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ic acid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9초

Effect of QMix irrigant in removal of smear layer in root canal system: a systematic review of in vitro studies

  • Chia, Margaret Soo Yee;Parolia, Abhishek;Lim, Benjamin Syek Hur;Jayaraman, Jayakumar;de Moraes Porto, Isabel Cristina Celerin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5권3호
    • /
    • pp.28.1-28.13
    • /
    • 2020
  • Objectives: To evaluate the outcome of in vitro studies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QMix irrigant in removing the smear layer in the root canal system compared with other irriga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research question was developed by using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and Study design framework.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using 3 electronic databases PubMed, Scopus, and EBSCOhost until October 2019. Two reviewers were independently involved in the selection of the articles and data extraction process. Risk of bias of the studies was independently appraised using revised Cochrane Risk of Bias tool (RoB 2.0) based on 5 domains. Results: Thirteen studies fulfilled the selection criteria. The overall risk of bias was moderate. QMix was found to have better smear layer removal ability than mixture of tetracycline isonomer, an acid and a detergent (MTAD), sodium hypochlorite (NaOCl), and phytic acid. The efficacy was less effective than 7% maleic acid and 10% citric acid. No conclusive results could be drawn between QMix and 17%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due to conflicting results. QMix was more effective when used for 3 minutes than 1 minute. Conclusions: QMix has better smear layer removal ability compared to MTAD, NaOCl, Tubulicid Plus, and Phytic acid. In order to remove the smear layer more effectively with QMix, it is recommended to use it for a longer duration.

Chelate 법(法)에 의(依)한 Phytin 분석(分析)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nalysis of phytin by the Chelatometric method)

  • 신재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0권
    • /
    • pp.1-13
    • /
    • 1968
  • phytin은 phytic acid의 금속염(金屬鹽)(주(主)로 Ca 와 Mg)임으로 그중(中)의 P,Ca 및 Mg를 정량(定量)하면 순도(純度)를 알 수 있고, 또 분자식(分子式)을 추정(推定)할 수 있다. 저자(著者)는 phytin 중(中)의 P,Ca 및 Mg를 정량분석(定量分析)하는 새로운 방법(방법)으로 서 phytin을 건식(乾式) 분해(分解)하고 ion 교환수지(交換樹脂)로 처리한 다음 Chelate 법(法)으로 정량(定量)하는 방법(方法)을 확정(確定)켰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phytin 분석(分析)의 전처리과정(前處理課程)으로서는 phytin을 conc. $HNO_3$로 적시면서 $550{\sim}660^{\circ}C$에서 회화(灰化)하는 건식분해법(乾式分解法)을 썼다. 이 방법(方法)은 습식분해법(濕式分解法)보다 분석결과(分析結果)가 정확(正確)하다. 2) phytin을 건식분해(乾式分解)한 시료(試料)를 가지고 종래법(從來法)과 새로운 분석법(分析法) (본법(本法))에 의하여 P,Ca 및 Mg를 정량(定量)하였으며, 본법(本法)은 다음고 같다. phytin 회분(灰分 HCl 용액(溶液)을 양(陽) ion 교환수지(交換樹脂)로 처리하여 양(陽) ion 구분(區分)과 음(陰) ion 분리(分離)하고 양(陽) ion 구분(區分)의 일부(一部)를 pH 7.0로 한다음 완충액(緩衝液)($NH_3-NH_4Cl$으로 pH 10으로 하고 BT 지시약(指示藥)을 써서 표준(標準) EDTA 용액(溶液적정(滴定)하여 Ca와 Mg의 합계치(合計値)를 얻었다. 또 양(陽) ion 구분(區分)의 일부(一部)를 pH 7.0로 하고 표준(標準) EDTA 용액(溶液)을 소량(少量)넣고 8N-KOH로 pH $12{\sim}13$으로 하고 N-N 희석분말(稀釋粉末)을 지시약(指示藥) 으로써 표준(標準) EDTA 용액(溶液)으로 적정(滴定)하여 Ca 치(値)를 얻었다. Ca와 Mg의 합계결정치(合計決定値)와 Ca 적정치(滴定値) 차(差)로 Mg 치(値)를 얻었다. 음(陰) ion 구분(區分)으로부터 상법(常法)에 의하여 $MgNH_4PO_4$의 침전(沈澱)을 만들어서 HCl에 녹키고 일정량(一定量)의 표준(標準) EDTA 용액(溶液)을 넣어 pH 7.0로 한다음 완충액(緩衝液)으로 pH 10으로 하고 BT 지시약(指示藥)을 써서 표준(標準) Mg $SO_4$용액(溶液)으로 적정(滴定)하여 P 치(値)를 얻었다. 본법(本法)으로 Na-phytate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Na-phytate의 분자식(分子式)을 $C_6H_6O_{24}P_6Mg_4CaNa_2{\cdot}5H_2O$라고 하였을 때의 이론치(理論値)에 비(比)하여 P가 98.9% Cark 97.1%, Mg가 99.1%이고 통계처리(統計處理)한 결과분석치(結果分析値)와 이론치(理論値)는 잘 일치(一致)된다. 그러나 종래법(從來法)에 의(依)한 분석치(分析値)는 이론치(理論値)에 비(比)하여 P가 92.40%, Cark 86.80%, Mg가 93.80%로서 이론치(理論値)와 일치(一致)하지 않는다. 3) Na-phytate를 전분(澱粉)과 일정(一定)한 비(比)로 혼합(混合)하고 본법(本法)으로 P,Ca 및 Mc를 정량(定量)한 결과(結果) 이들의 회수율(回收率)은 거의 100%이었다. 4) 본분석법(本分析法)의 정확성(正確性)을 재확인(再確認)하기 위하여 phytic acid 수용액(水溶液)에 $CaCl_2$수용액(水溶液)을 phytic acid 1M:$CaCl_25M:McCl_220M$의 비(比)로 반응(反應)서키어서 Ca 1 원자(原子), Mg 4원자함유(原子含有)된 Na-phytate를 합성(合成)하였으며 이것의 P,Ca 및 Mg 분석치(分析値)와 의(依한) 조제(調製) Naphytate의 분석치(分析値)와 일치(一致)되었다. 이상(以上)과 같이 phytin 시료(試料)를 건식분해(乾式分解)하고 ion 교환수지(交換樹脂)로 처리(處理)한 다음 Chelate 법(法)으로 P,Ca 및 Mg를 정량(定量)하는 본법(本法)은 정확(正確)하고 신속(迅速)한 phytin의 새 분석방법(分析方法)이라고 사료(思料)되는 바이다.

