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ological demand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초

한의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구축에 관한 연구 (Study on Korean Medicine Personal Health Record Platform)

  • 서진순;김안나;김상현;이승호;남보령;이명구;장현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58-465
    • /
    • 2016
  • The information relating to the health of person has been increasing. The information is such as medical information and personal health record and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utilization and dissemination of mobile devices. Therefore, the interest and demand for systems that can integrate and manage the Personal Health Record(PHR) is increasing. Quantity and quality of information that is collected from the patient can have a major impact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Korean Medicine(KM) in clinical practice. Because closely observe the usual clinical symptoms of patients to utilize the treatment. But if the interview when memories are not sure of the correct answer does not get much easier to find exactly the symptoms. So when recording original symptom(素證) and daily subjective symptom can be helpful for care. Therefore, the personal health care services that can record and manage and own is necessary based on KM. In this paper, we propose Korean Medicine Personal Health Record Platform(KM PHR Platform). We have selected the significant symptoms that mean to the personal records from symptom information required for diagnosis in KM. And classifying and scoring as the symptoms were used as personal health care indicators. And significant symptoms were easily configure a screen that can be recorded. simple operation is recorded as a symptom. It was designed to reflect these functions. So KM PHR Platform helps to Personal health care. Doctor may be able to help in the diagnosis and prognosis observation by reference to shared symptom. We look forward to a variety of health services based on KM using a symptom, a medical record, personal health device information.

國內詞育 원숭이의 血淸 LDH의 總活性値와 isoenzyme에 관한 硏究 (Studies on the Serum Total Activities and Isoenzyme PAtterns of LDH in Non-Human Primates Reared in Korea)

  • 윤상보;김덕환;서지민;신남식;현병화;김명철;윤효인;박배근;송희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80-389
    • /
    • 2001
  • Non-human primates have been increasing in demand as important experimental animals and companion animal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number of non-human primates for these purposes will be much enhanced in the near future. Despite this trend, basic physiological data are scarcely available in these animal species, leading to the difficulty to diagnose diseases when necessary, due to the absence of reference values. Particularly, there is not any report on the total activity of LDH of non-human primates, let alone LDH isoenzyme patterns, in Korea. LDH isoenzymes have a high level of efficaciousness as diagnostic and prognostic aids in various diseases. In this study, total activities and isoenzyme patterns of LDH were measured to obtain their reference values in domestically reared common marmosets, crab-eating macaques and Japanese macaques. There were widespread different values of serum total LDH among the non-human primate species experimented in this study. Serum LDH values of common marmosets and crab-eating macaques were 597.5$\pm$243.1 IU/l and 605.3$\pm$312.6 IU/l, respectively, whereas those of Japanese macaque showed 1,209$\pm$473.8 IU/l. Five isoenzyme fractions of LDH were observed in all experimented non-human primates but their ranks and proportions represented different patterns one another. In common marmosets, the percent of fraction for serum LDH1, LDH$_2$, LDH$_3$, LDH$_4$, and LDH$_{5}$ was 13.7$\pm$6.4%, 23.3$\pm$3.6%, 29.2$\pm$5.0%, 9.4$\pm$1.4% and 24.4$\pm$7.5%, respectively. The rank of LDH isoenzymes was LDH$_3$>LDH$_{5}$>LDH$_2$>LDH$_1$>LDH$_4$, in the descending order. For crab-eating macaques, the fraction of serum LDH$_1$, LDH$_2$, LDH$_3$, LDH$_4$, and LDH$_{5}$ occupied 19.5$\pm$12.7%, 25.3$\pm$9.3%, 23.8$\pm$8.1%, 10.2$\pm$2.8% and 21.3$\pm$14.2%, respectively. The order of LDH isoenzymes was LDH$_2$>LDH$_3$>LDH$_{5}$>LDH$_1$>LDH$_4$, from top to down. On the while, in Japanese macaques, the fraction of serum LDH$_1$ to LDH$_{5}$ showed 23.4$\pm$11.8%, 30.5$\pm$4.1%, 17.4$\pm$3.9%, 11.3$\pm$3.7% and 13.8$\pm$5.6%, respectively. The decreasing order indicated LDH$_2$>LDH$_1$>LDH$_3$>LDH$_{5}$>LDH$_4$. In conclusion, values such as LDH and LDH isoenzyme patterns of investigated for the first time from non-human primates reaared in Korea, could be reference values for the optimal diagnosis and therapy of diseases of the corresponding animal species. Other parameters of hematology and blood biochemistry are urgently needed to study for the benefit of our intimate non-human primates.an primates.

