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 classification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19초

대학기록관 사진 아카이브를 위한 정보구조 모형 제안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of Information Structure for Photo Archives in University Archives)

  • 이혜원;한승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1-126
    • /
    • 2023
  • 대학의 사진기록은 대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역사적 증거를 제공하는 매우 가치 있는 기록의 유형 중 하나이나, 텍스트와 달리 의미전달의 취약성을 갖고 있으므로 사진기록의 정보가 포괄적으로 기술되지 않으면 이용자의 검색과 활용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기록관 사진 아카이브를 위해 사진기록의 분류체계를 구조화하고, 분류 내의 카테고리 특성을 반영한 메타데이터 셋 개발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와 미국 대학기록관의 사진기록 분류체계와 메타데이터 요소를 분석하고, 정보구조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정보구조 모형을 통해 대학기록관 사진기록의 데이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용자에게는 사진기록에 대한 풍부한 디스커버리를 지원할 수 있다.

Direct Share: Photo Management System Based on Round-robin Concept-driven User Preference Feedback

  • Song, Tae-Houn;Jeong, Soon-Mook;Kim, Hyung-Min;Kwon, Key-Ho;Jeon, Jae-Wook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5권7호
    • /
    • pp.1346-1367
    • /
    • 2011
  • As the size of camera modules is decreasing and as the computing performance of portable devices is improving, taking photos has become a part of daily life. However, existing photo management programs and products that manage such photos still require extensive user effort to facilitate the sharing and browsing of images. It is especially difficult for novice users to manage and share photos. In this paper, we develop a round-robin concept-driven user preference feedback mechanism for achieving direct photo sharing, instant display, and easy management using optimized user controls and user preference-driven classification. Compared with commercial photo management systems, our proposed solution provides new features: optimized user controls, direct sharing and instant display, and user preference feedback driven classification. These new features boost the round-robin concept-driven user preference feedback. This paper proposes a photo finder that automatically searches for photos in storage spaces or cameras. The proposed photo finder relies on user preference feedback to share photos by leveraging user preferences, and the round-robin connection transmits photos to the family's digital photo frame or web album by arbiter. The proposed method saves time and spares users the effort required for photo management. Moreover, this method does not merely direct photo sharing and simple photo management, but it also increases the satisfaction level of users viewing the photos.

현대미술에 나타난 사진의 활용과 그 유형학적 분류 (Application and Its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Photographs Shown in Contemporary Art)

  • 이경률
    • 비교문화연구
    • /
    • 제33권
    • /
    • pp.193-239
    • /
    • 2013
  • A photograph, which was applied to contemporary ar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whole of the multiplied and diversified contemporary arts today. The application of photos, which were shown in contemporary art following the 1950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according to role and function of a photo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 work. However, this classification is shown a little ambiguously. That is because photos of being utilized by artists are indicated very diversely depending on their artistic strategy and situation. As the first type, a few painters utilize a photo as mirror of reality in order to materialize a challenging and revolutionary idea with going against traditional picture in their pictorial practice. As the second classification, especially American painters utilize a photo as material component of forming their picture like photo-montage or collage. The combined application of this medium is first doing genre de-construction and hybridization of post-modernism in the 1980s while ultimately aiming at social criticism or political satire. The third type implies particularly a case that avant-garde artists utilize a photo as evidence of a work. In this case, a photo is employed as evidence of a work, which disappears in the temporal space essentially like body art, land art, and performance. Also, as the fourth type is a case of utilizing a photo for artistic concept of a work, not pictorial practice of picture, it is utilized often as important artistic strategy of conceptual artists. The final type of utilizing photo is a case of applying photo as formative tool on behalf of dye-stuffs or crayon in order to record a section of reality, which always continues regardless of event or meaning any more, in the traditional picture. In this case, a work is indicated as a photo of having a form of picture, namely, as Forme-tableau. The main subject is indicated there as a daily case of being repeated always the extremely common and revived theme.

에피폴라 기하와 군집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정밀 정사투영영상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ue Ortho-photo Generation Using Epipolar Geometry and Classification Algorithm)

  • 오금희;황현덕;김준철;신성웅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33-641
    • /
    • 2008
  • 본 논문은 에피폴라기하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폐색지역을 탐지하고 유사한 패턴을 자동으로 찾아 폐색지역을 복원하여 정밀 정사투영영상을 자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에는 건물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폐색지역을 탐지하였지만,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의 외부표정요소와 DTM 정보만을 이용하여 폐색지역을 자동으로 탐지하고 탐지된 폐색지역에 대한 복원은 우선적으로 중복된 영상을 사용하여 복원을 수행한 후, K-평균 군집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대표 패턴을 찾아 폐색지역을 완벽하게 복원한다. 이 때, 중복된 영상의 동일한 지역을 자동으로 빠르게 탐지하기 위해 에피폴라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User-Friendly Personal Photo Browsing for Mobile Devices

  • Kim, Sang-Kyun;Lee, Jae-Won;Lee, Ryong;Hwang, Eui-Hyeon;Chung, Min-Gyo
    • ETRI Journal
    • /
    • 제30권3호
    • /
    • pp.432-440
    • /
    • 2008
  • In this paper, a user-friendly mobile photo album system and albuming functions to support it are introduced. Stand-alone implementation in a mobile device is considered. The main idea of user-friendly photo browsing for albuming functions is to enable users to organize and browse their photos along semantically meaningful axes of events, personal identities, and categories.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would be sufficiently useful and efficient for browsing personal photos in mobile environment.

