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spholipid and fatty acid

검색결과 415건 처리시간 0.027초

참깨 종류에 따른 참기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same Oils by Kinds of Sesame)

  • 신승렬;김경태;송준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87-293
    • /
    • 1997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viscosity, color, chemical properties, and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for examination of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same oils. Yield of sesame oil was higher in Ansan sesame than that of Chinese and Dambaek sesame. Viscosity of sesame oils was higher than that of shame oils from Dambaek and Chinese sesame, but turbidity and sedimentation rate were higher in Dambaek's sesame oil than those of Ansan's and Chinese sesame oils. In the acid value, saponification value and iodine value of sesame oils,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Dambaek's sesame oil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others. The neutral, glycolipid and phosholipid contents of sesame oils were 91.1∼92.1, 2.5∼3.5 and 5.5∼6.4%, respectively. The major fatty acids of sesame oils were oleic, linoleic palmitic and stearic acid. The content of oleic acid was higher in Dambaek's and Ansan's sesame oil than that of Chinese sesame oil, and the content of linoleic acid was higher in Chinese sesame oil than the others.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neutral lipid, glycolipid and phospholipid were similar to those of total lipid. The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 and saturated fatty acid was higher in Korean sesame oils than those in Chinese sesame oil. The mineral(Mg, Cu, Fe, In, Al, Mn) content of Korean sesame oils was higher than that of Chinese sesame oil. and heavy metals(Cu, Ag, Pb, Cd, As) were not detected.

  • PDF

우리나라 전통콩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Soybeans)

  • 김강성;김민정;이경애;권대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35-341
    • /
    • 2003
  • 본 실험에서는 대표적인 전통콩 6품종(청태, 서리태, 진주리, 수박태, 유태, 흑태)과 미국산 수입콩 1품종 등 7품종을 시료로 사용하여 종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과 기능성 성분을 조사하였다. 콩의 백립중은 유태가 극소립중이었고, 흑태가 대립중이었다. 품종간에 종실과 껍질을 제거한 콩의 색도도 차이를 보였다. 단백질 함량은 전통콩이 모두 40%을 넘는 함량을 나타냈고, 그중 진주리가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수입콩이 38.7%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조지방함량은 전통 콩중 진주리가 가장 낮고, 수입콩이 다른 품종에 비해 지방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총 지방질의 지방산중 linoleic acid가 가장 많았고, oleic acid, palmitic acid 순이고 불포화 지방산이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서리태가 85.2%로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포화지방산의 경우 수입콩이 16.5%로 다른 품종에 비해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진주리콩은 단일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의 함량이 높고 다중불포화 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의 함량이 낮았다. 콩의 필수 아미노산인 lysine 함량은 48.2-56.5 mg/g-protein이었다. 콩에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져진 methionine, cysteine, histidine 등은 전통콩에서도 매우 적게 함유 되어있다. Methionine의 비율이 다른 아미노산에 비해 품종에 따른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케일녹즙이 고콜레스테롤혈증 성인남자의 혈청 지질수준 및 인지질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ale Juice on Serum Lipid Levels & Phospholipid Fatty Acid Composition in Hypercholesterolemic Men)

  • 정은정;심유진;김수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538-1544
    • /
    • 2012
  • 고콜레스테롤혈증(총 콜레스테롤 농도 200 mg/dl 이상)인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12주간 케일녹즙 중재실험을 실시하여 실험 전과 후의 혈청 지질농도와 혈청 인지질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는 녹즙 섭취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녹즙 섭취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LDL-콜레스테롤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atherogenic index 역시 녹즙 섭취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대상자들은 녹즙 섭취 전 후로 BMI, 허리둘레, 혈압 등의 신체계측치와 흡연, 음주 등의 생활습관 및 영양소 섭취패턴에 유의한 변화 없이 12주 중재실험기간 동안 평상시 생활패턴을 유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녹즙에 섬유소가 거의 함유되어있지 않으므로 혈청지질 개선효과는 녹즙에 풍부한 항산화 영양소에 의한 효과로 사료된다. 녹즙섭취 후에 유의한 변화를 보인 혈청 인지질 지방산 조성 중에서 12:0, 14:0, $18:1{\omega}9$, $18:3{\omega}6$ 조성 및 총 단일불포화지방산 조성은 증가하고 $22:4{\omega}6$ 조성은 감소하였다. 특히 올레산($18:1{\omega}9$) 조성은 55~58% 증가하였는데 다중불포화지방산 못지않게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켜주며, 다중불포화지방산보다 LDL의 산화를 감소시켜 동맥경화증이나 관상심장질환의 위험을 줄여주는 지방산으로 알려져 있다. 12주간의 녹즙섭취는 혈청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크게 변화시키지 않지만 궁극적으로 지방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변화를 초래하고 이로 인해 고콜레스테롤 환자의 혈중 지질농도를 개선시켜줄 것으로 사료된다.