  • PDF

한국 남부 지역별 돼지 장내 미생물생태 비교분석 (Differences in swine gut microbiota in southern region of Republic of Korea)

  • 김정만;;;운노타쯔야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81-85
    • /
    • 2015
  • 성장촉진제로 항생제 사용이 금지가 된 이후, 가축들의 사망률이 증가되어 항생제 대체제를 개발해야 하는 것이 시급하다. 그러한 대체제 개발에 새로운 접근 중 하나는 숙주의 신체적 기능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진 장내미생물생태를 조절하는 것이다. 하지만 가축의 장내미생물에 대한 이해가 인간과 비교하여 볼 때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장내미생물생태가 지역적 차이가 있음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돼지 분변샘플은 제주(n=40), 광주(n=28), 해남(n=30) 농가로부터 채취하였으며, MiSeq을 이용하여 16S rRNA V4 지역을 시퀀싱하였다. 또한 Mothur 파이프라인을 이용하여 MiSeq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처리하였다. 총 5,642,125 reads를 얻었으며, 에러시퀀스들을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3,868,143 reads가 남았다. Phylum 수준의 taxonomic composition 분석에서는 제주 돼지들이 Firmicutes를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었으며, Operational Taxonomic Units 분포분석에서 또한 지역적 차이에 따라 돼지장내미생물생태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과 Phyla의 풍부함 사이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Actinobacter, Verrucomicrobia, Firmicutes, Fibrobacteres이 세 개의 지역에 있는 돼지들의 장내미생물생태 차이를 나타나게 하는 장내 미생물 요소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한 가축의 장내미생물생태는 농장에서 사용하는 사료와 사양관리에 의해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는 돼지장내미생물생태가 지역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추후에 가축의 장내미생물생태에 관한 연구는 지역적 차이가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될 것이다.

해양세균이 적조형성 생물에 미치는 역할 1. 진해만의 해양세균과 과편모조류의 분포 (The Role of Marine Bacteria in the Dinoflagellate Bloom 1. Distribution of Marine Bacteria and Dinoflagellate in Chinhae Bay)

  • 이원재;김학균;박영태;성희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03-309
    • /
    • 1990
  • 해양세균이 적조형성 생물에 미치는 역할을 알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진해만에 분포하고 있는 세균을 분리동정함과 동시에 과편모조류의 군집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리동정한 총균주수는 251균주로 Flavobacterium spp.가 26균주, Ainetobacter spp.가 18균주였으며 우점종은 계절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한편 광합성세균은 약 $13\%$인 32균주가 분리되었으며, 이들은 Erythrobacter longus, Erythrobacter sp.(J-2) 및 Erythrobarter sp.(J-8)의 3종으로 동정되었다. 과편모조류 군집은 14속 29taxa로 구성되었으며, 출현양은 9월에 4,699cells/m1로 가장 많고 4월에 36cells/ml로 가장 적었다. 우점종으로 8월에 Gymnodinium sangurneum, 9월에는 Prorocentrum micans, P. minimu, 10월에는 Ceratium fussus 그리고 4월에는 Heterocapsa triquetra였다. 한편 8, 9월에는 주로 마산만과 진해만 서부연안에서 적조현상이 발생하였다. 수질부영양지표성분인 DIN과 DIP는 적조발생조건(수질2급기준에 해당)인 $7.14{\mu}g/-at/\iota$$0.48{\mu}g/-at\iota$를 대부분 초과하였으며, COH는 부영양 또는 과영양수역에 해당되었고 하계 저층수에서는 빈산소상태를 나타냈다.

