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ophytin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2초

저장기간에 따른 오이김치의 비타민 C 및 클로로필 함량변화 (Changes of Vitamin C and Chlorophyll Contents in Oi-Kimchi with Storage time)

  • 박미란;이연정;고즈쿠에 노부유키;한재숙;최석현;허성미;한경필;최수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66-572
    • /
    • 2004
  • 우수한 알카리성 식품이자 발효식품인 오이김치를 직접 제조하여 저장기간별로 글로로필, 비타민 C의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오이김치의 저장기간별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클로로필은 클로로필 a의 경우 저장 0일 52.21%, 저장 11일 20.67%, 저장 14일은 분포를 보이지 않았고 클로로필 b의 경우는 저장 0일 14.44%, 저장 11일 16.99%. 저장 14일까지는 클로로필 a와 마찬가지로 분포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Phephorbide a의 경우는 저장 0일 28.44%. 저장 5일 31.20%. 저장 11일 42.63%로 증가하였으나, 저장 12일에서 14일까지는 분포하지 않았다. Phephorbide b의 경우는 저장 0일 1.25%,저장 1일 10.55%, 저장 11일 15.79%로 증가하였으며 저장 12일에서 14일까지는 분포하지 않았다. Pheophytin a의 경우는 서장 0일 2.85%, 저장 11일 3.92%, 저장 12일에서 14일까지는 소실되었고, Pheophytin b는 저장 0일 0.62%, 저장 5일 1.71%로 증가하다가 저장 11일에서 14일은 분포하지 않았다. 비타민 C는 저장 0일 2.57(mg/100g), 저장 4일 5.49(mg/100g)으로 증가, 저장 11일 2.95(mg/100g)으로 감소, 저장 14일에는 소실되었다. 관능평가는 외관, 냄새, 맛, 질감, 종합적인 맛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저장 8일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저장 10일부터는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보일드 굴 통조림의 저장에 따르는 변색원인에 관한 연구 제1보.굴의 갈변 원인 색소의 분리 및 그 분광학적 성질 (Studies on the Mechanism of Pigmentation during Storage of Canned Boiled Oysters I. Isolation and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f Pigments Isolated from Brown Oysters)

  • 이태녕;장유경;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09-213
    • /
    • 1974
  • 저장중에 변색(變色)된 굴통조림의 황변패육부위(黃變貝肉部位, 생식소(生殖巢)) 및 청록색 내장(주로 소화육낭(消化育囊))을 각각 함수(含水)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얻은 색소 물질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분리하였다. 함수 아세톤으로 추출한 색소 추출액으로 부터 11종 의 황색 (1종), 적색 (1종), 등색 또는 적등색(赤燈色)(5종) 및 녹청(綠靑)(4종) 색소를 분리하고 각각의 가시 부 흡수 스펙트럼을 얻었다. 전자 흡수 스펙트럼 및 몇가지 발색반응(發色反應)에 의하여 함수 아세톤에 의해 추출되는 황갈색(黃褐色) 색소액의 성분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청록색색소에 있어서는 물론 대부분의 황등색 색소들도 클로로필 (chlorophyll)의 분해로 유래되었다고 생각되는 포르피린(porphyrin) 유도체이며 일부의 황등색 색소는 carbonyl 원자단을 갖인 캐로틴오이드(carotenoid)로 추정되었다. 특히 피오피틴(pheophytin) a 내지 그 유연체(類緣體)라고 생각되는 밴드 8의 색소와 캐로틴오이드 라 추정되는 밴드 7의 색소가 함량이 높은 주요 색소들이다. 황변패육(黃變貝肉)의 추출물의 크로마토그람이 내장의 추출액의 그것과 정성적으로 유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패육(貝肉)의 황변물질(黃變物質)은 내장 색소에서 유래되며 이 황갈 변색을 일으키는 phorphyrin 유도체 및 carotenoid 들은 함수 아세톤에 잘 용해되는 성질의 것임을 알수 있었다.

