채취한 돼지분뇨 슬러리를 재료로 하여 120일 동안 실험을 수행하였다. 밀폐형 회분식 반응조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돼지분뇨 슬러리 액비의 부숙도는 공기공급구가 비공급구에 비해 더 양호하였으며 액비 저장기간이 경과 함에 따라서 액비가 부숙완료 상태로 빨리 전환되는 경향이 있었다. 실험개시 시에 97.90% 수준이던 액비의 수분함량 평균값이 실험 완료 시에는 공기공급구의 경우 96.82%, 비 공급구는 97.33% 수준을 나타냄으로써 공기공급구에서의 수분함량 감소가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실험개시시에 8.82 수준이었던 액비의 pH는 실험완료 시에 공기공급구에서는 7.57, 비 공급구에서는 8.75 수준으로 변화하였다. 액비 중의 질소함량은 실험개시 시에 평균 0.198 mg/L 수준이었으나 실험완료 시에는 공기공급구에서는 0.076 mg/L, 비 공급구에서는 0.121 mg/L 수준으로 낮아졌다. 액비 중의 인산(P2O5)농도는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비폭기처리구가 폭기처리구에 비해 감소 정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실험결과를 종합해볼 때 돼지분뇨 액비에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그리고 저장기간을 길게 하였을 때 액비품질이 개선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가축분뇨 비료의 농지 유출 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of the Livestock Manure as Fertilizer at Farmland)

  • 어성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775-780
    • /
    • 2010
  • Over 90% of the livestock excretions were treated and utilized by land application in Korea. Excessive application of the livestock manure as fertilizer has been issued as a main pollutant source in groundwater and watersheds. This study was seasonally conducted to identify the discharging characteristics with a certain artificial rainfall intensity (13 mm/hr) in terms of surface runoff, groundwater, and soil residue mass depending on the livestock manure types. A experimental field was constructed with three different sites that pig liquid fertilizer (LF), cattle manure (CM), and standard (S). The pig liquid fertilizer of 1,200 L and cattle manure of 900 kg were sprayed on each site ($50m^2$). The standard area was firmly prevented from any other contaminants. In the LF site, farmland discharging rate (FDR) was computed as 0.006 in CODcr, 0.015 in TN, and 0.029 in TP, resulted from the mass balance among total injection mass, surface runoff and groundwater. In the CM site, 29% of the nitrogen and phosphorus in each were discharged to the surface, and 64% and 58% of them were remained in the farmland. Surface runoff rate of the CM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F, resulted from the solid form of the CM.

Development of an Odor Abatement System for Swine Manure Treatment Facilities

  • Lee, S.H.;Yun, N.K.;Kim, G.W.;Yum, S.H.;Cho, Y.H.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8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 of public grievance owing to odor of a pig farm. Odor emissions from pig production systems mainly originate from liquid manure storage and solid manure fermentation. The low-cost odor abatement system (OAS) for application at liquid manure storage tank and solid manure fermentation facilities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OAS adapted odor removing principles of a biofilter and biotrickling filter. The OAS is very simplified in structure. The appearance of the OAS had a form of cylindrical or cubical shape. The system performance was monitored for about one year after stabilization. A 7 seconds empty bed contact time for the OAS was adapted to achieve the odor reduction levels. The commercial type of OAS was constructed with media comprised of wood chips. Moisture content always remained above 50% wet basis. Average ammonia removal efficiency for the developed design was 89% at the liquid manure storage tank. Also, the removal efficiency at a solid manure fermentation facility was 86% on ammonia.

  • PDF

초지 및 농경지에 살포되는 돼지 분뇨의 냄새에 미생물 첨가 및 분뇨 배양온도가 미치는 효과 (Effects Microbial Addition and Incubation Temperatures on Odor of Pig Manure as Fertilizer on Grass and Crop Fields)

