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ate content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산 대두의 열처리에 의한 피트산과 무기성분의 함량변화 (Changes of Phytic acid and Minerals by Heat Treatment in Korean Soybeans)

  • 김선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5-83
    • /
    • 1989
  • In this study, effect of heat treatment on phytic acid, phosphorus compounds, and minerals in Korean soybean varieties was investigate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wo: 1. In the soybeans tested, protein content ranged from 34.6 to 44.6%, lipid content from 15.4 to 20.2%, fiber content from 4.8 to 6.1% and ash content from 4.5 to 5.9%. 2. Content range for phytic acid in soybean varieties was 1,300 to 1,542mg/100g and its mean was measured 1,392mg/100g. With increasing of the temperature, the phytic acid tends to be destroyed, especially at 6$0^{\circ}C$ the loss was averaged about 20%. 3. Total phosphorus content in soybean ranged from 607 to 681mg/100g and the decending order of phosphors content in soybean varieties was Millyang > Hwangkeum > Kwangkyo > Danyoup > Hill > Jangyoup. It was also destroy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4. Phytate phosphorus content range in soybean was from 315.6 to 318.0mg/100g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5. Inorganic phosphorus content ranged from 95.5 to 110.0mg/100g and it was increased by temperature rising among soybean varieties. 6. Phytate phosphorus to total phosphorus ratio ranged from 5.2 to 5.7 and decreased by temperature rising. 7. The content of nonphytate phosphorus varied widely between soybean varieties and decreased with temperature increase. 8. The content of calcium, iron and magnesium ranged from 15.7 to 25.7mg/100g from 8.8 to 16.8mg/100g and from 121.9 to 143.6mg/100g respectively. The content of Mg showed small difference among soybean varieties. The change of mineral content with heat treatment in soybean did not give any meaningful change mineral content.

  • PDF

가수분해도가 상이한 현미 가수분해물에서 Leuconostoc mesenteroides KC51 균주 발효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Brown-Rice Suspension Prepared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KC51 Strain)

  • 인만진;오남순;김동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1118-1123
    • /
    • 2009
  • 쌀을 이용한 새로운 probiotic food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호화시킨 현미 현탁액에 $\alpha$-amylase, $\alpha$-amylase와 glucoamylase를 처리한 후 동결 건조하여 가수분해도가 상이한 현미 분해물을 제조하였다.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인 Ln. mesenteroides KC51 균주를 4%(w/w) 현미 분해물 현탁액에 진탕배양하면서 현미의 가수분해도가 산의 생성, 균의 생육과 phytate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동시에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현미 분말 현탁액을 대조군으로 비교하였다. 배양액의 pH는 현미의 가수분해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alpha$-amylase와 glucoamylase로 분해한 경우 접종 후 15시간에 pH 3.41로 급속히 감소하였다. 이때 배양액에 젖산과 초산이 각각 0.327%와 0.200% 함유되어 있었다. 적정산도의 변화도 pH의 변화와 유사하게 가수분해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모든 현미의 분해물에서 Ln. mesenteroides KC51 균주는 접종 후 6시간에 $4.0\sim7.2{\times}10^8$ CFU/g 수준까지 증가한 후 생육에 큰 변화는 없었으나 대조군에서는 접종 9시간 후 생균수가 다소 감소하였다. 항영양인자인 phytate의 함량은 현미가수분해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alpha$-amylase와 glucoamylase로 분해하여 가수분해도가 가장 높은(48.2%) 경우 phytate의 약 50%가 분해되었으며 $\alpha$-amylase로 처리하여 가수분해도가 낮은(22.5%) 경우에서는 거의 분해되지 않았다. Ln. mesenteroides KC51 균주 배양액의 저장성은 $4^{\circ}C$에서 14일간 저장 후 pH와 적정산도, 생균수는 거의 유사하였다.