탄수화물이 Aspergillus, Rhizopus, Candida 세포의 인지질 합성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bohydrates on the Biosynthesis of Phospholip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Aspergillus, Rhizopus and Candida Cells)

  • 조선희;이종삼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30
    • /
    • 1994
  • 탄수화물(포도당, 서당, raffinose)을 각각 처리한 배지에서 배양한 진균류(Aspergillus phoenicis, Rhizopus acidus, Candida albicans)의 세포에서 일어나는 지질대사 특히 인지질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당은 Aspergillus와 Candida의 생장에, 포도당은 Rhizopus의 생장에 최적의 당이었다. 포도당은 Aspergillus와 Rhizopus total lipid 합성에, Raffinose는 Candida total lipid 합성에 가장 유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포도당 처리는 Aspergillus의 Pl를 73.7%, Rhizopus의 PC를 292% 증가시켰다. 서당 처리는 Aspergillus의 Pl를 112%, Rhizopus와 Candida의 PC의 함량을 77.7%와 71.8%의 촉진 현상을 보여 주었다. Raffinose 처리는 Aspergillus에서 PC의 함량을 29.5% 증가시컸고, PE의 함량은 Rhizopus에서 50.9%, Candida에서 49.1% 촉진하였다. Aspergillus와 Candida의 당 처리구에서 PC와 PE를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주로 oleic acid와 linoleic acid이었다. 인지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으로 Aspergillus에서는 palmitic acid와 linoleic acid, Rhizopus에서는 palmitic acid, Candida에서는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로 조사되었다. 이들 3진균류가 당 처리시 인지질 합성에 공통으로 이용하는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로 분석되었다.

  • PDF

화분립(花粉粒)의 영양생화학적(營養生化學的) 연구(硏究) -1. 해바라기 화분립(花粉粒)의 지질조성(脂質組成)과 Mouse 간장(肝臟) 콜레스테롤 대사(代謝)에 미치는 영향(影響)- (Nutritional and Biochemical Studies on the Pollen toads -1. Studies on Lipid Compositions of Sunflower Pollen toad and Effects of Its Pollen toad on Liver Cholesterol Metabolism in Mouse-)

  • 정영건;윤수홍;권정숙;배만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9-174
    • /
    • 1984
  • 해바라기 화분립이 mouse의 간장에서 cholesterol 대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서 해바라기 화분립으로부터 추출한 지질을 column chromatography, thin-layer chromatography 및 gas-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해서 분석했다. 또한 mouse에 화분립을 투여하였을 때 간장에서의 cholesterol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1. 화분립의 지질은 neutral lipid 84.10%, glycolipid 10.50%, phospholipid 5.40%를 함유했다. 2. 중성지방질의 조성은 triglyceride가 71.20%로 가장 많고, sterol ester, diglyceride, monoglyceride, free fatty acid, sterol의 순이다. 3. neutral lipid, glycolipid, phospholip의 주요지방산은 linoleic acid 28.48${\sim}$33.70%, palmitic acid 12.90${\sim}$47.50%, oleic acid 11.20${\sim}$12.20% 이다. 그러나 phospholipid는 다른 지질보다 palmitic acid를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 4. 해바라기 화분립 투여 mouse의 체중은 대조군 보다 현저하게 증가했다. 5. 화분립을 투여한 mouse의 간장지질대사가 대조군보다 활발함을 알 수 있었다. 6. 화분립 투여 mouse의 간 cholesterol치가 초기에는 증가했으나, 말기에는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했다.