  • PDF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Germinated Specialty Rough Rice

  • Lee, Youn-Ri;Woo, Koan-Sik;Kim, Kee-Jong;Son, Jong-Rok;Jeong, Heon-S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765-770
    • /
    • 2007
  •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rough rice as a health-functional food, we investigated its changes in biological activity with germination.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70% ethanolic extracts of 'Goami2', 'Keunnunbeyo', and 'Heugkwangbeyo' were studied in comparison with those of ungerminated rough rice. The phytic acid level in rough rice decreased on germination, while the level of phenolic compounds increased. Reducing power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germinated rough rice tended to have enhanced reducing power. Among the rough rice cultivars, the germinated 'Heugkwang' rough rice tended to be the most effective, with scavenging activities for the DPPH,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s that were 1.6-, 1.3-, and 1.6-fold greater than those of the ungerminated 'Heugkwang' rough rice, respectively. We also found that the germination process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in all the rough rice cultivars, where activity was greatest for the 'Heugkwang' rough rice cultivar.

In situ growth of Mg-Al hydrotalcite film on AZ31 Mg alloy

  • Song, Yingwei;Chen, Jun;Shan, Dayong;Han, En-Hou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2년도 추계총회 및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13
    • /
    • 2012
  •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 for in situ growth of Mg-Al hydrotalcite (HT) film on AZ31 magnesium alloy has been developed. The growth processes and corrosion resistance of the HT film were investigated. Then the HT film was surface modified by phytic acid solution to further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The film formation involves the dissolution of AZ31 substrate, adsorption of the ions from solution, nucleation of the precursor, followed by the dissolution of $Al^{3+}$, exchanging of $OH^-$ by $CO{_3}^{2-}$ and growth of the HT film. The HT film is very compact and acts as a barrier against $Cl^-$ attack in the early stage of corrosion, and then the surface of the film is dissolved gradually. This dense HT film can provide effective protection to the AZ31 alloy. The HT film with surface modification by phytic acid presents a self-healing feature and exhibits better corrosion resistance.