품종별 유채박 단백질의 추출에 관한연구 (Studies on the Extraction of Rapesedd Protein from Some Species)

  • 강동섭;이장순;강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5-320
    • /
    • 1990
  • Studies on protein and antinutritional factors of rapeseeds are ncessary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defatted rapeseed meal. Proteins were extracted from seeds of several species of rape-seeds and analyzed by SDS-PAGE and the contents of glucosinolate and phytate were determi-ned. One percent solution extraction and extraction yield was relatively higherfor B. campestris and B. juncea than for other species. SDS-PAGE revealed that rapeseeds of most species were rich in low molecular weight proteins and that in particular the roteins of B. napus var. Halla and B. juncea were composed of simpler subunits as compared with other species. The content of glucosinolate was around 10mg/g of defatted meal for B. juncea however for var. Halla it was 7.26mg/g of defatted meal and 0.46mg/g of protein concentrate which were the lowest values. The level of phytate was between 2.7 and 4.6% for all species tested. Our results indicate thT B, napus var. Halla is the desired species for the utilization of rapeseed proteins.

  • PDF

저장에 따른 대두의 이화학적 변화와 발아 특성 조사 (Chang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prouting Characteristics of Soybean seed for Storage)

  • 김수희;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0-32
    • /
    • 1993
  • '89, '90, '91년산 장엽대두를 냉장보관하면서 저장에 따른 그 품질과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총당함량과 Phytate 함량은 수확시기와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질소용해도 계수(NSI)는 98.42%에서 89.92%로 저장기간이 길수록 감소하였다. 대부분의 amylogram viscosity 특성은 '89년과 '90년산은 거의 유사하였으나 '91년산은 더 높은 최고점도와 break-down을 나타내었다. 콩나물의 수율은 '89년산이 334.8%로 가장 낮았고 발아율도 57.4%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Effects of Dietary Non-phytate Phosphorus Levels on Egg Production, Shell Quality and Nutrient Retention in White Leghorn Layers

  • Panda, A.K.;Rao, S.V.Rama;Raju, M.V.L.N.;Bhanja, S.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8호
    • /
    • pp.1171-1175
    • /
    • 2005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28 to 44 weeks) to study the laying performance, shell quality, and nutrient retention of White Leghorn layers fed different levels of non-phytate phosphorus (NPP). Six levels of NPP (0.15, 0.18, 0.21, 0.24, 0.27 and 0.30%) at a constant calcium (Ca) level (3.5%) in maize-soya-deoiled rice bran based diets were formulated, and each experimental diet was offered ad libitum for 16 weeks to five replicates with five birds in each replicate. The body weight of WL layers fed diet containing 0.15% NPP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ose fed diet with 0.30% NPP, at 44 weeks of age. However, the hen day egg production, egg weight, daily feed intake and feed consumed per dozen eggs were not influenced by the variation in the NPP levels in the diet. The bone ash content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birds fed 0.30% NPP as compared with those fed diets up to 0.24% NPP. Bone ash content was intermediate in the birds fed diet containing 0.27% NPP. The tibia strength followed the same trend as that of bone ash. Dietary NPP content had no influence on serum Ca and protein concentration and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However, serum inorganic P concentration increased linearly with NPP content in the diet. The concentration of P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birds fed 0.27% NPP or higher as compared with those fed 0.15% NPP. Levels of dietary NPP had no influence on egg quality parameters like shell wt, shell thickness, shell strength and specific gravity. The retention of nutrients such as DM, N and Ca were comparable among the WL layers fed different levels of NPP. However, the retention of P decreased linearly with increase in the level of NPP in the diet. The retention of P in the birds fed diets up to 0.24% NPP in the diet was comparable, however further increasing the content of NPP (either 0.27% or 0.30%) reduced the retention of P.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0.15% NPP (180 mg/b/d) in the diets of WL layers is adequate for optimum production performance during 28 to 44 weeks of age, however, WL layers require 0.27% NPP (324 mg /b/d) in the diet for optimum production with better bone mineralization.

