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hotohemolysis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3초

충치균에 대한 생리활성 생약성분의 분리 및 약효평가(2) -호장근의 항균성분과 안전성에 대하여- (The Isolation and Evaluation of Bioactive Components from Crude Drugs Against a Cariogenic Bacterium, Streptococcus mutans OMZ 176(2) -An Antibacterial Component of Polygoni Radix and Its Safety-)

  • 배기환;김봉희;명평근;정경수;백정화
    • 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7-281
    • /
    • 1990
  •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tibacterial component, from Polygoni Radix against a cariogenic bacterium Streptococcus mutans OMZ 176, were carried out for development of anticariogenic agents. The bioactive component was identified to be emodin.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emodin was $100\;{\mu}g/ml$ against S. mutans OMZ 176. The bioactive component emodin weakly inhibited ${\beta}-lactamase$ activity with the inhibition ratio of 1.7, 4.3 and 7.6% at the concentration of 50, 100, and 200 uM, respectively. Emodin exhibited slight phototoxicity when analysed by the photohemolysis method.

  • PDF

Phenothiazines의 광독성에 미치는 Ascorbic acid의 영향 (Effects of Ascorbic acid on the Phototoxicity of Phenothiazines)

  • 김봉희;박영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43-147
    • /
    • 1992
  • Phenothiazines류의 약물 중 Chlorpromazine, perhenazine, trifluoperazine, thioridazin의 광독성에 대한 ascorbic acid의 영향을 조사 연구하였다. 각 약물 농도를 $50;\mu\textrm{g}$/ml로하고 UVA(350nm, 2.5mV/cm)로 조사기간은 30분으로 하여 적혈구의 광용혈현상을 Kahn 등의 방법에 의해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한 결과 Chlorpromazine, perphenazine, thioridazine에 의한 광용혈도 정도는 ascorbic acid에 의해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또한 적혈구를 가하기 전 각 약물을 미리 조사시켜 생성된 물질에 의한 광용혈현상의 광독성 생성물질은 chlorpromazine과 thioridazine에서 보여졌으며, chlorpromazine의 광독성 생성물질에 의한 적혈구 용혈현상만 ascorbic acid에 의해 감소되었다.

  • PDF

쇠뜨기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에 관한 연구(I) (Evaluation of Antioxidant Potential of Extract/Fractions of Equisetum arvense (I))

  • 박수남;양희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1-6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쇠뜨기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50% 에탄올 추출물($182.04{\mu}g/mL$) < ethylacetate 분획(54.50) <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14.13) 순으로 증가하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총항산화능은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OSC_{50}$, $3.54{\mu}g/mL$) < 50 % 에탄올 추출물(0.80) < ethylacetate 분획(0.006) 순으로 ethylacetate 분획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쇠뜨기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5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1{\sim}100{\mu}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ethylacetate 분획에서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추출물은 $10{\mu}g/mL$ 농도에서 $\tau_{50}$이 161.10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쇠뜨기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Phenothiazines의 광독성에 대한 in vitro 실험법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in vitro Methods on the Phototoxicity of Phenothiazines)

  • 김종예;김현진;김봉희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5권1_2호
    • /
    • pp.13-18
    • /
    • 2000
  • A few in vitro methods were developed to compare the result on the phototoxicity of phenothiazines. By the MTT assay, the Candida test, and the RBC photohemolysis, the phototoxicities of UVA and UVB irradiation were measured. This paper presents the comparisons of methods which are effective to measure the phototoxicities of the chemicals causing phototoxicity and photoallergy. The tested chemicals of phenothiazines include Chlorpromazine, Promethazine, Perphenazine, Chlorprothixene, Trifluoperazine and Thioridazine. Each chemical represented variable results according to the test methods. MTT assay shows the most sensitive method.

  • PDF

광물성 미네랄이 동물세포의 손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re Minerals on the Damages of Animal Cells)

  • 전유미;김점지;이미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391-1398
    • /
    • 200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uppressive effects of ore minerals on the allergic cell damages and oxidative cell damages. The ore minerals significantly reduced the productions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interleukin-4 (IL-4) in rat basophilic leukemia cells challenged with 2,4-dinitrophenol-bovine serum albumin (DNP-BSA). Lipoxygenase activity was also reduced by the ore minerals. Moreover, the ore minerals showed weak protective effects on the oxidative damage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in pig kidney cells and retinal ganglion cells. Photohemolysis of erythrocytes in the presence of rose-bengal as a sensitizer was also inhibited by ore minera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re minerals may be useful as the protectant for allergic and oxidative cell damages.

함초(나문재 및 퉁퉁마디)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에 관한 연구(I) (Antioxidative Properties of Extract/Fractions of Suaeda asparagoides and Salicornia herbacea Extracts(I))

  • 박수남;전소미;김소이;안정엽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45-15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함초 추출물(나문재 및 퉁퉁마디)의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나문재 추출물의 free radical(1,1-diphenyl-2-picrylhy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100 % ethanol 추출물(329.33 ${\mu}g/mL$) < 50% ethanol 추출물(40.73) < ethylacetate 분획(13.87) < ethylacetate 분획에서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7.80) 순으로 증가하였다. 퉁퉁마디의 경우,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ethylacetate 분획 및 aglycone 분획이 각각 23.21 및 28.50 ${\mu}g/mL$이었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나문재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50 % ethanol 추출물($OSC_{50}$, $0.99{\mu}g/mL$) < ethylacetate 분획(0.05) < aglycone 분획(0.03)순으로, aglycone 분획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퉁퉁마디의 경우, ethylacetate 분획 및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의 ROS 소거활성은 각각 0.10 및 0.20 ${\mu}g/mL$이었다. 나문재 및 퉁퉁마디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100 % ethanol 나문재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1{\sim}100{\mu}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ethylacetate 분획에서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은 50${\mu}g/mL$ 농도에서 $\tau_{50}$이 310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퉁퉁마디의 경우는 ethylacetate 분획에서 비교적 큰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나문재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여뀌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Persicaria hydropiper L. Extracts)

