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hysico-chemistry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31초

수도(水稻) 문고병방제용(紋枯病防除用) 수면부유제(水面浮遊劑)의 개발(開發) 가능성(可能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Development Feasibility of Water-Floating Fungicide Formulation for the Control of Sheath Blight(Caused by Rhizotonia solani) in Rice)

  • 오병열;김진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3호
    • /
    • pp.226-233
    • /
    • 1988
  • 수도작(水稻作)에 있어 주요한 병해(病害)의 하나인 문고병(紋枯病)을 조기(早期)에 생력적(省力的)으로 방제할 수 있는 신농약제형(新農藥劑型)의 개발가능성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pencycuron과 flutolanil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식물성유지(植物性油脂)와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를 각각 부유제(浮遊劑) 및 확전제(擴展劑)로 사용하여 4%의 수면부유제(水面浮遊劑) 시제품(試製品)을 제조(製造), 그의 이화학성(理化學性)과 생물효과를 조사(調査)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제품(試製品)의 수면확전성(水面擴展性)은 $35cm^2/mg$ 이상으로 우수하였으며 담수중(湛水中) 유효성분의 분포(分布)는 pencycuron 시제품(試製品)이 수표면(水表面)에 존재한 반면 flutolanil은 담수중(湛水中)으로의 확산(擴散)이 용이하였다. 시제품(試製品)은 사용(使用)한 부제(副劑)의 종류(種類)에 관계없이 모두 주성분(主成分)의 경시분해(經時分解)가 완만하여 화학적(化學的)으로 안정(安定)하였다. 실험실하(實驗室下)에서 pencycuron 시제품(試製品)의 균핵발아저지력(菌核發芽沮止力)은 30일 이상 지속하였다. 친유성(親油性)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를 사용하여 제조한 pencycuron 시제품(試製品)은 수도유묘이앙(水稻幼苗移秧) 1일(日) 전(前)에 유효성분으로 20g/10a을 수면살포(水面撒布)하였을 매 수화제(水和劑)와 동등한 방제효과가 있었다. 약제처리후(藥劑處理後) 5일 이내의 담수범람(湛水汎濫)은 방제효과를 현저히 저하시켰다.

  • PDF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 XVI. -사자발쑥(Artemisia herba)의 전초로부터 sterol 화합물의 분리-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XVI. -Isolation of Sterols from the Aerial Parts of Sajabalssuk (Artemisia herba)-)

  • 방면호;정해곤;송명종;유종수;정선아;이대영;김세영;정태숙;이경태;최명숙;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2호
    • /
    • pp.140-144
    • /
    • 2006
  • 사자발쑥의 전초를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용매 분획 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과 n-BuOH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과 octadecyl silica gel(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4종의 sterol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림 데이터를 해석하여, ${\beta}-sitosterol$ (1), dehydroergosterol $5{\alpha},8{\alpha}-epidioxide$ (2), stigmasterol (3), daucosterol (4)으로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사자발쑥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실험동물 사료의 처리방법별 살균효과와 성분변화 (Sterilization and Quality Changes of Laboratory Rodent Diet by Different Treatments)

  • 양재승;권중호;변명우;조한옥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2호
    • /
    • pp.126-132
    • /
    • 1987
  • 실험동물 먹이의 재래적인 살균방법인 훈증제처리(燻蒸劑處理) 및 가열처리(加熱處理)와 새로운 방법인 방사선(放射線) 조사(照射)와의 살균효과(殺菌效果) 및 사료(飼料)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품질(品質)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해본 결과 $10{\sim}20\;kGy$의 방사선(放射線) 조사(照射)와 $121^{\circ}C$에서 20분간 가열처리(加熱處理)로서 전미생물(全微生物)을 완전(完全) 살균(殺菌)시켰으나 ethylene oxide 처리는 $10^2/g$정도 생존되어 살균이 불충분하였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20kGy 조사구(照射區)가 대조구에 비해 약 5% 정도 감소되었으나 ethylene oxide 처리와 가열처리는 각각 15%와 20%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전당 및 무기질 함량은 저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BA가(價)는 20kGy 조사구(照射區)와 ethylene oxide 처리구 및 가열처리구에서 다같이 증가되었으나 조사구(照射區)의 pH 값은 매우 안정하였으며 ethylene oxide 처리구와 특히 가열처리구는 감마선 조사구(照射區)에 비해 시료의 색도에서 명도를 저하시킨 반면 적색도를 크게 상승시켜 외관적 품질을 상당히 저하시켰다.