  • 황옥화;박성권;한덕우;이상룡;곽정훈;조성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9-134
    • /
    • 2016
  • 초지 및 농경지에 비료로 살포되는 돼지 분뇨에서 불쾌한 냄새가 발생되면 가축 분뇨의 이용 및 냄새 민원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돼지 분뇨의 냄새를 감소하기 위하여 냄새 저감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미생물 3종을 분뇨에 살포한 후 봄 가을($20^{\circ}C$) 및 여름($35^{\circ}C$)에 해당되는 온도에서 2주간 배양한 다음 냄새물질의 농도를 평가하였다. 분뇨를 $20^{\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 인돌류와 휘발성 지방산의 농도가 광합성균 처리구에서 낮았다(p<0.05). 분뇨를 $35^{\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에는 냄새물질의 농도가 미생물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돼지 분뇨의 배양온도가 $20^{\circ}C$에서 $35^{\circ}C$로 상승되었을 때 냄새물질의 농도가 크게 증가되었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봄 가을($20^{\circ}C$)에는 돼지 분뇨의 냄새를 저감하기 위한 냄새저감 미생물로 광합성균을 이용할 수 있고, 여름 ($35^{\circ}C$)에는 분뇨에 첨가한 미생물의 활성을 높일 수 있는 다른 물질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돼지 분뇨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줄이는 것은 초지 및 농경지에 살포되는 가축 분뇨의 영양학적 가치를 높이고 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인공강우를 이용한 축종별 축분퇴비침출수의 수질특성 조사 (Assessment of Leachate Characteristics of Manure Compost under Rainfall Simulation)

  • 홍성구;김진태
    • 농촌계획
    • /
    • 제7권2호
    • /
    • pp.65-73
    • /
    • 2001
  • Animal manure and manure compost produced from livestock farms are widely applied in crop lands. Leachate and runoff water from them are presumed to be one of the major sources of water quality deterioration in rural streams.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loading of leachate obtained under rainfall simulation. Manure composts for the experiments were collected from beef cattle farms, dairy farms, and pig farms. Water quality parameters include SS, COD, TN, and TP. Most parameters of leachate from pig manure compost was higher than others. Both TN and TP concentrations were reflecting the composition of manure itself. It is recommended, therefore that the leachate from the manure composts should be controlled not to be discharged into streams.

  • PDF

계분 및 돈분퇴비의 연용에 의한 토양의 물리화학성 변화 (Changes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Repeated Application of Chicken and Pig Manure Compost)

  • 장기운;조성현;곽정하
    • 유기물자원화
    • /
    • 제7권1호
    • /
    • pp.23-30
    • /
    • 1999
  • 계분과 돈분퇴비의 연용에 따른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0~120 Mg/ha 범위의 퇴비를 3년간 연용하였다. 토양의 pH는 시험전 7.1에서 계분 및 돈분퇴비 3년 연용후 6.4~6.9 수준으로 낮아졌으며, 양이온치환용량(CEC)은 퇴비시용에 따라 무비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연용에 의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치환성양이온함량은 3년 연용후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전기전도도(EC)는 돈분 120Mg/ha 처리구에서 최대 1.25 ds/m 수준까지 높아졌다. 퇴비의 연용에 의해 경도, 용적밀도가 낮아지고, 토색이 짙어져 암갈색을 띠는반면, 공극율은 증가하였다. 계분 및 돈분퇴비를 3년간 연용한 결과 1년, 2년 시용시 돈분퇴비 처리구가 계분 처리구에 비해 토양 중 더 많은 양분축적을 보였으나 3년 연용시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벼 안전생산을 위한 돈분 시용 한계시기 (Marginal App1ication Time of Pig Manure before Rice Transplanting in Paddy Field)

  • 조현숙;장기운;김충국;서종호;김시주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2호
    • /
    • pp.59-64
    • /
    • 2002
  • 국내에서 년간 발생하고 있는 가축분뇨는 약 34백만톤에 이르고 있다. 이렇게 다량 생산되고 있는 가축분뇨를 유기자원으로 논토양에 환원할 때 벼의 안전생산을 위한 돈분의 시용 한계시기를 구명하고자 건조돈분과 발효돈분을 이앙직전, 이앙 20일전, 이앙40일전에 처리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 논토양에 돈분을 시용할 때에는 돈분 (돈분톱밥퇴비, 건조돈분) 모두 이앙직전에 시용이 기능하였다. 이 때 돈분에 함유되어 있는 고농도의 비료성분을 감안하여 화학비료의 절감 시용이 요구되었으며 시험결과 화학비료의 50% 절감이 가능하였다.