  • PDF

포트 충전용 상토의 물리.화학성이 플라스틱 백 재배를 통해 발생한 '매향' 딸기의 자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oot Substrates on the Growth of 'Maehyang' Strawberry Daughter Plants Produced by Bag Culture of Stock Plants)

  • 최종명;박지영;고관달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2호
    • /
    • pp.199-207
    • /
    • 2010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physiolog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root substrates on the growth of the daughter plants of 'Maehyang' strawberry produced by bag culture. The daughter plants produced by stock plants during bag culture were individually separated and grown in 10-cm diameter plastic pots containing six different formulations of root substrates: a) 50% peatmoss plus 50% vermiculite (5:5 by volume, A), b) 70% peatmoss plus 30% perlite (7:3, B), c) 70% coir dust plus 30% perlite (7:3, C), d) mixture of 35% coir dust, 35% peatmoss, and 30% perlite (3.5:3.5:3.0, D), e) mixture of 20% rice hull, 70% coir dust, and 10% perlite (2:7:1, E), and f) 30% rice hull plus 70% coir dust (30:70, F). The container capacity and air filled porosity of the growing medium varied greatly among the six substrate formulations evaluated. The substrates E and F had less container capacity and higher air-holding spaces than the rest of the formulations. Therefore, these two formulations (E and F) may cause a problem in water management during the production of healthy daughter plants. The substrate formulations A, B, and D retained higher nitrogen (N) concentrations than other formulations containing coir dust or rice hull. The substrate formulations E and F which contained rice hull had lower N, phosphorus (P), and potassium(K) concentrations than other substrate formulations containing coir. The quality of the daughter plants grown in all six different substrate formulations was good with the crown diameters at around 10 mm. Fresh weights of the daughter plants grown in substrate formulations A, C, and D were higher than those obtained from B, E, and F. Dry weights of the daughter plants showed a similar trend. The daughter plants having high fresh and dry weights and increased crown diameter are in demand by the industry. For this reason, the substrate formulations A, C and D can readily be used as potting mixes during the production of 'Maehyang' strawberry transplants utilizing the bag culture system.

복령(茯笭)의 형태(形態) 및 균사배양(菌絲培養)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orphology and the Mycelial Cultivation of Poria cocos (Fr.) Wolf.)

  • 홍인표;이민웅;김광포;이상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4-60
    • /
    • 1991
  • 복령(茯笭)은 약 3500년전부터 한방에서 수종, 임질, 설사, 신경안정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항암효과가 밝혀짐에 따라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복령의 인공재배방법이 개발되지 못하여 수요를 자연량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령을 인위적으로 재배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채집한 복령의 형태적 특성 및 분리균주의 배양학적 특성 특히 영양원과 균사생장과의 관계를 실험하였다. 1. 형태적 특성 : 야생복령의 형태는 구형 또는 고구마형이며, 외피는 흑색으로 주름이 있고 내부는 옅은 오랜지색이며 중심에 진한 오랜지색의 심이 있는 분말상태로 직경은 $10{\sim}30cm$, 개체 중량은 $300{\sim}600\;g$ 정도이다. 분리배양한 균주의 균사 폭은 $4{\sim}8\;{\mu}$ 정도이며 톱밥배지에서 형성된 자실체는 벌집모양과 비슷하며 구멍은 다각형으로 직경은 $0.5{\sim}1mm$, 깊이 $2{\sim}3mm$ 정도이다. 2. 배양학적 특성 : 복령의 생육에 적합한 탄소원으로서는 가용성전분, glucose 및 sucrose 등이며, galactose, lactose는 부적합하였고, 탄소원농도가 1.5%에서 2.5%로 증가해도 균사발육에는 거의 영향이 없었다. 질소원으로는 무기질소원보다 유기질소원이 생육에 양호하였고 유기질소 중에서도 yeast extract, malt extract가 가장 적합하였으며, 질소함량이 0.05%에서 0.1%로 증가함에 따라서 균사생육도 왕성하였다. 한편 탄소원과 질소원의 최적 농도비는 탄소원농도 $7.5{\sim}10%$, 질소원농도 $0.10{\sim}0.15%$ 즉 100배 영역이었다. 나무추출액배지에서의 복령균사 생육은 밤나무추출액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소나무수피추출액배지와 오리나무추출액배지에서 비슷한 균사생육을 보인 반면 참나무추출액배지에서는 균사발육이 매우 저조하였다. 한편 C/N율을 적용하여 탄소원과 질소원을 첨가하여 조제한 배지에서의 균사생육은 영양원 무처리 배지에 비하여 균사생육이 매우 우수하였다.