  • PDF

Photo Management Cloud Service Using Deep Learning

  • Kim, Sung-Dong;Kim, Nam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3호
    • /
    • pp.183-191
    • /
    • 2020
  • Today, taking photos using smartphones has become an essential element of modern people. According to these social changes, modern people need a larger storage capacity, and the number of unnecessary photos has increased. To support the storage, cloud-based photo storage services from various platforms have appeared, and many people are using the services. As the number of photos increases,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find the photos they want, 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organize. In this paper, we propose a cloud-based photo management service that facilitates photo management by classifying photos and recommending unnecessary photos using deep learning. The service provides the function of tagging photos by identifying what the subject is, the function of checking for wrongly taken photos, and the function of recommending similar photos. By using the proposed service, users can easily manage photos and use storage capacity efficiently.

자동차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의 사진과 음악을 이용한 음악스토리 비디오 자동생성 기술 (Automatic Music-Story Video Generation Using Music Files and Photos in Automobile Multimedia System)

  • 김형국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80-8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차량 내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장착되는 엔터테인먼트 기능 중의 하나인 음악스토리 자동생성 기술을 소개한다. 음악스토리 비디오 자동생성 기술은 개인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을 차량 내의 멀티미디어 시스템과 연결하여, 휴대폰 안에 저장된 음악과 사진의 결합을 통해 음악비디오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요소기술로서, 사용자에게 분위기에 맞게 음악을 들으면서 생성된 음악스토리 비디오를 즐기는 기능을 제공한다. 음악스토리 비디오 자동생성 기술에 대한 성능은 음악분류, 사진분류, 핵심단어 검출 등의 정확도와 생성된 음악스토리 비디오를 시청한 사용자의 MOS 결과를 통해 측정되었다.

디지털항공사진영상을 이용한 객체기반 토지피복분류 (Land Cover Object-oriented Base Classification Using Digital Aerial Photo Image)

  • 이현직;유지호;김상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5-113
    • /
    • 2011
  • 기존에 제작된 주제도는 중 저해상도 위성영상 기반으로 제작이 이루어져 위치정확도 및 표현되는 주제 정보의 정밀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촬영되고 있는 디지털항공사진영상은 흑백 및 컬러영역의 밴드와 산림판독이 가능한 근적외선 영역 밴드의 촬영이 가능하며, 고해상도 영상을 획득할 수 있어 정밀한 토지피복분류의 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항공사진영상을 이용한 객체기반 토지피복분류 가능성 타진과 디지털항공사진영상의 활용성 제시를 위하여 동일한 지역의 GSD 0.12m급 디지털항공사진영상과 GSD 1m급 IKONOS 위성영상으로 객체기반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하였으며, 정사영상과 기존 중분류 토지피복도의 정성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TTA(Training and Test Area) Mask를 생성하여 분류정확도를 분석하였으며, 영상을 대상으로 스크린디지타이징을 수행하여 분류면적의 비교를 통한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디지털항공사진을 이용한 토지피복도 제작이 가능하였으며, 위성영상에 비해 세밀한 분류가 가능하였다.

HOG와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자동차 모델 인식 시스템 성능 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Car Model Recognition System Using HOG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 박기완;방지성;김병만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1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영상처리와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판별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확인한다. 차량의 앞면을 인식 하도록 하였으며 앞면을 선택한 이유는 제조사, 모델별로 앞면이 다르고 개조가 힘들기 때문이다. 제안하는 방법은 먼저 학습 데이터로부터 HOG특징을 추출하고, 이 특징 데이터에 대해 인공신경망 학습기법을 적용하여 판별 모델을 구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자동차의 앞면을 찍으면 그 사진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특징점을 학습된 판별 모델을 거쳐 차량의 정보를 표시한다. 실험 결과, 98%의 높은 평균 인식률을 보였다.

아바타 생성을 위한 이목구비 모양 특징정보 추출 및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ial Feature' Morphological Information Extraction and Classification for Avatar Generation)

  • 박연출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4권10호
    • /
    • pp.631-64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웹상에서 자신을 대신하는 아바타 제작시 본인의 얼굴과 닮은 얼굴을 생성하기 위해 사진으로부터 개인의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방법과 추출된 특징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이목구비를 준비된 분류기준에 의해 특정 클래스로 분류해 내는 방법을 제안한다. 특징정보 추출은 눈, 코, 입, 턱선으로 나누어 진행되어졌으며, 각 이목구비의 특징점과 분류기준을 각각 제시하였다. 추출 된 특징정보들은 전문 디자이너에 의해 그려진 이목구비 이미지들과 유사도를 계산하는데 사용되었으며, 여기서 가장 유사한 이미지를 턱선 벡터이미지에 합성하여 아바타 얼굴을 얻어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