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damag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초

한라산 구상나무 잎의 엽록소형광의 일변화와 계절적 변화 (Diurnal and Seasonal Variation of Chlorophyll Fluorescence from Korean Fir Plants on Mt. Halla)

  • 오순자;고정군;김응식;오문유;고석찬
    • 환경생물
    • /
    • 제19권1호
    • /
    • pp.43-48
    • /
    • 2001
  • 구상나무 침엽의 엽록소형광과 생육지의 환경요인의 일변화를 계절별로 조사하여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른 구상나무의 환경 적응성을 규명하였다. 광계 II의 광화학적 효율, 즉 Fv/Fm은 겨울에는 0.19-0.36으로 매우 낮은데 반하여 여름에는 0.8-0.86으로 높았다. 낮시간의 Fv/Fm이 겨울에는 아침, 저녁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서 겨울철 한낮의 환경조건이 구상나무 잎의 광합성기구에 우호적으로 작용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름에는 낮시간에 광억제가 다소 일어나지만 Fv/Fm이 전반적으로 높아 낮시간의 환경 조건이 구상나무에 광피해를 야기하지는 않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비광화학적 엽록소형광 소멸 능력, 즉 NPQ는 겨울에는 0-0.01로 밤과 낮의 차이가 없이 매우 낮았고, 여름에는 낮시간에 0.76으로 높았다. 따라서 구상나무는 여름철 환경 스트레스로부터 광계 II를 보호하는 조절 기구가 잘 발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겨울에는 Fv/Fm이 온도, 광량, 상대습도와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NPQ는 환경요인 모두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에는 Fv/Fm이 온도와 광량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에 상대습도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구상나무 생육지의 조건하에서 겨울에는 온도, 광량, 상대습도의 증가는 모두 광합성 효율을 증가시키는 반면에 여름에는 높은 온도와 광량이 광억제를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콜라겐 펩타이드의 피부 광노화 예방 효과 (Beneficial Effect of Collagen Peptide Supplement on Anti-aging Against Photodamage)

  • 김정기;이지해;양미숙;서대방;이상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41-445
    • /
    • 2009
  • In vivo에서 10주간의 UV처리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손상에 대한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AP-CPM01)의 보호 효능을 관찰한결과, UV에 의해 유도되는 주름의 증가와 탄력 저하 및 비정상적인 각질 세포의 증식에 의한 피부 두께의 증가가 혼합물의 섭취에 의해 개선됨을 확인하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이 UV에 의한 피부 손상을 방어하고, 피부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의 피부 보호 작용 기전을 살펴보기 위하여 사람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의 작용을 평가한 결과, 콜라겐 펩타이드와 엘라스틴 단백질은 procollagen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고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이 광노화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진피층의 손상을 회복 혹은 보호하는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AP-CPM01)이 광노화 보호 또는 피부 개선 효능을 갖는 새로운 미용 식품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추출방법에 따른 명월초(Gynura Procumbens)의 광노화 완화 효과 (The Photoprotective Effects of Gynura Procumbens Against Photoaging: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Extraction Methods)

  • 한소연;이다윤;문지선;이혜원;김재훈;박재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1-109
    • /
    • 2024
  • 명월초(Gynura procumbens)를 활용한 천연물 기반 화장품 및 의약품 소재 개발을 위해 추출 방법에 따른 항산화 효과 및 유효성분을 비교하고 자외선(UVB)조사에 따른 DNA손상억제 및 항염증 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정 농도별 명월초 추출물의 화합물, 총플라보노이드 화합물, 그리고 chlorogenic acid 및 caffeic acid 함량을 비교한 결과 주정 100% 추출 용매에서 유효성분의 함량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각 추추물의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추출용매인 주정의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UVB로 조사된 Hs68 세포모델에서 명월초 추출물별 광노화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NA 손상억제 효과와 항염증 효과 확인였다. 100%주정 추출물은 UVB에 의한 p-p53과 γ-H2AX의 발현과 iNOS와 COX-2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산화적 DNA 손상 및 항염증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UVB에 의해 과도하게 생성된 ROS의 영향으로 세포내 산화적 DNA 손상과 염증성 발현이 유발되며, 이러한 세포내 산화적손상은 명월초 추출물의 항산화 물질에 의해 ROS를 감소시켜 산화적 손상이 억제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피부기능성소재 개발을 위한 명월초의 효율적인 추출은 주정 또는 alcohol성 용매를 활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