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geography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4초

장산봉(부산)의 식물상 (The Flora of Jangsanbong)

  • 이정훈;문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8호
    • /
    • pp.881-889
    • /
    • 2007
  •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Jangsanbong located at Busan Metropolitan City was investigated from April 2003 to April 2004. Vascular plants in the surveyed area were 254 taxa that belonged to 78 families, 175 genera, 218 species, 34 varieties, and 2 forma. Among them, 20 taxa of evergreen broad trees, 31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nd especially Rubus trifidus was first recorded in Busan. In the upper part of a circular road dominant species was Pinus thunbergii. In the lower part of a circular road and the coastal area, dominant species were Platycarya strobilacea, Clerodendron trichotomum, Euscaphis japonica, Quercus aliena, Quercus dentata, Mallotus japonicus, which distribute mainly in the subtropical and temperate zone. In the surveyed area, the canopy consistsed of tall trees, Pinus thunbergii, and the understratum were trees such as Eurya japonica, Ficus erecta, Ligustrum japonicum, Prunus sargentii, and Celtis sinensis var. japonica.

Note on the taxonomy, biogeography and conservation of endangered plant species in the Ryukyus

  • Kokubugata, Goro;Yokota, Masatsugu;Kato, Masahir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93-201
    • /
    • 2010
  • The Ryukyus Archipelago consists of about 200 nearly subtropical islands located between Japan proper and Taiwan. Previous studies have found the Ryukyus to be a region of high biodiversity with many endangered vascular plant taxa, but they are not comprehensive. Here, we discuss the phytogeographic features and circumstances of the endangered plant taxa, make suggestions for effective in situ conservation, and highlight endangered plants in the Ryukyus that require further study.

석회암지대인 덕항산 (강원)의 관속식물상과 식물지리 (Flora and Phytogeography on Mt. Deokhang (Gangwon-do), Limestone area in Korea)

  • 김진석;이병천;정재민;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37-364
    • /
    • 2005
  • 석회암지대인 강원도 덕항산 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본 지역의 식물지리학적 특성을 논의하였다. 덕항산은 해발 1072.5m에 이르는 석회암지대로서, 지리적으로는 북위 $37^{\circ}17^{\prime}{\sim}37^{\circ}20^{\prime}$, 동경 $128^{\circ}09^{\prime}{\sim}129^{\circ}03^{\prime}$에 위치하며, 행정구역상으로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에서 태백시 하사미동에 걸쳐 있다. 2003년 10월 10일부터 2005년 10월 4일에 까지 총 10회 조사를 실시한 결과 덕항산 일대의 관속식물은 총 90과 337속 537종 4아종 46변종 3품종의 총 590종류로 분류되었다. 그 중 우리나라 특산식물은 30종이며, 법정 보호종 4종과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17종이 분포하였다. 또한 환경부 특정식물종으로는 VI등급 17종, V등급 6종이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덕항산 일대는 특산식물 및 희귀식물들이 다수가 분포하며, 여러 북방계 식물의 남한계가 되는 곳으로 나타나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한 곳으로 평가되었다.

한반도 풍혈지의 종조성과 식물지리학적 중요성 (The Plant Species Composition and Phytogeographical Significance on Algific Talus Slope in Korea)

  • 김진석;정재민;이병천;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1-89
    • /
    • 2006
  • 풍혈지는 여름철에 너덜지대 사면의 암괴 틈에서 찬 공기가 스며 나오며, 또한 결빙현상을 보이는 국소적 저온환경을 형성하는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풍혈지에 대한 식물상적 조사를 바탕으로 식물지리학적 중요성과 보존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국내 주요 풍혈지 7개소에 대한 현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풍혈지에서 한들고사리, 두메고사리 좀미역고사리, 월귤, 뚝지치 등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한 다수의 북방계 식물들이 조사되었다. 또한 수직분포면에서도 산우드풀, 민둥인가목, 요강나물, 산새풀, 집사초와 같은 아고산식물들이 해발이 낮은 풍혈지에 생육하는 특이성을 보이고 있었다. 풍혈지는 빙하기에 남하했던 북방계 식물들이 최후빙기 이후 이주과정에서 국소적 기후환경에 적응, 고립되어 있는 피난처로 판단되어진다. 고피난처인 풍혈지는 기상학, 지형학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식물지리학적으로도 아주 중요한 서식지 형태로 소집단으로 격리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 종들에 대한 보존생물학적 연구를 통한 합리적인 현지내 외 보존대책의 수립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월출산국립공원의 식물상과 그 보전 대책 (Flora and Conservation of Weolchulsan National Park)

  • 임동옥;김용식;황인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0-142
    • /
    • 2006
  • 월출산은 남부형 식물의 북한계 선상에 위치하는 국립공원으로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하며, 확인된 소산식물은 106과 318속 453종 59변종 4품종으로 총 516종류이다. 산림청이 지정한희귀 및 멸종위기종은 산닥나무, 수정난풀, 께묵, 끈끈이주걱, 통발 및 이삭귀개 등 6종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산식물 종 중 III등급에서 V종은 12종으로 확인되었다. 귀화율은 4.65%, 도시화지수는 9.06%로 확인되어 비교적 낮은 비율로나타났다.