  • PDF

고추장아찌 숙성 중 아스코르브산 및 클로로필의 함량 변화 (The Changes of Ascorbic Acid and Chlorophylls Content in Gochu-jangachi during Fermentation)

  • 정숙자;김경업;김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14-818
    • /
    • 2001
  •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발효식품으로서 장아찌류의 일종인 고추장아찌를 2가지 방법으로 제조하여 5$^{\circ}C$와 15$^{\circ}C$에서 보관 숙성시키면서 염도, pH, 아스코르브산, chlorophyll 및 그 유도체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여 검토하였다. 장아찡의 염 농도는 담근원의 염도와 상관이 있었으며 저장온도가 높은 쪽이 염의 침투 속도가 빨랐다. 숙성 중 pH는 5$^{\circ}C$의 경우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으나 15$^{\circ}C$의 경우는 된장 담금은 32일째부터 pH 5.0 이하로 낮아졌다.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은 숙성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감소되었는데 특히 15$^{\circ}C$에서 된장 담금인 경우에 보다 급속하게 감소되어 16일째에 잔존율이 2% 정도였고 그 이후로는 소실되었다. 고추장아찌가 숙성됨에 따라 chlorophyll a 및 chlorophyll b의 함량은 크게 감소되었고, pheophytin과 pheophorbide a의 함량은 크게 증가되었는데, 이는 된장 담금인 경우가 간장 담금한 경우보다 그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아스코르브산의 함량과 chlorophyll 분해율과의 관계를 검토해보면 아스코르브산이 급격하게 파괴됨에 따라 chlorophyll 분해도 급속하게 일어났으며 pheophorbide 생성량도 빠른 속도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재(회) 처리의 미역 색소 안정화 효과 (PIGMENT STABILIZATION OF FRESH UNDARIA PINNATIFIDA WHEN TREATED WITH ASHES)

  • 김상애;이강호;박동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0-128
    • /
    • 1970
  • In this study, changes in chlorophyll and carotenoid pigment in fresh and ash treated Undaria pinnetifida were determined by column chromatography. And pigment stabilizing effects of ashes were discusse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ain carotenoids of Undaria pinnetifida are fucoxanthin, violaxanthin, lutein and $\beta-carotene$. 2. In storage of fresh Undaria pinnetifida at $2-5^{\circ}C$ for 30 days, chlorophyll a decreased rapidly and mainly converted to pheophytin a. Among carotenoids, lutein was markedly lost while the others retained approximately $30\%$ after 30 days' storage. 3, By treating the sample with ashes, the loss of chlorophyll a was restrained whereas that of carotenoids seemed to be promoted. It is considered that pigment stabilization was attributed to both effect, the pH control effect by the alkalinity of ashes and the fixation of the pigment by heavy metals in ashes. The stabilizing effect of chlorophyll a differed from the kind of ashes used. Reed ashes showed better effect than others such as straw or pine ashes. 4. Since fucoxanthin is extremely sensitive to alkali the treatment of ashes with a high alkalinity resulted in rapid decrease of the pigment during storage. 5. In the analysis of ashes, reed ashes which had better effect on chlorophyll a retention than the other ashes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iron.

  • PDF

멸치를 첨가한 김치의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nchovy Added Kimchi)

  • 문갑순;류복미;전영수;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60-469
    • /
    • 1996
  • This study was intended to observe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nchovy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4$^{\circ}C$ for 4 weeks. Salting of Chinese cabbage for 10 hours at 10% brine solution was turned out to be appropriate organoleptically for kimchi preparation. Salt content of all kimchies prepared in this study was below 2%. The changes of pH and acidity during fermentation was slow in raw anchovy added kimchi compared to other kimchies. The content of vitamin C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through the fermentation period, whereas the content of reducing sugar was increased at the early stage of fermentation and subsequently decreased as fermentation proceeded.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was the highest in raw anchovy added kimchi. The content of calcium and phosphorus were higher in anchovy powder added kimchi and raw anchovy added kimchi than control. In the early stage of fermentation, the major pigments of kimchi were the chlorophyll and carotenoid, but in the later stage of fermentation, the color of Chinese cabbage became greenish brown as chlorophyll was converted to pheophytin. In sensory evaluation test, raw anchovy added kimchi received high score at the early stage of fermentation and anchovy powder added kimchi at the late stage of fermentation, respectively.