  • PDF

A Study of Arctic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Response to Increased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by Phospholipid Fatty Acid Analysis

  • Sungjin Nam;Ji Young Jung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4권2호
    • /
    • pp.86-94
    • /
    • 2023
  • Climate change is more rapid in the Arctic than elsewhere in the world, and increased precipitation and warming are expected cause changes in biogeochemical processes due to altered microbial communities and activities. It is crucial to investigate microbial responses to climate change to understand changes in carbon and nitrogen dynamic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creased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n microbial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in dry tundra using two depths of soil samples (organic and mineral layers) under four treatments (control, warming, increased precipitation, and warming with increased precipitation) during the growing season (June-September) in Cambridge Bay, Canada (69°N, 105°W). A phospholipid fatty acid (PLFA)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detect active microorganisms and distinguish major functional groups (e.g., fungi and bacteria) with different roles in organic matter decomposition. The soil layers featured different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ratios of fungal/bacterial and gram-positive/-negative bacteria were higher in the mineral layer, possibly connected to low substrate quality. Increased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had no effect in either layer, possibly due to the relatively short treatment period (seven years) or the ecosystem type. Mostly, sampling times did not affect PLFAs in the organic layer, but June mineral soil samples showed higher contents of total PLFAs and PLFA biomarkers for bacteria and fungi than those in other months. Despite the lack of response found in this investigation, long-term monitoring of these communities should be maintained because of the slow response times of vegetation and other parameters in high-Arctic ecosystems.

이진탕가창출백출(二陳湯加蒼朮白朮)이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생쥐의 비만증에 미치는 영향 (Experimental Effects of Ijin-tang add Atractylodis Rhizoma and Atratcylodis Macrocephalae Rhizoma Extract in Obese Mice Induced by High Fat Diet)

  • 이상영;정현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9-95
    • /
    • 2008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jin-tang add Atractylodis rhizoma and Atratcylodis macrocephalae rhizoma (IJTAA) on the change of weight and serum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total lipid and phospholipid level in obese mice induced by high fat diet. Experimental groups were as follows ; Normal group was fed normal diet and administered distilled water during 7 weeks, Control group was fed high fat diet and administered distilled water during 7 weeks, Sample A group was fed high fat diet and administered IJTAA 500 ㎎/㎏/day/mouse during 7 weeks, Sample B group was fed high fat diet and administered IJTAA 700 ㎎/㎏/day/mouse during 7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Sample A group and Sample B group, The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dy weight,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serum triglyceride level, serum free fatty acid level, serum total lipid level and serum phospholipid level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2. In Sample A group and Sample B group, The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erum HDL-cholesterol level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3. In Sample A group and Sample B group, There were decreased in serum LDL-cholesterol level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According to above results, I suggest IJTAA is able to be used for managing obesity by controllong body weight,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serum triglyceride level, serum free fatty acid level, serum total lipid level and serum phospholipid level.

육군자탕이 비만마우스의 체중 및 혈청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Yukgunja-tang on the Change of Weight and Serum level in Mice Fed High Fat Diet)

  • 배인태;정현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412-1418
    • /
    • 2003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ukgunja-tang(YGJT) on the change of weight and serum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total lipid, phospholipid level in obese mice induced by high fat diet. I fed normal group fed normal diet and administered DDW 0.2㎖ during 7 weeks, control group fed high fat diet and administered DDW 0.2㎖ during 7 weeks, sample A group fed high diet and administered YGJT 300mg/kg 0.2㎖ during 7 weeks, sample B group fed high diet and administered YGJT 500mg/kg 0.2㎖ during 7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Sample A and Sample B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weight(4weeks) and serum free fatty acid level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2. Sample 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weight(7weeks),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and serum total lipid level, but significantly increased serum HDL-cholesterol level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3. Sample A was decreased serum LDL-cholesterol level, serum triglyceride level and serum phospholipid level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4. Sample B was increased serum HDL-cholesterol level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5. Sample B was decreased body weight(7weeks),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serum LDL-cholesterol level, serum triglyceride level, serum total lipid level and serum phospholipid level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According to above results, I suggest YGJT is able to be used for the herbal medication of obesity.