  • PDF

Phyllite를 이용한 수도용(水稻用) 육묘(育苗) 상토개발(床土開發) (Development of Nurserγ Soil for Rice Seedling)

  • 박영희;장기운;홍재구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2호
    • /
    • pp.71-81
    • /
    • 2002
  • 본 연구는 phyllite의 수도 육묘용 상토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phyllite의 물리화학적인 조사를 통하여 phyllite의 농업적 이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한 실험 결과, Phyllite 용적비중은 각각 $1.31g/cm^3$이며, 결정 입자들 사이에는 전체의 65% 공극을 가지며, 이러한 성질에 의해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표면적이 넓어지므로 수분보유력은 43%(1/3bar)이다. 수도 육묘 상토 개발을 위해 phyllite에 zeolite와 hill soil 각각을 100%, 70%, 50%와 30%로 혼합하고, 질소 시비량(0, 1, 2g/box)을 달리한 육묘 시험에서 벼의 육묘 초기에 phyllite를 zeolite와 혼합할 경우 phyllite 함량이 증가할수록 초장 및 묘 충실도의 증가에 영향을 주며 뿌리의 생육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hill soil과 혼합할 경우, phyllite 함량이 증가할수록 발근율을 증가시키며 초장의 생장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단, 벼의 생육에 있어서 육묘 일수가 길어질수록 질소질 비료의 시비는 벼의 생육을 촉진시켰다. 따라서 phyllite는 현재 육묘 상토자재들과 비교하여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앞으로도 좀 더 다양한 농업적 자재로서의 활용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유연포장재료(柔軟包裝材料)를 이용(利用)한 고추 포장(包裝)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Packaging of Chillies (Capsicum annum) in Flexible Films, and Their Laminates)

  • 장규섭;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3호
    • /
    • pp.145-154
    • /
    • 1976
  • 현재(現在) 식품공업(食品工業)에 널리 이용(利用)되고 있는 포장재료(包裝材料)를 가지고 건조(乾燥)통고추와 고추분말(紛末)을 포장(包裝)하여 여러 조건(條件)에 저장(貯藏)하면서 포장재료(包裝材料)와 시료(試料)의 물리적(物理的) 및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에 관(關)하여 연구검토(硏究檢討) 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고추의 저장조건중(貯藏條件中), 상대습도(相對濕度) 55% 이상(以上)에서는 수분흡수(水分吸收)가 현저(顯著)하게 상승(上昇)하였으며, 10%에서는 곰장이가 발생(發生)하였는데 이때의 평형수분(平衡水分) 함량(含量)은 15%로써 고추의 저장수분(貯藏水分) 함량(含量)의 임계점(臨界點)에 도달(到達)하였다. 시료(試料)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을 달리하여 저장(貯藏)하였을 때 색소(色素) Capsanthin함량(含量)은 저장온도(貯藏溫度)가 높을수록, 수분함량(水分含量)이 많아질수록 감소(減少)하였으며, 천일하(天日下)에 방치(放置)할때도 Capsanthin함량(含量)은 크게 변화(變化)하였다. 여러 포장재료중(包裝材料中) Aluminium foil packet이 장기저장시(長期貯藏時) 고추 성분(成分)의 변화(變化)를 줄이는데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였으며 단기저장시(短期貯藏時)에는 착색(着色) Polyethylene, L.D.P.E., Saran/cello, /Saran/P.E., 순서(順序)였다.

  • PDF

비피더스발효를 위한 쌀당화액 제조공정의 최적화 (Optimal Preparation of Saccharified Rice Solution for Bifidobacterium Fermentation)