  • PDF

배추, 열무 및 갓김치 저장 중의 Chlorophyll 및 그 유도체의 함량변화 (Changes of Chlorophyll and their Derivative Contents during Storage of Chinese Cabbage, Leafy Radish and Leaf Mustard Kimchi)

  • 이종호;김경업;이용숙;김성희;정효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52-857
    • /
    • 1998
  • Three kinds of kimchi using Chinese cabbage, leafy radish and mustard leaf were prepared by conventional method and stored at 5$^{\circ}C$ or 2$0^{\circ}C$ for 13 dyas. During storage at both temperatures, changes of the amounts of salt and ascorbic acid, pH and total acidity were determined, and the relationship of the decomposition of chlorophylls with the production of their derivaties was studied. At both storage temperatures, salt concentr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3.7%), leafy radish kimchi(3.6%), mustard leaf kimchi(3.5%) was relatively constant during the entire storage period. However, pH and total acidity wre fluctuating with the remarkable changes during 3 days of storage. Ascorbic acid content was slowly decreased during the storage period and the decompositin rate of ascorbic and was greater at 2$0^{\circ}C$ than 5$^{\circ}C$. Among the kinds of kimchi tested, mustard leaf kimchi with the slow decomposition rate of ascorbic acid contained relatively high ascorbic acid content, while leafy radish kimchi contained the lowest content. At both storage temperatures, the production of pheophytin and pheophorbide from decomposition of chlorophyll was least in mustard leaf kimchi, but similar production rates in leafy radish and Chinese cabbage kimchi were observed.

  • PDF

조간대 퇴적 환경에 따른 저서미세조류 색소와 총 아데노신 3인산(ATP: Adenosine-5' triphosphate)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Microphytobenthic Pigments and Total Microbial Biomass by ATP in Intertidal Sediments)

  • 하선용;최보형;민준오;전수아;신경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1호
    • /
    • pp.39-50
    • /
    • 2013
  • Biomass and community composition of microphytobentos in tidal flats were studied by HPLC analysis and also investiga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phytobenthic pigments and Adenosine-5' triphosphate (ATP) as an index of total microbial biomass in intertidal environments (muddy and sandy sediment) of G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Microphytobenthic pigments and ATP concentration in muddy sediment were the highest at the surface while the biomass of microphytobenthos in sandy sediment was the highest at the sub-surface (0.75 cm sediment depth). The detected pigments of microphytobenthos were chlorophyll a, b (euglenophytes), $c_3$, peridinin (dinoflagellates), fucoxanthin (diatom or chrysophytes), diadinoxanthin, alloxanthin (cryptophytes), diatoxanthin, zeaxanthin (cyanobacteria), ${\beta}$-carotein, and pheophytin a (the degraded product of chlorophyll a). Among the pigments which were detected, the concentration of fucoxanthin was the highest, indicating that diatoms dominated in the microphytobenthic community of the tidal flats.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C (Organic Carbon) and ATP in both sediments. However,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lorophyll a concentration and ATP concentration was found in sandy sediment, suggesting that microbial biomass could be affected by labile OC derived from microphytobenthos. These results provide information that may help u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phytobenthos and microbial biomass in different intertidal sediment environments.

한국 서해 새만금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의 생체량과 군집조성에 대한 HPLC 분석 (HPLC Analysis of Biomass and Community Composition of Microphytobenthos in the Saemankeum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 오승진;문창호;박미옥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15-225
    • /
    • 2004
  • Biomass and community composition of microphytobenthos in the Saemankeum tidal flat were studied by HPLC analysis of the photosynthetic pigments from November 2001 to November 2002.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sediment were also investiga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phytobenthos biomass and sedimentary environments. The detected photosynthetic pigments of microphytobenthos were chlorophyll a, b, c, fucoxanthin, 19'-hexanoyloxyfucoxanthin, violaxanthin, diadinoxanthin, alloxanthin, diatoxanthin, zeaxanthin+lutein, peridinin and beta-carotene. Pheophytin a, the degradation product of chlorophyll a, was also detected. The results of pigmen analysis suggest the presence of diatom (fucoxanthin), euglenophytes (chlorophyll b), chlorophytes (chlorophyll b + lutein), cyanobacteria (zeaxanthin), cryptophytes (alloxanthin), chrysophytes (fucoxanthin + violaxanthin), prymnesiophytes (19'-hexanoyloxyfucoxanthin) and dinoflagellates (peridinin).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the top 0.5 cm of sediment was in the range of $0.24\;mg{\cdot}m\^{-2}\;-32.11\;mg{\cdot}m\^{-2}$ in the study area. The increase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the spring indicates the occurrence of a microphytobenthic bloom. In the summer, there was a sharp decrease of th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hich was probably due to high grazing activity by macrobenthos. The annual mean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the study area was low compared to that in most of other tidal flat areas probably due to active resuspension of microphytobenthos and high grazing activity by macrobenthos. There was no clear relationship between microphytobenthos biomass and sedimentary environments because of a large variety of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factors, Pigment analysis indicated that while diatoms were dominated in the microphytobenthic community of the Geojon tidal flat, euglenophytes and/or chlorophytes coexisted with diatoms in the Mangyung River tidal flat.