양성 유방 종양과 유방암 환자의 혈청 인지질 지방산 조성 (Serum Phospholipid Fatty Acids in Benign Breast Tumor and Breast Cancer)

  • 심유진;안세현;황유정;이양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3호
    • /
    • pp.213-22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과 유방 양성종양 환자의 혈청 인지질 지방산 조성을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유방암군을 병기에 따라 네 개의 군으로 분류하거나 림프절 전이 여부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혈청 인지질 지방산 조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출산 자녀수에서 양성 유방 종양과 유방암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다. 2) 대조군과 양성 유방 종양환자에 비해 유방암 환자에서 ${\omega}$3계 PUFA인 혈청 인지질 DGLA와 AA의 수준이 높았으며 ${\omega}$3계 PUFA인 eicosatrienoic acid는 대조군에 비하여 양성 유방종양군과 유방암군에서 낮았으며, DPA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방암 환자에서 낮은 수준이었다. 3) 총 SFA의 합은 대조군과 양성 유방종양 환자에 비하여 유방암 환자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almitic acid는 대조군과 양성 유방 종양 환자군에 비하여 유방암 환자군에서 높았으나, stearic acid는 대조군에 비하여 양성 유방 종양 환자군과 유방암 환자군에서 낮은 것이 특징적이었다. 4) SI로서 C18 : 0/C18 : 1 비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양성 유방 종양 환자군과 유방암 환자군에서 낮았다. 5) AA 수준은 0기에 비하여 I, II, III기에서 높았으며, 림프절 전이 음성인 군과 양성인 군을 비교했을 때 양성인군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tearic acid의 수준은 네개의 군 중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병기인 0기와 가장 높은 수준의 병기인 III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0기에 비하여 III기에서 stearic acid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와 같이 혈청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유방암 환자군에서 변화되어 있었으며 특히 양성 유방종양 단계에서 변화가 나타난 지방산도 있었다. 또한 AA와 stearic acid 등 일부 개별 지방산들은 유방암의 진행 단계와도 관련되어 있었다. 따라서 혈청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유방암의 예방 뿐 아니라 진행의 단계에 따라 유의 깊게 관찰해야 할 중요한 요소로 사료된다.

더덕(沙蔘)의 년근별(年根別) 화학성분(化學性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2報) : 지질분획(脂質分劃)의 분리(分離)- (Chemical Composition of Cultured and Wild Codonopsis lanceolata Roots of Different Age Groups -II. Separation of the Lipid Fractions-)

  • 박부덕;박용곤;최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80-283
    • /
    • 1985
  • 재배(栽培)더덕과 야생(野生)더덕의 지질성분(脂質成分)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Chloroform-metanol(2:1, v/v), 혼합 용매로 추출한 재배더덕(5년근(年根))과 야생더덕(8년근(年根))의 지질(脂質)을 silicic acid column, thin layer chromatography 및 gas liquid chromatography로 분리(分離), 정량(定量)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재배더덕과 야생더덕의 지질중(中)에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분획이 중성(中性) 지질이었고 그 다음 인지질, 당지질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그러나 중성지질의 구성비율이 비교적 적고 인지질의 그것이 많은 것이 특이하였으며, 재배더덕에는 지질의 41.30%, 야생더덕에는 29.34%의 인지질이 함유되어 있었다. 중성지질 중 가장 많이 함유된 분획은 triglyceride로써 재배더덕에서 39.49%, 야생더덕에서 32.88%, 함유되어 있었고 그 다음은 sterol ester, 유리지방산 등의 순으로 함유되었고 야생더덕에는 유화제로 작용할 수 있는 sterol ester 및 monoglyceride 함량이 각각 중성지질의 27.74%와 5.11%로써 대단히 높았다. 더덕 지질의 가수분해물의 지방산 조성중 total lipid의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재배더덕이 25.45% : 74.37%였다. 더덕의 total lipid의 지방산 중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이 linoleic acid로써 재배더덕이 44.18%, 야생더덕이 40.04% 였으며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에서도 lin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이 linolenic acid, palmitic acid 순으로 함유되어 주된 지방산을 구성하였다. 더덕 지질의 주된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와 lauric acid였으며 재배더덕의 중성지질 중에는 11.13%의 높은 lauric acid가 함유되어 있었고 야생더덕의 glycolipid와 phospholipid에는 각각 11.06 및 9.34%의 lauric acid가 함유되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