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ate content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8초

분리 대두단백의 용해도와 소화율에 미치는 Phytate의 영향 (Effect of Phytate on the Solubility and Digestibility of Soy Protein Isolates)

  • 조희환;윤재영;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86-290
    • /
    • 1991
  • 대두의 영양 저해인자로 알려진 phytic acid를 pH를 조절하는 각기 다른 방법으로 제거할 low-phytate soy protein isolate(SPI)와 high-phytate SPI를 얻어 이들 분리 대두단백의 용해도와 소화율에 미치는 phytic acid 함량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분리 대두단백의 phytic acid 함량은 high-phytate SPI에서 2.48%이었고, low-phytate SPI에서는 0.72%이었다. 분리 대두단백의 용해도는 모든 pH에서 low-phytate SPI가 high-phytate SPI 보다 높았으며 phytic acid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용해도가 떨어져 침전되었다. 분리 대두단백의 소화율에 미치는 phytic acid의 저해적 영향은 phytic acid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더 컸으며, low-phytate SPI 보다 high-phytate SPI에서 그 저해효과가 약간 크게 나타났다.

  • PDF

콩의 폴리페놀, 피테이트 함량과 항산화능과의 관계 (Polyphenol and Phytate Contents and Their Relationship to Antioxidative Activity in Soybeans)

  • 김미정;송영주;김혜란;이석룡;석대은;김세나;김미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75-980
    • /
    • 2009
  • In this study we evaluated polyphenol contents, phytate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DPPH radical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several soybean cultivars. The polyphenol contents of the cultivars ranged from 0.0446 mg/g to 0.0652 mg/g, with the highest level found in the WS82 cultivar, whereas and the lowest in Duyukong. The phytate content of the WS2906 cultivar was the highest at 22.28 mg/g whereas Duyukong showed the lowest level. $IC_50$ values (concentration of soybean extract exerting 50% scavenging of radicals) for DPPH radical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the highest in WS82.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s was observed in the soybean cultivars, whereas not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ntioxidant activity and phytate content was found.

  • PDF

들깨(Perilla ocimoides L.)종자(種字)의 단백질(蛋白質) 분리(分離)에 따른 Phytate와 질소(窒素)의 용해도(溶解度) (The Solubility of Nitrogen and Phytate According to the Isolation of Perilla Seed Protein)

  • 윤형식;이재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4호
    • /
    • pp.321-326
    • /
    • 1989
  • 탈지들깨종자박의 질소용해도는 $pH\;4.0{\sim}5.0$에서 최저수준을 보였으며, pH11.0에서는 92.3%로 최고용해도를 나타내었다. Phytate의 용해도는 pH 4.8에서 최고수준을 나타내었으며 $pH\;8.0{\sim}11.0$에서는 $9.4{\sim}8.3%$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원심력이 추출액 중의 질소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는 미미하였으나 phytate의 양과 혼탁도는 원심력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다가 8,000 rpm 이상에서 거의 일정수준을 유지하였다. 추출온도의 상승$(5{\sim}60^{\circ}C)$에 따라 종자박의 졸소 및 phytate의 용해도는 증가하였으나 증가폭은 미미하였다. pH 0.5에서 $CaCl_2$의 첨가는 phytate의 용해도를 크게 감소시켰는데 $50mM\;CaCl_2$ 용액에서는 거의 0%에 가까운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들깨종자 분리단백질의 질소 및 phytate의 용해도는 pH의 상승에 따라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pH 11.1에서 10mM $CaCl_2$ 첨가는 phytate의 용해도를 80.5%에서 약 10%로 감소시켰다. 탈지들깨종자박의 조단백질과 phytate 함량은 각각 60.1%와 5.0%였으며, 분리단백질은 각각 89.6%와 1.1%였다.

  • PDF

참깨박에 함유된 Phytate와 Phenol 화합물의 제거가 단백질의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uction of Phytate and Phenol Compound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Protein Concetrate)

  • 김진;박정룡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9-137
    • /
    • 1993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reduction of phytate and phenol compound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protein concentrate. The concentrates were prepared by using dist-water, HCI and butanol. The content of phytate and phenol compound in defatted sesame meal were 4.55% and 3.42% respectively. Considerable amount of phytate was reduced by using HCI, and butanol was effective in removing phenol compounds, Higher bulk density and fat absorption were found in sesame protein concentrate prepared by butanol but higher water absorption was found in the concentrate prepared by dist-water. Also, emulsifying and foaming properties were improved by butanol treatment.