  • 이주연;박종현;장학길;구동주;목철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7호
    • /
    • pp.527-532
    • /
    • 1998
  • Bifidobacterium을 이용한 쌀발효제품의 개발을 위하여 쌀의 분쇄 정도와 호화, 당화공정에서의 최적조건을 찾고 당화에 사용되는 ${\alpha}-amylase$와 glucoamylase의 적정 첨가량과 당화시간을 조사하여 쌀 당화액 발효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찰의 전처리 공정으로서 분쇄는 충격식 분쇄기를 사용하여 30초간 분쇄한 것이 당화 효율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당화공정에서는 호화 전 예비가온 후 호화시킨 것이 예비가온을 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해 당화 후 당도가 높았다. 호화시간은 40분 처리시 당도가 가장 높았고, 당화 후 환원당량을 조사한 결과 ${\alpha}-amylase$ 0.135 unit/g rice powder와 glucoamylase 3.375 unit/g rice powder를 첨가하여 75분간 당화시 환원당량은 38.7 mg/ml로 가장 빠른 시간에 높은 환윈당을 갖게 되었다. Bifidobacterium을 이용하여 $37^{\circ}C$에서 48시간 동안 발효하면서 이화학적 특성과 Bifidobacterium수를 측정한 결과 쌀 당화액은 혐기성 Bifidobacterium의 까다로운 영양 요구성에 적합한 기질임을 확인하였다.

  • PDF

파종기(播種期)가 땅콩의 지방(脂肪) 및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n Fat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Peanut (Arachis hypogaea L.) According to Several Sowing Season)

  • 조규성;정예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3호
    • /
    • pp.182-186
    • /
    • 1985
  • 본실험은 중부지방(中部地方)의 땅콩 파종적기(播種適期)를 구명(究明)하고자 초형별(草型別)로 여주재래종, 수원15호 및 Wasedairu의 3품종을 5월 5일 부터 7월 4일 까지 10일 간격으로 파종하여 재배하였다. 땅콩의 조지방(粗脂肪)은 평균 46.05%로 가장 많고, 다음은 조단백질(粗蛋白)으로 평균 32.26%였다. 땅콩의 100입중(粒重)은 5월 5일부터 6월 4일 파종까지는 서로 비슷한 중량(重量)이였으며, 그중 5월 15일(평균 68.3g) 파종때가 가장 높았다. 또 품종간에는 Wasedairu, 수원15호, 여주재래종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땅콩의 조지방(粗脂肪)함량은 5월 15일 또는 5월 25일을 정점(頂點)으로 증가하다가 그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품종간에는 서로 비슷한 함량이었다. 땅콩의 지방산(脂肪酸)은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80{\sim}8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palmitic acid는 $10{\sim}15%$, stearic 및 arachidic acid는 각각 $1{\sim}5%$를 함유하였다. 또 땅콩은 파종기(播種期)가 늦어질수록 미성숙종실(未成熟種實)이 되어 지방산조성비(脂肪酸組成比)의 증감변화(增減變化)가 현저하였다.

  • PDF

Enhanced Drug Carriage Efficiency of Curcumin-Loaded PLGA Nanoparticles in Combating Diabetic Nephropathy via Mitigation of Renal Apoptosis

  • Asmita Samadder;Banani Bhattacharjee;Sudatta Dey;Arnob Chakrovorty;Rishita Dey;Priyanka Sow;Debojyoti Tarafdar;Maharaj Biswas;Sisir Nandi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3
    • /
    • 2024
  • Background: Diabetic nephropathy (DN) is one of the major complications of chronic hyperglycaemia affecting normal kidney functioning. The ayurvedic medicine curcumin (CUR) is pharmaceutically accepted for its vast biological effects. Objectives: The Curcuma-derived diferuloylmethane compound CUR, loaded on Poly (lactide-co-glycolic) acid (PLGA) nanoparticles was utilized to combat DN-induced renal apoptosis by selectively targeting and modulating Bcl2. Methods: Upon in silico molecular docking and screening study CUR was selected as the core phytocompound for nanoparticle formulation. PLGA-nano-encapsulated-curcumin (NCUR) were synthesized following standard solvent displacement method. The NCUR were characterized for shape, size and other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Atomic Force Microscopy (AFM),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and Fourier-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 studies. For in vivo validation of nephro-protective effects, Mus musculus were pre-treated with CUR at a dose of 50 mg/kg b.w. and NCUR at a dose of 25 mg/kg b.w. (dose 1), 12.5 mg/kg b.w (dose 2) followed by alloxan administration (100 mg/kg b.w) and serum glucose levels, histopathology and immunofluorescence study were conducted. Results: The in silico study revealed a strong affinity of CUR towards Bcl2 (dock score -10.94 Kcal/mol). The synthesized NCUR were of even shape, devoid of cracks and holes with mean size of ~80 nm having -7.53 mV zeta potential. Dose 1 efficiently improved serum glucose levels, tissue-specific expression of Bcl2 and reduced glomerular space and glomerular sclerosis in comparison to hyperglycaemic group. Conclusion: This study essentially validates the potential of NCUR to inhibit DN by reducing blood glucose level and mitigating glomerular apoptosis by selectively promoting Bcl2 protein expression in kidney tissue.