  • 김은희;김정은;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3-30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여뀌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항주름 효과를 통한 항노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여뀌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에서 $5.23\;{\mu}g/mL$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여뀌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은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0.40\;{\mu}g/mL$)이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여뀌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여뀌 추출물의 경우 $1\;{\sim}\;10\;{\mu}g/mL$의 농도에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측정으로는 각각 tyrosinase 및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aglycone 분획($8.90\;{\mu}g/mL$) 에서,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도 aglycone 분획($2.37\;{\mu}g/mL$)에서 가장 큰 저해활성을 나타났다. 여뀌 추출물중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e 분획에 대한 실험 결과로부터 항산화,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코스모스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미백효능평가 (Evaluations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Cosmos bipinnatus)

  • 김선영;이민혜;박수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59-567
    • /
    • 2010
  •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 cellular protective effect and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of Cosmos bipinnatus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Cosmos bipinnatus flower extract ($11.48\;{\mu}g$/mL) showed more excellent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DPPH) scavenging activity (FSC50) than those of leaf and stem extracts ($17.45\;{\mu}g$/mL).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y (OSC50) of Cosmos bipinnatus extracts on ROS generated in $Fe^{3+}$-EDTA/H2O2 system were investigated using the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ce assay.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Cosmos bipinnatus flower extract ($0.56\;{\mu}g$/mL) showed 3 times more excellent ROS scavenging activity than L-ascorbic acid ($1.50\;{\mu}g$/mL). The protective effect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Cosmos bipinnatus o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were investigated. The ethyl acetate fractions of leaf and stem extract and flower extracts suppressed photohemolysi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10\sim50\;{\mu}g$/mL). The inhibitory effect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Cosmos bipinnatus flower extract ($62.75\;{\mu}g$/mL) on tyrosinase was investigated to assess the whitening efficacy.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Cosmos bipinnatus flower extract showed 3.5 times higher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than arbutin ($226.88\;{\mu}g$/mL) known as an effective whitening ag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ractions of Cosmos bipinnatus extracts can function as antioxidants in biological systems, particularly skin exposed to UV radiation by scavenging $^1O2$ and other ROS, and protect cellular membranes against ROS. Fractions of Cosmos bipinnatus extracts can be applicable to new functional cosmetics for antioxidant and whitening.

민들레(Taraxacum mongolicum H.) 추출분획물이 위장보호에 미치는 효능 평가 (Potential Effect of Solvent Fractions of Taraxacum mongolicum H. on Protection of Gastric Mucosa)

  • 한소희;황정근;박수남;이길홍;고강일;김기수;김기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4-89
    • /
    • 2005
  • 민들레 (Taraxacum mongolicum H.) 추출물에 대한 위장보호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민들레를 ethanol로 추출한 후 methylene chloride과 n-butanol을 이용하여 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추출물을 분획하여 각 분획물을 얻었다. 이들 분획물로 총플라보노이드 및 luteolin 함량을 측정하고 H. pylori 항균작용, urease 저해 효과, 프리라디칼소거작용, 세포막 보호 효과에 대해 시험하였다. 각 분획물의 총 플라보노이드와 luteolin 함량을 측정을 한 결과 n-butanol 분획에서 각각 27.75%, 1.14%로 다른 분획들보다 2가지 성분 모두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효능 시험에서도 n-butanol 분획은 위장 질환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요인 중 하나인 H. pylori에 대한 항균 및 urease 저해 시험에서 다른 분획물 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위장 장애의 간접적인 요인이 될 수 있는 라디칼의 소거 작용 및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막 보호에 대한 각 분획물의 시험에서도 n-butanol 분획물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DPPH 라디칼소거능의 $SC_{50}$ 값은 $47{\mu}g/ml$, 세포막 보호실험에서 ${\tau}_{50}$=172min$(C=5.0{\mu}g/mL)$이었다. 따라서 각 분획물의 성분 분석과 수행되어진 효능 실험 결과들을 비교하여 볼 때 민들레 추출물의 n-butanol 분획물이 위점막 보호에 효과가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위장 보호를 위한 조성물의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유산균의 활성산소 소거 및 면역증강효과 (Effect of Lactobacilli on Reactive Oxygen Scavenging and Immune Stimulation)

  • 이호;양승각;박수남;전도용
    • KSBB Journal
    • /
    • 제7권4호
    • /
    • pp.290-295
    • /
    • 1992
  • 여러 가지 생리랴 활성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진 유산균에 대해 활성산소 소거효과 및 면역 증강 효과 를 검토하여 보았다. 유산균 배양액 및 파쇄액의 활성산소 소거효과를 각각 다른 검색방법에 의해 살펴 본 결과, 유산균 배 양액 및 Mn-complex는 XOD assay와 paraquat에 대한 반응에서 활성 산소 소거 효과가 뛰어나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양액 중에서 $Mn^{2+}$와 결합하는 성분은 누로 peptide나 amino acid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cell free extract는 광용혈 시험에서 좋은 효과를 나타내어 singlet oxygen 소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cell free extract 는 T세포를 자극하여 생성된 액성인자에 의해 B세포에 항체 생성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