  • PDF

국산 장려콩으로 만든 두유의 Mineral, Oxalate 및 Phytate 함량과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ineral, Oxalate and Phytate Contents of Soymilk Manufactured by Recommended Soybean Cultivars in Korea)

  • 김기찬;황인국;김현영;송항림;김홍식;장금일;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49-1155
    • /
    • 2010
  • 국산 콩으로 제조한 두유의 품질특성과 무기성분, oxalate 및 phytate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유의 수율 및 고형분 함량은 각각 8.43(보광콩)~9.15 mL/g(봉의콩과 한남콩) 및 $4.37^{\circ}Brix$(안평콩)~$7.17^{\circ}Brix$(봉의콩) 범위로 나타났으며, pH와 총산도는 각각 6.43~6.86 및 1.48~1.65% 범위를 나타내었다. 점도는 15.73(다원콩)~20.80 cP(한남콩) 범위를 나타내었다. 색도는 검은색 외피를 갖고 있는 청자콩, 다원콩, 선흑콩 및 검정콩4호로 만든 두유의 L값이 작았고 a값은 크게 나타났다. Calcium 함량은 0.714(금강콩)~1.589 mg/g(선흑콩) 범위였으며, oxalate 함량은 0.24(안평콩)~2.14 mg/g(한남콩), phytate 함량은 0.63(호장콩)~2.18 mg/g(안평콩) 범위였다. Calcium/oxalate 함량 분포에서 oxalate 함량이 calcium보다 넓은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phytate/ oxalate 간에는 phytate가 넓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콩에서 두유로의 oxalate 전이율은 13.6(안평콩)~77.6%(진품콩2호) 범위였으며, phytate는 13.9~87.5%로 동북태가 가장 높았고 호장콩이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국산 장려 콩을 이용하여 두유를 제조할 경우 phytate의 전이율이 높고 oxalate의 전이율이 낮은 봉의, 안평콩 및 보광콩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Changes in Oxalate and Phytate Concentrations During Soymilk Processing from the Seeds of Korean Soybean Cultivars

  • Jang, Keum-Il;Yoon, Gun-Mook;Kim, Hong-Si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1122-1127
    • /
    • 2008
  • A high dietary oxalate intake may lead to calcium oxalate (CaOx) kidney stone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Most soy foods contain high concentrations of oxalate and/or phytate.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oxalate (Ox), phytate ($InsP_6$), and calcium (Ca) during soymilk processing from the seeds of Korean recommended soybean cultivars (cvs). The contents of Ox, $InsP_6$, and Ca in 21 cvs ranged from 14, 108, and 148 to 231, 279, and 246 mg/100 g of dry seed, respectively. Seven cultivars were selected from the 21 cvs by the distributions of Ox, $InsP_6$, and Ca. Then, each contents of soymilk prepared from the 7 cvs were determined. All contents were lower in soymilk than in seeds, but the Ox to $InsP_6$ ratios changed from varying ratios (0.1-0.8) to normal ratios (0.8-1.0) in all cvs except 'Paldalkong'. Consequently, during soymilk processing, the Ox content was decreased and the $InsP_6$ content was remained higher than the Ox content although the Ox was likely to be less reductive than the $InsP_6$. These results may provide better information for minimizing the risk of formation of Ox kidney stones due to consumption of soy products.

분리 유채단백의 전기영동 패턴에 미치는 Phytate의 영향 (Effect of Phytate on the Electrophoretic Behavior of Rapeseed Protein Isolate)

  • 조희경;윤재영;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84-288
    • /
    • 1992
  • 영양 저해인자로 알려진 phytate를 제거한 분리 유채단백(low-phytate rapeseed protein isolate)을 제조하여 유채단백질과 phytate와의 결합양상에 미치는 pH 및 phytate 첨가량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SDS-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법을 수행하였다. 가용화된 분리 유채단백은 pH2.0과 pH5.0에서 phytate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가용성 단백질 band의 수가 감소하였으며 pH11.5에서는 band의 변화가 없었다. pH2.0에서 대조군의 18개 band중 7개의 band(105.8, 52.3, 37.3, 34.8, 26.3, 21.3, 18.4KDa)가 100 mg phytate 첨가시 침전되었으며 150 mg 첨가시에는 6개의 band(78.8, 46.5, 19.4, 16.8, 11.7, 8.5KDa)가 더 사라졌다. pH5.0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15개의 band중 4개의 band(34.8, 21.3, 18.4, 16.8KDa)만이 phytate 첨가시 침전되었다. 따라서 유채단백을 식품소재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phytate 함량을 낮춤으로써 그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A NOTE ON THE REMOVAL OF PHYTATE IN SOYBEAN MEAL USING Aspergillus usami

  • Ilyas, A.;Hirabayasi, M.;Matsui, T.;Yano, H.;Yano, F.;Kikishima, T.;Takebe, M.;Hayakaw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8권2호
    • /
    • pp.135-138
    • /
    • 1995
  • Soybean meal was fermented by Aspergillus usami in order to reduce phytate content. Aflatoxin B1 was not detected in the fermented soybean meal.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crude fiber, ether extract and crude ash were slightly increased following fermentation with a concomitant reduction in nitrogen free extract. Though the fermentation partly degraded proteins in the soybean meal, there was small difference in amino acid composition between the soybean meal and the fermented soybean mea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rmentation did not affect nutritional value of protein in soybean meal. Approximately 55% of phosphorus extracted by trichloroacetic acid was inositol hexaphosphate (phytate) in the soybean meal. The content of inositol tetra to hexaphosphates was not detected in the fermented soybean mea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ermentation almost completely eliminated phytate in soybean meal. Phytase activity was not detected in the unfermented soybean meal. However, the enzyme activity in the fermented soybean meal was 167.7 U/g. When the fermented soybean meal in supplemented in formula feeds, phytase in the fermented soybean meal might partly degrade the phytate in other ingredients in the digestive tract. The fermented soybean meal is possibly used as a phytate-free protein source of feed, which contains high available phosphorus.