아황산(亞黃酸)가스에 의(依)한 농작물(農作物)의 피해생리(被害生理) 감수율(減收率) 및 피해경감(被害輕減)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 of Sulfur Dioxide on Crops - Physiology of Lesion, Yield Loss, and Preventive Measures)

  • 한기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6권3호
    • /
    • pp.146-165
    • /
    • 1973
  • 대기오염물질중(大氣汚染物質中) 가장 중요(重要)한 아황산(亞黃酸)가스가 농작물(農作物)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기초(基礎) 자료(資料)를 얻고자 아황산(亞黃酸)가스가 작물(作物)에 미치는 피해생리(被害生理)와 동(同)가스의 농도별(濃度別) 및 작물(作物)의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농작물수량(農作物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이들 피해(被害)로 부터 작물(作物)을 보호(保護)하기 위(爲)한 방법(方法)을 모색(摸索)하기 위(爲)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피해(被害) 생리(生理) 가. 아항산(亞黃酸)가스 처리(處理)는 작물(作物)(배추)조직(組織)의 pH및 Eh에는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다. 나. 작물(作物)(배추)중(中) peroxidase 의 활성(活性)은 아황산(亞黃酸)가스 처리(處理)로 저하(低下)되었으나 경시적(徑時的)으로 회복(回復)되어처리(處理) 10시간(10時間) 후(後)에는 무처리(無處理)와 대등(對等)하였다. 다. 용액중(溶液中)의 엽록소(葉綠素)는 아황산(亞黃酸)가스에 의(依)하여 순간적(瞬間的)으로 또 불가역적(不可逆的)으로 퇴색(褪色)된다. 그러나 pheophytin의 생성(生成)은 관찰(觀察)되지 않았으며 엽록소(葉綠素)의 퇴색(褪色) 생성물(生成物)은 아황산(亞黃酸)가스의 부가화합물(附加化合物) 또는 그 환원(還元) 생성물(生成物)인 것같다. 라. 엽록체중(葉綠體中)의 엽록소(葉綠素)도 아황산(亞黃酸)가스에 의(依)하여 용액중(溶液中)의 엽록소(葉綠素)와 같은 현상(現像)으로 퇴색(褪色)되었으나 다만 그 속도(速度)가 완만(緩慢)하여 $1{\sim}2$시간(時間)이 소요(所要)되었다. 마. 아황산(亞黃酸)가스의 식물(植物)에 대(對)한 가장 큰 가해작용(加害作用)의 하나는 엽록소(葉綠素)의 파괴(破壞)인것 같다. 2. 농작물(農作物)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가. 아황산(亞黃酸)가스 처리(處理) 농도(濃度)에 비례(比例)하여 증가(增加)함을 확인(確認)하였다. 나. 아황산(亞黃酸)가스가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작물수량(作物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개화기(開花期)에 가장 심(甚)하였으며 다음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신장기(伸長期), 유숙기(乳熟期), 최고분얼기(最高分蘖期)의 순위(順位)였다. 다. 아황산(亞黃酸)가스에 대(對)한 작물별(作物別) 저항성(抵抗性)은 처리농도(處理濃度)에 따라 다소(多少) 상이(相異)하나 일반적(一般的)으로 소맥(小麥)이 가장 강(强)하였으며 다음이 수도(水稻), 대맥(大麥), 파, 무, 배추의 순위(順位)로 십자화작물(十字花作物)은 화본(禾本) 과작물(科作物) 및 두과작물(豆科作物)보다 감수성(感受性)이 컸다. 3. 피해(被害) 경감(輕減) 효과 가. 아황산(亞黃酸)가스에 의(依)한 작물피해(作物被害)는 가리(加里), 규회석(珪灰石), 및 석회시용(石灰施用), 그리고 석회유(石灰乳)의 엽면(葉面) 살포(撒布)로 수도(水稻), 대맥(大麥), 대두(大豆)에 그 효과(?果)가 인정(認定)되었다. 나. 석회유(石灰乳)의 살포(撒布)는 가장 우수(優秀)한 피해경감효과를 보였다. 다. 수도(水稻)에 대(對)한 석회유(石灰乳)의 살포(撒布)는 탄소동화작용(炭素同化作用)을 현저(顯著)히 증가(增加)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