Effect of Supplementing Microbial Phytase on Performance of Broiler Breeders Fed Low Non-phytate Phosphorus Diet

  • Bhanja, S.K.;Reddy, V.R.;Panda, A.K.;Rao, S.V. Rama;Sharma, R.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9호
    • /
    • pp.1299-1304
    • /
    • 2005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production performance of broiler breeder females (25 to 40 weeks of age) fed either reference diet or low non-phytate phosphorus (NPP) diet with or without microbial phytase (500 FYT/kg) supplementation. A weighed (160 g/b/d) quantity of feed from each diet was offered daily to 40 replicates of one bird each housed in California type cage having individual feeders. Each cage was considered as a replicate. A continuous 16-h light per day was provided using incandescent bulbs. Body weight, egg production, egg weight, feed per egg mass, egg specific gravity, egg breaking strength, shell thickness, tibia ash and serum Ca and protein concentrations were not affected by reducing the NPP level from 0.30 to 0.18% in the broiler breeder diet. Supplementation of phytase (500 FYT/kg) enzyme to the diet containing 0.18% NPP had no added advantage on any of the above production parameters. The serum inorganic P wa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by either enhancing the NPP content from 0.18 to 0.30% or supplementing phytase @500 FYT/kg to the diet containing low P which were found comparable. Retention of Ca and P was positive on all the diets. P retention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 either increase in NPP content or phytase supplementation in the diet. Neither NPP nor phytase supplementation influenced bone mineralization in terms of tibia ash and strength. The hatchability was not influenced by either increasing the NPP content or supplementing the enzyme phytase. Similarly, the P concentration in the egg yolk and day old chick, day old and 14th day body weight and leg score was not altered by increasing the level of NPP or supplementing phytase enzyme. The mortality was within the normal limits in all the three dietary groups.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0.18% NPP (288 mg NPP intake/b/d) in the broiler breeder' diet is adequate in sustaining the optimum performance from 25 to 40 wks of age. Enhancing the NPP content or supplementation of phytase (500 FYT/kg diet) to diet containing 0.18% NPP had no added advantage on performance.

감마선 조사된 대두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amma-Irradiated Soybeans)

  • 이현자;김정옥;육홍선;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58-565
    • /
    • 1996
  • 감마선 조사된 대투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서 일반성분 지방산 조성 및 무기질 성분은 모든 조사선량에서 변화가 없었으며, 질소 용해도파 추출성 phents 및 phytate 함량은 5 kGy까지의 조사군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10 kGy와 20 k0y의 고선량 조사군에서는 다소의 영향이 화인되었으며, 1년 저장후에는 모든 시험군에서 감소현상을 보였다. 산가 및 유기산 함량도 2.5 kGy 조사군까지는 비조사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5kGy 이상 조사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1년 저장 후 모든 시험군에서 증가함을 보였다. 조사된 대두의 총 아미노산 함량과 조성은 10 kGy 선량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10kGy 이상의 조사군에서 cysteine과 methionine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대두 색도는 감마선 조사선량의 증가와 저장기간의 경과로 명도와 황색도의 감소가 적색도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 PDF

The Effects of Phytase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Fed Diets With Different Levels of Non-Phytate Phosphorus

  • Lim, H.S.;Namkung, H.;Um, J.S.;Kang, K.R.;Kim, B.S.;Paik, I.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2호
    • /
    • pp.250-257
    • /
    • 2001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hytase supplementation to the diet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non-phytate phosphorus (NPP). A $3{\times}2$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was employed. There were three dietary NPP levels of control (C) (0.45% for starter diet and 0.35% for grower diet), C-0.1% NPP (0.35% for starter diet and 0.25% for grower diet), and C-0.2% NPP (0.25% for starter diet and 0.15% for grower diet) and two phytase levels (0 and 500 U/kg). Reduced dietary NPP decreased feed intake and weight gain and increased mortality whereas dietary phytase increased feed intake and weight gain and decreased mortality. Supplemental phytase improved availabilities of dry matter, crude fat, ash, P, Zn, Mg, and Cu whereas dietary NPP level did not affect availabilities of nutrients except decreased Zn availability and increased Cu availability in reduced NPP diets. Nutrient retention of N, ash, Ca, P, Mg, and Zn were linearly decreased as dietary NPP levels reduced but dietary phytase increased their retention. Reduced dietary NPP increased ash excretion but decreased P and Cu excretion while dietary phytase decreased N excretion. Weight, length, girth and contents of ash, Ca, P and Mg of tibia linearly decreased as dietary NPP levels reduced. Dietary phytase increased length and ash content of tibia. It is concluded that dietary phytase can reduce P excretion and alleviate adverse affects caused by feeding low dietary NPP. Effects of phytase were greater in the lower NPP diets.