Morphology and phytogeography of Laminaria appressirhiza and L. inclinatorhiza (Phaeophyceae) from the Sea of Okhotsk

  • Klochkova, Tatyana A.;Kim, Gwang-Hoon;Belij, Mihail N.;Klochkova, Nina G.
    • ALGAE
    • /
    • 제27권3호
    • /
    • pp.139-153
    • /
    • 2012
  • The re-examination of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s of Laminaria appressirhiza and L. inclinatorhiza collected from different localities in the Sea of Okhotsk was performed. Despite their commercial and ecological importance to the region they have not been comprehensively reviewed since their first description in 1970. Our results show that some original diagnostic key characters (e.g., shape of holdfast, shape of sporangial sori, and dissection of blade) are not stable and have deviations from the type morphology when plants grow in different environments. In L. inclinatorhiza, the sporangial sori development occurred differently to the pattern indicated in original species description as they did not develop simultaneously on both sides of the blade. Instead, the sporangial sori outlines on both sides of the blade did not coincide at first and only became coincident later. Also, a deep-water population of L. inclinatorhiza with an unusual and interesting morphology, growing at depths of 15-25 m on opened rocky coasts in Taujskaya Bay (northern part of the Sea of Okhotsk) was found. The stable diagnostic key characters to distinguish these two species are the cone-like, multilayered, very thick and massive holdfast (in L. inclinatorhiza) and rolled margins of blades, lamellar rosette-like part of thallus, and sporangial sori developing only on one side of the blade (in L. appressirhiza).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both species in the Sea of Okhotsk are discussed. Both species are perennial and widely distributed in the region. L. appressirhiza is more often found as a subdominant species among other kelps, forming maximum biomass and density of 7-9 kg and 8-25 plants per $1m^2$, respectively. L. inclinatorhiza sometimes forms local mono-species communities with maximum biomass and density of 10-12 kg and 10-15 plants per $1m^2$, respectively.

AFLP 마커를 이용한 조릿대 개체군의 식물지리학적 연구 (A phytogeographical study of Sasa borealis populations based on AFLP analysis)

  • 김일룡;유다솜;최홍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9-35
    • /
    • 2015
  • 본 연구는 전국에 분포하는 조릿대[Sasa borealis (Hack.) Makino & Shibata]의 12 개체군을 대상으로 유전다양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식물지리학적인 해석을 통하여 기후변화와 같은 변화 요인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FLP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분석을 통한 유전다양성 조사 결과, 조릿대 개체군의 유전다양성(PPL = 37.2%, h = 0.143, I = 0.205)과 유전적 분화도($G_{ST}$= 0.324, ${\theta}^B$=0.395)는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AMOVA (Analysis of molecular variance) 분석 결과에서도 전체 유전적 변이 중 47.7%가 개체군 간 변이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릿대 개체군들의 유전다양성은 위도가 높아짐 따라 감소하는 것이 확인 되었으며, 이는 남방계 식물인 조릿대의 분포가 낮은 위도에서 높은 위도로 전파된 과정과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식물 개체군의 AFLP 분석 결과를 위도 변화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따른 분포 변화의 정도를 파악하고 주요 식물의 보전 전략을 세우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북한산국립공원의 특정식물과 그 보전 대책 (The Specific Plant Species and Conservation of the Bukhansan National Park)

  • 임동옥;김용식;이희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8-144
    • /
    • 2008
  • 환경부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종 중 IV등급 2종과 V등급 종은 5종으로 총 7종이 확인 되었다. 멸종위기 II급종은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1종이 조사 되었으며, 그 외 산림청이 지정한 희귀식물은 5종이었다. 북한산은 남부형 식물인 서어나무, 산딸나무, 때죽나무 및 초피나무 등의 북한계 선상에 위치하는 종들이 분포하는 국립공원으로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하며, 확인된 소산식물은 103과 362속 541종 87변종 10품종으로 총 638종류이었다. 귀화식물은 총 16과 52속 54종 4변종 58종류로 귀화율은 9.09%, 도시화지수는 20.21%로 나타났다.

서해 5도의 식물상 (Flora of the Five West Sea Islands in Korea)

  • 손동찬;김현준;이동혁;정수영;박수현;장계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34-466
    • /
    • 2016
  • 서해 5도 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백령도, 소청도는 2015년 5월부터 8월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고, 대청도, 연평도, 소연평도는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KH)에 보관 중인 증거표본을 재동정하여 정리한 결과 서해 5도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108과 420속 728종 6아종 86변종 14품종의 총 834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들 중에는 한국 특산식물 8분류군, 희귀식물 19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27분류군(I, II등급 제외)이 확인되었으며, 107분류군의 귀화식물이 조사되었다. 서해 5도 지역에서 자생하는 특기할 만한 식물들 중 특히 용가시나무, 실부추, 참범꼬리, 멱쇠채, 대청부채, 정향풀 등은 개체수가 적거나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한 식물로서 자생지 보전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림의 식물생태학적 가치 제고 (A Study on the Synecological Values of the Torreya nucifera Forest (Natural Monument No. 374) at Pyeongdae-ri in Jeju Island)

  • 최병기;이진범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87-98
    • /
    • 2015
  • 제주도 평대리에 위치한 천연기념물 374호, 비자나무림에 대해 식물사회학적 방법 및 수리적 분석에 의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자나무림이 가지는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한반도 내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비교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지역에 분포하는 식생대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NMDS와 집괴분석법이 활용되었다.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림은 12개의 식물사회학적 조사표를 바탕으로 비자나무-상산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서식처 환경을 반영한 전형하위군락과 가는쇠고사리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식생의 서식처 특성과 비자나무림 발달에 근거를 제공하는 추가적인 진단종군(꽝꽝나무, 단풍나무, 양하, 산쪽풀, 긴사상자, 처녀이끼 등)이 제안되었다. 제주도 내 동일식생대 식생의 종조성 분석 및 국내 기타 비자나무림들과의 좌표결정과 집괴분석 비교를 통해서 평대리 비자나무림은 종조성 및 식생구조에 있어서 매우 독립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외 비자나무림과의 비교에서 평대리 비자나무림이 가지는 특성이 확인되었으며, 자생지와는 종조성 및 식생유형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평대리 비자나무림에 대한 식물생태학적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국가중요자연자원에 대한 평가규정에 대해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