산성조건하에서 시판요구르트의 유산균 생존률과 ${\beta}-galactosidase$의 활성도 (Survival Rate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Change of ${\beta}-Galactosidase$ Activity in Commercial Yogurts Under the Acidic Conditions)

  • 신용서;성현주;김동한;이갑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3호
    • /
    • pp.143-147
    • /
    • 1994
  • 국내에서 시판되는 요구르트(plain)의 이화학적 특성 및 산성조건하에서의 유산균의 생존률과 ${\beta}-galactosidase$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pH는 $3.71{\sim}4.08$범위, 적정산도는 $0.990{\sim}1.045%$, 점도는 $256{\sim}3,164\;cps$ 범위였으며, 유산균수는 $10^{8-9}\;cfu/ml$로 규정보다 높았다. 완충능은 요구르트(50 ml)의 고유 pH값에서 -2의 pH값까지 적정하는 데 소비된 1.0 M-HCl의 량으로 $3.58{\sim}4.33\;ml$였다. 산성조건하에서 유산균의 생존율은 pH 3.5에서는 2시간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pH 2.5, 1.5에서는 각각 $3.5{\times}10^{-2}{\sim}3.6{\times}10^{-1}%,\;8.3{\times}10^{-5}{\sim}4.2{\times}10^{-3}%$ 범위였다. ${\beta}-galactosidase$활성은 120분 후에 pH 3.5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pH 2.5, 1.5에서 ${\beta}-galactosidase$의 잔존활성은 각각 $9.4{\sim}36.2%.\;4.2{\sim}19.0%$ 범위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요구르트를 섭취하였을 때 유산균은 위산에 노출되어 극히 그 일부만이 장내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며, ${\beta}-galactosidase$는 유산균의 세포벽이나 세포막 및 요구르트에 포함된 무지고형분의 보호를 받아 그 활성을 어느정도 유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의 이화학적 특성 및 ${\beta}-galactosidase$ 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eta}-galactosidase$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from kimchi)

  • 강미선;이영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1호
    • /
    • pp.54-59
    • /
    • 1996
  •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 중에서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Klebsiella pneumoniae, Escherichia coli(ATCC33694) 그리고 Bacillus substilis(ATCC 6633) 등 5종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성이 우수한 3주(No. 49, No. 61, No. 75)를 최종 선발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 되었다. 이들 3 균주를 starter로 사용하여 요구르트 등 여러 발효식품에 응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이들 균주로 요구르트를 제조한 후 요구르트의 ${\beta}-galactosidase$ 활성도를 균주 첨가 후 24시간 부터 72시간 동안 경시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48시간 후에 효소활성은 최고에 도달하였으며 그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2시간 동안 경시적으로 요구르트 고유의 pH값보다 낮은 산성조건에서 ${\beta}-galactosidase$ 활성도와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pH 3.5에서 2시간 후에는 3균주 모두 50% 정도 활성이 감소하였으나 pH 2.5와 pH 1.5에서 ${\beta}-galactosidase$ 활성은 거의 없었다. 유산균의 생존율은 pH 3.5에서 2시간 후 거의 변화가 없었고, pH 2.5에서는 각각 $0.12%{\sim}0.75%$ 그리고 pH 1.5에서는 생존율이 거의 없었다. 한편, 제조 요구르트의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요구르트 고유의 pH 값은 4.08 부터 4.30사이이었으며, 적정산도는 $1.05{\sim}l.25%$ 점도는 $1,818{\sim}2,124\;cps$, 생균수는 $7.3{\times}10^8{\sim}3.0{\times}10^9\;cfu/m{\ell}$였다. 유산균이 살아있는 상태로 장내에 도달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완충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1.0N HCl로 요구르트 $100\;m{\ell}$를 고유의 pH값에서 2단위 낮은 pH값까지 적정한 결과 소모된 HCl량은 $11.98{\sim}13.02\;m{\ell}$이었고 1.0 N NaOH로 4단위 높은 pH값까지 적정하는데 소모된 NaOH량은 $10.82{\sim}12.86\;m{\ell}$로 시판 요구르트 보다 높은 완충능을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