Chelate 법(法)에 의(依)한 Phytin 분석(分析)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nalysis of phytin by the Chelatometric method)

  • 신재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0권
    • /
    • pp.1-13
    • /
    • 1968
  • phytin은 phytic acid의 금속염(金屬鹽)(주(主)로 Ca 와 Mg)임으로 그중(中)의 P,Ca 및 Mg를 정량(定量)하면 순도(純度)를 알 수 있고, 또 분자식(分子式)을 추정(推定)할 수 있다. 저자(著者)는 phytin 중(中)의 P,Ca 및 Mg를 정량분석(定量分析)하는 새로운 방법(방법)으로 서 phytin을 건식(乾式) 분해(分解)하고 ion 교환수지(交換樹脂)로 처리한 다음 Chelate 법(法)으로 정량(定量)하는 방법(方法)을 확정(確定)켰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phytin 분석(分析)의 전처리과정(前處理課程)으로서는 phytin을 conc. $HNO_3$로 적시면서 $550{\sim}660^{\circ}C$에서 회화(灰化)하는 건식분해법(乾式分解法)을 썼다. 이 방법(方法)은 습식분해법(濕式分解法)보다 분석결과(分析結果)가 정확(正確)하다. 2) phytin을 건식분해(乾式分解)한 시료(試料)를 가지고 종래법(從來法)과 새로운 분석법(分析法) (본법(本法))에 의하여 P,Ca 및 Mg를 정량(定量)하였으며, 본법(本法)은 다음고 같다. phytin 회분(灰分 HCl 용액(溶液)을 양(陽) ion 교환수지(交換樹脂)로 처리하여 양(陽) ion 구분(區分)과 음(陰) ion 분리(分離)하고 양(陽) ion 구분(區分)의 일부(一部)를 pH 7.0로 한다음 완충액(緩衝液)($NH_3-NH_4Cl$으로 pH 10으로 하고 BT 지시약(指示藥)을 써서 표준(標準) EDTA 용액(溶液적정(滴定)하여 Ca와 Mg의 합계치(合計値)를 얻었다. 또 양(陽) ion 구분(區分)의 일부(一部)를 pH 7.0로 하고 표준(標準) EDTA 용액(溶液)을 소량(少量)넣고 8N-KOH로 pH $12{\sim}13$으로 하고 N-N 희석분말(稀釋粉末)을 지시약(指示藥) 으로써 표준(標準) EDTA 용액(溶液)으로 적정(滴定)하여 Ca 치(値)를 얻었다. Ca와 Mg의 합계결정치(合計決定値)와 Ca 적정치(滴定値) 차(差)로 Mg 치(値)를 얻었다. 음(陰) ion 구분(區分)으로부터 상법(常法)에 의하여 $MgNH_4PO_4$의 침전(沈澱)을 만들어서 HCl에 녹키고 일정량(一定量)의 표준(標準) EDTA 용액(溶液)을 넣어 pH 7.0로 한다음 완충액(緩衝液)으로 pH 10으로 하고 BT 지시약(指示藥)을 써서 표준(標準) Mg $SO_4$용액(溶液)으로 적정(滴定)하여 P 치(値)를 얻었다. 본법(本法)으로 Na-phytate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Na-phytate의 분자식(分子式)을 $C_6H_6O_{24}P_6Mg_4CaNa_2{\cdot}5H_2O$라고 하였을 때의 이론치(理論値)에 비(比)하여 P가 98.9% Cark 97.1%, Mg가 99.1%이고 통계처리(統計處理)한 결과분석치(結果分析値)와 이론치(理論値)는 잘 일치(一致)된다. 그러나 종래법(從來法)에 의(依)한 분석치(分析値)는 이론치(理論値)에 비(比)하여 P가 92.40%, Cark 86.80%, Mg가 93.80%로서 이론치(理論値)와 일치(一致)하지 않는다. 3) Na-phytate를 전분(澱粉)과 일정(一定)한 비(比)로 혼합(混合)하고 본법(本法)으로 P,Ca 및 Mc를 정량(定量)한 결과(結果) 이들의 회수율(回收率)은 거의 100%이었다. 4) 본분석법(本分析法)의 정확성(正確性)을 재확인(再確認)하기 위하여 phytic acid 수용액(水溶液)에 $CaCl_2$수용액(水溶液)을 phytic acid 1M:$CaCl_25M:McCl_220M$의 비(比)로 반응(反應)서키어서 Ca 1 원자(原子), Mg 4원자함유(原子含有)된 Na-phytate를 합성(合成)하였으며 이것의 P,Ca 및 Mg 분석치(分析値)와 의(依한) 조제(調製) Naphytate의 분석치(分析値)와 일치(一致)되었다. 이상(以上)과 같이 phytin 시료(試料)를 건식분해(乾式分解)하고 ion 교환수지(交換樹脂)로 처리(處理)한 다음 Chelate 법(法)으로 P,Ca 및 Mg를 정량(定量)하는 본법(本法)은 정확(正確)하고 신속(迅速)한 phytin의 새 분석방법(分析方法)이라고 사료(思料)되는 바이다.