  • PDF

저관리 도시농업을 위한 벽면녹화 부직포 처리가 식용꽃인 한련화(Tropaeolum majus L.)의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ayers of Non-woven Fabric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Edile Flower Tropaeolum majus L. in the Vertical Greening System for Lower Maintenance Urban Agriculture)

  • 박재현;윤용한;이재만;송희연;주진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45-552
    • /
    • 2019
  • Tropaeolum majus, with a high decorative and food demand for vertical greening systems, has been utilized to revitalize urban agriculture. The effects of number of non-woven fabrics in a non-water environment and the adaptability of T. majus to this system were investigated. Planting ground composition of the container-type wall vertical greening system was made using non-woven fabric in one, two, three, or four lay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il water content remained the highest when the non-woven fabric comprised 4 sheets.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showed more growth with the 4 sheets than with 1, 2, and 3 sheets. In terms of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chlorophyll content was mostly high in the 4 sheets, while shoot fresh weight value was in the order of 3 > 4 > 2 > 1 sheet, and root fresh weight value was in the order of 4 > 2 > 1 > 3 sheets. The dry weight of the measured values in the shoot was in the order of 4 > 3 > 2 > 1 sheet while no clea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oot of each treatment. The difference in the flowring characteristics was not different, but in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as a whole, the growth in the three layers of non-waven fabric was the best. In addition, the soil moisture contents 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groups. Thus, greater the non-woven fabric, the higher is the adaptability of T. majus to dry stress under soil water-free conditions by maintaining soil moisture content. This showed that it represented an effective alternative as a method of vertical greening system for lower maintenance urban agriculture.

육상 기반 해양 폐쇄형 인공생태계를 활용한 해양생태계 위해성 평가: 객관적인 영향 평가 tool 제시 (Marine ecosystem risk assessment using a land-based marine closed mesocosm: Proposal of objective impact assessment tool)

  • 윤성진
    • 환경생물
    • /
    • 제39권1호
    • /
    • pp.88-9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해양생태계 위해성 평가 시 생물학적, 비생물학적 요인에 대한 인공생태계 실험의 초기 안정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육상 기반 해양 폐쇄형 메조코즘(LMCM) 실험을 수행하였다. 변동계수(CV)의 진폭 변화는 실험의 안정성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LMCM 그룹(200, 400, 600, 1,000 L) 내 비생물학적 실험변수에 대한 CV 값은 20~30% 범위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엽록소-a, 식물플랑크톤 및 동물플랑크톤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의 CV 진폭 파이는 600L와 1,000L LMCM 그룹에서 높게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실험 초기에 생물학적 변수에 대한 제어가 부족하여 발생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ANOVA 분석에 따르면, LMCM 그룹 간 CV 값은 생물학적 요인과 연관된 실험변수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에서 생물학적 변수의 안정화는 LMCM 그룹의 크기와 그룹 내 생물의 생태-생리학적 활동의 복잡성을 감안할 때 수질 및 영양염 성분을 제외하면 실험 초기 생물학적 변수의 변동성을 제어하고 유지할 필요가 있으나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결론적으로 해양에서 과학적 도구로써 인공생태계 실험은 생물학적, 비생물학적 요인을 구분하여 명확한 측정요소(endpoint)를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연구목적 수립, 실험조건의 안정성 유지 및 실험결과를 객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표준화된 분석 기법의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정금나무의 기능성 생리활성 물질과 생리활성 (Functional Bioactive Compound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Vaccinium oldhamii)