  • PDF

대두-수수 혼합곡물의 템페발효 (Tempeh Fermentation from a Mixture of Soybean and Sorghum Grain)

  • 김종태;김철진;김동철;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68-674
    • /
    • 1990
  • 대두, 수수, 대두-수수 혼합곡물 템페를 인도네시아의 전통적인 종균(LARU ; mixed cultures of Rhizopus oligosporus)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발효가 끝난 후 대두 템페와 대두-수수 혼합템페는 단백질과 섬유질의 양이 발효시키지 않은 대조군 시료보다 증가하였고, 지방 함량은 수수템페와 대두-수수 혼합템페의 경우 약간 증가하였다. 발효가 진행함에 따라 3가지 형태의 템페 모두가 pH, 수용성 고형분, 수용성 질소 함량이 증가한 반면 총고형분 함량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트립신억제제 활성(TIA)과 피트산 함량은 발효 32시간 후 감소되었다. 이는 Rhizopus oligosporus 균이 대두를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트립신억제제와 피트산을 분해하는 분해능을 가지고 있음을 제시하는 결과이다. 티아민과 나이아신 함량이 3가지 형태의 템페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32시간 발효 후 대두, 수수, 대두-수수 혼합템페 모두에서 총아미노산 함량은 감소하였고 아미노산 중 리신, 발린, 티로신, 알라닌 등이 증가하였고 세린과 글루탐산 이 감소하였다.

  • PDF

한국산 메밀의 성분 (Composition of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Cultivars from Korea)

  • 심태흠;이혁화;이상영;최용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59-1266
    • /
    • 1998
  • 메밀의 품종간 성분함량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13 종(개량종, 6종; 재래종, 7종)의 메밀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메밀의 주요아미노산은 glutamate, arginine, asparagine이였으며, 이에 비하여 tryptophan, cysteine, methionine은 낮은 함량을 보였다. 메밀의 아미노산 조성중 tryptophan 함량은 195 mg%였다. Rutin 함량은 개량품종에서 높았으며, quercetin의 함량은 낮았다. Phytic acid 함량은 $7.0{\sim}13.6\;mg/g$수준이었으며, ascorbic acid의 평균함량은 5.4 mg%이었다. 메밀중 함유된 tocopherol의 평균함량은 6.84 mg%이었으며, 이중 ${\gamma}$-형(6.16 mg%)이 주요한 동족체로 존재한 반면, ${\beta}$-형은 없거나 매우 낮았다. 여러 미량원소중에서 특히 철은 품종간 커다란 함량차이를 나타내었다. 메밀 총단백질을 분석한 SDS-PAGE 전기영동은 메밀품종간 유사한 단백질패턴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분석한 13개의 시료중 품질면에서 수원 1호가 우수한 품종임을 보여주고 있다.

  • PDF

피틴산이 비브리오균의 생존과 마우스의 패혈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tic Acid on Viability of Vibrio vulnificus and on Septicemia-Induced Mice)