국산 장려콩으로 만든 두부의 Mineral, Oxalate 및 Phytate 함량과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ineral, Oxalate and Phytate Contents of Tofu Manufactured by Recommended Soybean Cultivars in Korea)

  • 김기찬;황인국;김현영;송항림;김홍식;장금일;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986-991
    • /
    • 2010
  • 국산 콩으로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과 원료 콩과 두부에서의 oxalate와 phytate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부의 수율 및 수분함량은 각각 137.77~201.91% 및 74.42~80.01% 범위로 나타났으며, 색도는 검은색 외피를 갖고 있는 청자콩, 다원콩, 선흑콩 및 검정콩4호가 L값은 53.05~63.23, a값은 3.18~5.85 및 b값은 3.28~6.02로 다른 품종들에 비해 L값은 감소하였고 a값은 증가하였다. 두부의 hardness, cohesiveness, elasticity는 품종에 따라 각각 537.36~1696.05 g, 0.20~0.37 및 2.27~3.76으로 차이를 보였다. 두부의 calcium 함량은 0.586~1.488 mg/g 범위였으며, oxalate 함량은 0.01~0.40 mg/g 범위에서 검정콩4호로 조제된 두부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phytate는 0.01~0.41 mg/g으로 다원콩으로 만든 두부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콩에서 두부로의 oxalate 및 phytate의 전이율은 각각 0.31~19.70 및 0.41~19.70%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산 장려콩을 이용하여 두부를 제조할 경우 phytate의 전이율이 높고 oxalate의 전이율이 낮은 한남콩, 다원콩 및 보광콩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산 평지 종실 단백질의 Phytate 제거에 관한 연구 -제1보. 평지 종실 단백질과 Phytate 의 용해도에 대한 pH와 염류의 영향- (Studies on the Removal of Phytate from Korean Rapeseed(Brassica napus, L) Proteins -Ⅰ. Effects of pH and Salts on Protein and Phytate Solubility of Defatted Rapeseed Flour-)

  • 허채옥;양차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2호
    • /
    • pp.212-218
    • /
    • 1986
  • pH를 달리한 수용액 및 농도를 달리한 염류수용액에서 평지 종실의 단백질과 phytate의 용해도를 측정하여 단백질로부터 phytate를 제거할 수 있는 조건을 검토하였다. 1. 평지종실의 단백질과 phytate의 용해도에 미치는 pH의 영향을 측정한 결과 단백질의 용해도는 pH 5.0에저 가장 은 20.9%로 등전점을 보였고, 그 보다 산성 또는 알칼리 쪽으로 갈수록 그 용해도가 증가되어 pH 11.5에서 94.%로 가장 높았다. Phytate의 용해도는 pH 6.0에서 가장 높았으며 (61.0%) 알칼리 쪽에서 더 급격히 감소되어 pH 11.5에서는 그 용해도가 1.3%였다. 2. 단백질과 phytate의 용해도에 미치는 염류의 영향을 보면 NaCl 수용액을 처리하였을 때 단백질의 용해도는 $pH\;6.0{\sim}8.0$ 이상에서 높은 값을 보였고, 염의 농도별 차이는 크지 않았다. Phytate의 용해도는 pH 6.0이하에서는 높았으나 그 이상의 pH에서는 급격히 감소되어 pH 8.0 이상에서 6.0% 이하로 떨어졌다. $CaCl_2$ 수용액 처리에서는 단백질 용해도가 $pH\;6.0{\sim}8.0$ 부근에서 최대치를 보이나 전 pH구간에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Phytate의 용해도는 $pH\;3.0{\sim}4.0$ 부근에서 최대치를 보이고 그 이상의 pH에서는 급격히 감소되어 $pH\;5.0{\sim}6.0$에서 7% 이하로 떨어졌다. 그리고 염의 농도가 높을수록 더 낮은 pH에서부터 감소를 보였다. $Na_2SO_3$ 처리에서 단백질의 용해도는 pH가 높아짐에 따라 계속 증가되어 pH 11.5에서 84% 이상이었고 phytate의 용해도는 $pH\;5.0{\sim}8.0$의 부근에서 최대치를 보이며 농도가 높을수록 더 높은 pH에서 최대치가 나타났다. 염의 농도에 따라 알칼리 쪽에서의 감소 양상이 달라졌다. 3. 저(低) $Ca^{2+}$이온 처리에서 phytate의 용해도는 pH 7.0 이상에서 $Ca^{2+}$이온의 농도별로 별차이 없이 낮았고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서 더 낮은 pH에서 최대치를 보였다. 단백질의 용해도는 pH 11.5에서 보면 $1mM\;Ca^{2+}$이온 농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증류수 또는 $1mM\;Ca^{2+}$수용액을 용매로 하여 pH 11.5에서 단백질을 추출하고 pH 5.0에서 침전시킬 때 평지종실단백질로부터 Phytate를 제거하는 효과가 가장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