  • PDF

수침처리가 밀기울의 피틴태 인 함량과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ydrothermal Treatment of Wheat Bran on Phytate-P Content and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 김병한;백인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229-240
    • /
    • 2003
  • 밀기울의 수침처리가 밀기울 내 phytase에 의한 피틴태 인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in vitro 실험을 실시하였고, 육계사료에 밀기울을 첨가 하였을 때 밀기울에 들어 있는 phytase가 육계 생산성 및 P 이용률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5주간의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침처리는 배양온도 55$^{\circ}C$와pH 5.5 완충용액에서 배양액과 밀기울의 비율 및 배양 시간을 달리하고, 배양 후 55, 65와 75$^{\circ}C$에서 건조 시켰다. 피틴태 인 함량 감소(phytic acid 분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밀기울과 완충용액의 비율로 밀기울:완충용액 비율이 증가할수록 곡선적(quadratic)으로 피틴태 인 함량이 감소 하였으며 1:5 전후가 효율적이었고 배양시간은 10분 이상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건조온도(55$^{\circ}C$, 65$^{\circ}C$와 75$^{\circ}C$)와 완충용액의 pH(5.5 및 7.0)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양 실험은 갓 부화한 240수의 병아리(Ross®)를 24 cage에 10수씩 공시하여 4처리 6반복(처리별 암수 각 3반복)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처리구 들은 대조구; 정상수준의 nonphytate-P(NPP)구, LP구; 저 NPP구로 대조구보다 0.1% 낮음, LPWB구; 저 NPP구(LP)에+밀기울로 475IU phytase 공급, LPHWB구; LP+수침 후 건조 처리한 밀기울을 LPWB와 동량 공급한 구 등이었다. 실험 결과 증체량에 있어서 전기(1~21일)의 경우 타 처리구들에 비해 LP구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육성기(22-5일)와 전 기간에 있어서는 LP구의 웅추만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전 기간동안 LPWB구와 LPHWB구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전 기간동안 사료 섭취량은 LPWB는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LP구는 LPHWB보다 그리고 LPHWB구는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사료 요구률은 LPHWB와 LP구가 대조구와 LPWB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폐사율은 LPHWB구에서 가장 높았다. 영양소 이용률에 있어서 LP구가 조지방, 조회분과 Ca 이용률이 타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Fe이용률 만은 가장 높았다. P, Mg 및 Zn의 이용률은 LPWB 및 LPHWB구가 대조구나 LP구 보다 높았다. P 배설량은 대조구에 비해 저 NPP구들이 낮았으나 저 NPP구들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혈청 내 Ca 함량은 LP구가 가장 높았고 P 함량은 LP구가 가장 낮았다. 경골 내 조회분 함량은 밀기울 처리들에서 높았지만 Ca 함량은 대조와 LP구가 높았다. P 함량에선 LP가 LPWB보다 낮았다. Fe 함량은 LP구가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밀기울의 피틴태 인 감소에 수침처리 조건으로 밀기울과 완충용액의 비율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데 밀기울에 대한 완충용액의 비율이 증가함으로써 피틴태 인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1:5 전후가 효율적이었고 저 NPP사료에 밀기울을 phytase 공급원으로 사용 시 육계의 생산성 감소를 방지하고 P의 배설량을 줄일 수 있다. 밀기울의 수침처리는 광물질 이용률 향상에 다소 도움이 되나 생산성 향상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