  • 채정우;조희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7-174
    • /
    • 2022
  • 현대사회에서 산화물질에 의한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합성 항산화제는 다량 섭취 시 유해하다는 연구 등에 기인하여 수요가 감소하고 있으며, 합성 항산화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천연물에서 유래된 항산화 물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세계 10대 장수 식품의 하나로 알려진 블루베리는 진달래과(Ericaceae) 산앵도나무속(Vaccinium)의 식물로 항산화를 비롯한 다양한 약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정금나무(Vaccinium oldhamii)는 블루베리와 같은 속에 속한 낙엽활엽관목으로 본 논문에서는 정금나무의 추출물과 정제물의 효능 분석을 실시한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정금나무 열매의 페놀류 화합물의 함량은 항산화 활성 및 항인플루엔자 활성과 비례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의 함량은 블루베리에 비해 높았다. 정금나무 열매 추출물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정금나무 가지 추출물은 항염증 활성과 염증반응에 의한 파골세포의 분화 및 골흡수를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금나무 열매 추출물은 인간 급성 백혈병에 대한 항암 활성을, 정금나무 가지 추출물은 여러 인간 암세포주에서의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 정금나무는 블루베리에 비하여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높고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며, 국내에 자생하여 대량 재배를 위한 연구가 용이하고, 상업화 시 해외 사용료를 부담할 필요가 없는 등 블루베리의 대체작물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정자기장 처리에 따른 실내 관엽식물의 생육 및 생리적 특성 변화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ive Common Foliage Plant Species Grown under the Influence of Static Magnetic Field)

  • 이성한;우수영;곽명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5호
    • /
    • pp.484-492
    • /
    • 2012
  • 본 연구는 정자기장 처리가 실내 관엽식물의 생육 및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작용 메커니즘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스파티필름(Spathiphyllum spp), 산호수(Ardisia pusilla DC.), 싱고니움(Syngonium podophyllum), 홀리아페페(Peperomia pereskiifolia) 및 필레아(Pilea cadierei)의 5종 관엽식물을 대상으로 안쪽 바닥면에 표면자속밀도 3,500G의 이방성 NdFeB계 원형 소결영구자석을 장착하여 자성처리한 화분에서 6개월간 생육시켜 나타난 변화를 관찰하였다. 자성처리화분에서의 생육은 스파티필름, 산호수 및 필레아에서 유의성 있는 생육증대를 유도하였으며 대부분의 식물종에서 조직 내 함수율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파티필름은 광합성률 또한 유의성 있게 증대되었으나 산호수 및 필레아의 경우 광합성률의 유의성 있는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자성처리화분이 동화산물에 대한 정상적인 대사과정에서의 수요를 감소시킴으로써 생물량 축적에 보다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홀리아페페의 경우 생육이나 광합성에 있어 별다른 차이가 유도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성처리화분의 이와 같은 효과는 식물종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에 사용된 대부분의 식물종에서 자성처리에 따른 엽 내 질소 및 엽록소 함량과 엽록소 a/b 비율에 유의성 있는 증가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식물종에 따른 제한은 있으나 적절한 자기장 처리를 통해 환경변화에 대한 관엽식물의 잠재적 적응능력을 높이고 실내 환경개선을 위한 실내식물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