  • 정영호;박우용;이상용;이선우;임치환;윤민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1호
    • /
    • pp.15-20
    • /
    • 2006
  • EDTA의 대체제로서 천연 Phytic acid(PA)가 비브리오 패혈증을 일으키는 호염성 세균 vibrio vulnificus에 대한 살균효과와 간 손상을 유발시킨 마우스의 V. vulnificus 패혈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V. vulnificus는 증류수 내에서는 1분 후 90.6%, 3분 후 98.4% 및 5분 후 99.6%의 높은 사멸율을 나타낸 반면에, $MgCl_2$ 용액 중에서는 접종 후 1분에서 65.9%, 3분에서 69.8%, 5분에서 94.5%로서 $Mg^{2+}$ 이온에 의하여 삼투압 쇼크가 다소 완화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EDTA 및 PA 용액 중에서는 0.1 mM 농도의 경우 PA에서 사멸율이 약간 높았으나 1 mM 농도에서는 두 처리군 모두 1분 후 99.9%의 높은 사멸율을 보임으로서 EDTA와 PA 처리간에는 유의차를 인정 할 수 없었다. V. vulnificus 감염에 의한 패혈증 유발시험에서 고농도 보다 저농도로 접종시 마우스의 생존시간이 더 연장되었으며, 접종 후 생존율 연장효과는 PA 처리군이 EDTA 처리군 보다 1.3배까지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사염화탄소로 간 손상을 유발시킨 마우스에 있어서도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치사속도가 단순 접종처리군에 비해 2배 이상 빠른 결과를 보임으로서 간장 질환 등의 기저질환자가 V. vulnificus에 감염될 때 더욱 치명적임을 말 수 있었다. 모든 조직소견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사염화탄소로 간 손상을 유발시킨 마우스의 경우, 간, 폐 및 신장 등에서 심한 출혈, 울혈, 문맥 간 염증 및 괴사 등의 소견을 보였으며, PA를 농도 별로 처리 했을 경우 이러한 출혈 및 염증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자생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과육 및 씨의 항산화성분 함량 (Contents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Pulpy and Seed in Wild Haw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김한수;;김민아;장성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791-1799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ntents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pulpy and seed in wild haw (Crataegus pinnatifida $B_{UNGE}$). Pulpy and seed of haw were smashed, then measured for color properties, antioxidative components of ascorbic acid, phytic acid, proanthocyanidin, anthocyanin, total carotene, ${\beta}$-carotene, lycopene, chlorophyll a, b and tannin. The $a^*$, $b^*$ and $C^*$ values of see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pulpy, but $L^*$ and $H^{\circ}$ values were higher than that of pulpy. Ascorbic acid contents of pulpy and seed were found to be $10.89{\pm}1.69mg/100g$ and $1.45{\pm}0.16mg/100g$, respectively. Phytic acid, proanthocyanidin, total carotene and tannin contents of pulpy and seed were $689.17{\pm}3.63mg/g$, $597.78{\pm}2.93mg/g$; $355.61{\pm}19.39mg/g$, $49.12{\pm}4.97mg/g$; $8.32{\pm}0.42mg%$, $0.80{\pm}0.01mg%$; $7.53{\pm}0.09mg/g$, $1.02{\pm}0.03mg/g$, respectively. Similarly, ${\beta}$-carotene, lycopene, chlorophyll a and chlorophyll b contents of pulpy also displayed higher values than that of seed. On the contrary, anthocyanin content of seed ($4.24{\pm}0.33mg/L$) was remarkably higher than pulpy ($0.99{\pm}0.62mg/L$). The results showed that pulpy could be severed as great natural antioxidant and biohealth functional food.

Changes in the metabolic profile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rice in response to NaCl stress

  • Nam, Kyong-Hee;Kim, Do Young;Shin, Hee Jae;Pack, In-Soon;Kim, Chang-Gi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2호
    • /
    • pp.154-168
    • /
    • 2018
  • Salinity is a major abiotic stress that adversely affects crop productivity and quality. In this study, the metabolic profile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rice in response to NaCl were analyzed. The plants were exposed to stressed or unstressed conditions, and their metabolic changes were examined in the shoots, roots, and grains collect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The levels of nutrients and anti-nutrients, including proximates, amino acids, fatty acids, minerals, vitamins, and phytic acid, were also determined for the grains. Application of NaCl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hoot and root growth and induced metabolic alterations at the tillering stage. During the heading stage, only the root metabolites were influenced by NaCl, and no metabolic variations related to salinity were found in the shoot, roots, and grains at the ripening stage. Nutritional analysis of the grain samples revealed that the amounts of linolenic acid and tricosanoic acid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ile those of copper, sodium, and phytic acid were enhanced in response to stress. However, except for sodium, those differences were not great. Our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NaCl-salinity influences the phenotypic and metabolic profiles of rice shoots and roots at the tillering stage, this impact becomes negligible as tissue development proceeds. This is especially true for the grains. Compositional analysis of the grains indicated that salinity induces some changes in fatty acids, minerals, and anti-nutr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