  • PDF

제주 서부지역 양돈장에서 생산된 돈분액비의 비료성분과 그 성분간 상관관계 (Determination of Nutrient Contents of Liquid Pig Manure and the Correlation of Components as Fertilizer in Western JeJu Area)

  • 송상택;김문철;황경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24
    • /
    • 2006
  • 본 연구는 제주도의 서부지역 돼지사육농가에서 생산되고 있는 돈분액비의 비료가치 및 전기전도도나 건물함량과 성분간 상관관계를 구하여 간편한 비료가치 구명방법을 찾고자 수행되었다. 돈분액비의 시료는 118개 농가에서 수집되었고 건물수준을 기준으로 4개의 형태로 분류하였다. 전기전도도 (EC), 건물함량(DM), 암모니아성질소$(NH_4-N)$과 여러 가지 무기물을 분석하였고 이들 성분간에 상관성이 조사되었다. 118개 양돈농가 중 92개 농가는 액비의 건물함량이 3% 미만이었으며, $3{\sim}6%$가 18농가, $6{\sim}9%$ 미만이 5개 농가였고 나머지 3개 농가는 9%이상의 건물함량을 보여 대부분의 돈분액비는 낮은 건물함량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액비 중 건물함량은 EC, $NH_4-N$, T-P, Ca, Mg, Na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p<0.01), 또한 전기전도도(EC)도 Mg을 제외한 모든 성분간의 유의성을 보였다. 따라서 건물함량과 전기전도도는 액비의 양분함량의 평가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 하였다.

벼에 대한 돈분뇨 액비의 시용량 및 시용시기 구명 (Effect of Application Time and Amount of Liquid Pig Manure on Growth of Rice and Infiltration Water Quality)

  • 박백균;이종식;조남준;정광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47-152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pplication time and amount of liquid pig manure on growth and yield of rice plant and infiltration water quality. Liquid manure treatment with higher application rate and closer application time to transplanting time showed higher plant height and number of tiller at panicle formation stage, but it caused the plant disease and pest and lodging. In liquid manure treatment with higher application rate, number of panicles per hill and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were higher but yield of rice was less than chemical fertilizer treatment due to low rate of ripeness and 1,000 grain weight. $NO_3-N$ concentration in infiltration water sample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application amount of liquid manure and closer application time to transplanting of rice plant. With consideration yield of rice and environment such as groundwater quality, the proper application amount were 150% and 100% of recommending N fertilizer level (11kg) at before winter and April or May treatment, respectively.

  • PDF

유기질 비료 시용이 토마토 근권 미생물 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Amendments on Rhizosphere Microflora of Tomato Plant)

  • 유성준;황경숙;김선익;장기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7-302
    • /
    • 1996
  • 돈분 및 계분을 시비수준을 달리하여 표토(16cm)에 처리한후 1주일 후부터 토마토를 재배하면서 근권토양내의 미생물상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처리구의 근권총세균 밀도는 시비구 보다 적었으며, 생육기인 5주째에 균밀도가 1주째보다 떨어졌으며 15주째에는 최고가 되었다. 희석영양배지(Diluted Nutrient Broth : NB)의 세균밀도는 영양배지(Nutrient Broth NB)에서 보다 1.5~2배 높게 나타났다. 2. 정식 1주일후의 근권 토양 세균 수는 돈분에서 NB와 DNB배지에서 퇴비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계분에서는 NB는 증가하였으나 DNB는 시용량에 따라 무비구 보다 감소했다. 60, 120 Mg/ha처리구에서 무비구에 비해 NB에서 100배 이상 증가하였다. 15주후인 토마토 수확기에는 1주후의 경우와 반대로 DNB배지의 세균수가 NB배지에서 보다 높았다. 3. 사상균수는 유기질 비료 시용 1주후에 시비수준에 따라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계분시용구에서 무시구보다 감소하였다. 15주째에 계분은 2주째보다 2배가 높았으며 계분 30 Mg/ha에서 최고로 높았으나 돈분은 시용량에 따라 무비구보다 감소하였다. 4. 방선균의 밀도는 1주후 돈분구에서 차이가 없고 계분 시용구에서 무비구보다 감소하였고 15주째에 모든시비구에서 크게 증식하여 돈분 10 Mg/ha와 계분 30 Mg/ha구의 경우 1주후 토양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