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nethyl alcohol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4초

아미노산(酸)의 종류(種類)에 따라 Sacchromyces cerevisiae가 생성(生成)하는 향기(香氣)의 변화(變化) (Aroma Produced by Scharomyces cerevisiae Using Various Amino Acids)

  • 신현경;안병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3호
    • /
    • pp.196-201
    • /
    • 1985
  •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여 합성배지중 질소원을 변화시키면서 생성된 향기성분을 조사한 결과 아미노산에 따라서 향기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aspartic acid 배지는 전통적인 탁주향기, leucine배지는 휴젤유취 그리고 phenylalanine배지는 꽃향기등 흥미있는 향기를 발산하였다. 이들 배양액의 휘발성 화합물을 GC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ethanol, iso-amyl alcohol, n-propanol이 주된 성분으로 밝혀졌으며 이외에 aspartic acid 배지에서는 phenethyl alcohol이 그리고 phenylalanine배지에서는 상당량의 phenethyl alcohol과 phenethyl acetate가 검출되었다.

  • PDF

GC-MS 및 HPLC를 이용한 대추발효주의 유리 아미노산 및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Free Amino Acids and Flavors in Fermented Jujube Wine by HPLC and GC/MS)

  • 전명숙;김순진;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79-784
    • /
    • 2012
  • 통대추(JW1), 대추과육(JW2), 대추과즙(JW3)에 효모를 사용하여 만든 대추발효주의 제조과정 중 유리 아미노산과 향기성분을 HPLC와 GC-MS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ysteine등 18종의 유리 아미노산이 검출 되었고 시험구별 총량은 각각 통대추구(JW1)가 141-210 ppm, 과육구(JW2)가 147-342 ppm, 과즙구(JW3)가 336-362 ppm이었다. 이 중 다량 검출된 유리 아미노산은 proline, aspartate, glutamate, arginine이었다. 한편 향기성분은 ethyl alcohol, iso-butyl alcohol, n-butyl alcohol, iso-amyl alcohol, n-amyl alcohol, phenethyl alcohol의 alcohol류 6종, ethyl acetate, hexyl acetate, ethyl caprylate, phenethyl acetate의 ester류 4종, diethylacetal, furfural, benzaldehyde의 aldehyde류 3종이 검출 되었으며 이 중 ethyl alcohol(30.50-33.95% peak area), benzaldehyde(2.55-15.97% peak area), iso-amyl alcohol(1.04-14.73% peak area), furfural(0.07-15.28% peak area), phenethyl acetate(0.78-9.28% peak area)가 많이 검출 되었다.

시판 정치배양 현미식초의 유리아미노산 및 휘발성 향기성분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Free Amino Acids and Volatile-Flavor Compounds in the Commercial Brown-Rice Vinegar Prepared via Static Acetic-Acid Fermentation)

  • 김귀란;윤성란;이수원;정미선;곽지영;정용진;여수환;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803-810
    • /
    • 2011
  • 본 연구는 정치발효에 의한 국산 및 일본산 현미식초의 품질비교를 실시하였다. 국내산 현미식초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proline, glutamic acid와 phenylalanine인 반면, 일본산 현미식초는 proline, valine, phenylalanine, lysine, ${\gamma}$-aminobutyric acid, alanine과 isoleucine이었다. ${\gamma}$-aminobutyric acid (GABA)와 총아미노산 함량(3686.37~4212.27 mg%)은 국내산 정치배양 현미식초에 비해 일본산 정치배양 현미식초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GC-MS에 의한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결과, 식초의 주된 휘발성 향기성분인 acetic acid 이외에 국내에서 제조된 현미식초는 ethyl acetate, benzaldehyde, phenethyl alcohol와 phenethyl acetate 이었으나, 일본에서 제조된 현미식초는 ethyl acetate, phenethyl alcohol, ethyl alcohol, isoamyl acetate, phenethyl acetate와 benzaldehyde이었다. 전자코에 의한 향미패턴 분석결과, 국내 및 일본산 정치배양 현미식초 간의 향미패턴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전자코에 의해 효과적인 구별이 가능하였다. 또한 일본산 현미식초는 제품 간 유사한 향기성분을 나타내었으나, 국산 현미식초는 제조사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을 보였다.

Characteristics of Korean Alcoholic Beverages Produced by Using Rice Nuruks Containing Aspergillus oryzae N159-1

  • Kim, Hye Ryun;Lee, Ae Ran;Kim, Jae-Ho
    • Mycobiology
    • /
    • 제45권2호
    • /
    • pp.119-122
    • /
    • 2017
  • Herein, nuruks derived from non-glutinous and glutinous rice inoculated with Aspergillus oryzae N159-1 (having high alpha-amylase and beta-glucosidase activities) were used to produce Korean alcoholic beverages. The resultant beverages had enhanced fruity (ethyl caproate and isoamyl alcohol) and rose (2-phenethyl acetate and phenethyl alcohol) flavors and high taste scores.

Could Organic Solvents Be Used for the Alteration of Flux of Hydrophobic Intermediates through a Metabolic Pathway in Microorganisms\ulcorner

  • Zucchi, Gioia;Khan, Jeffrey-A.;Vulfson, Evgeny-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6호
    • /
    • pp.719-722
    • /
    • 1998
  • The addition of decane to biotransfonnation media containing Yarrowia lipolytica led to the accumulation of intennediate L-phenylacetaldehyde and L-phenethyl acetate during bioconversion of L-phenylalanine, whilst none of these products were obtained in conventional aqueous fennentations. The results obtained support an earlier hypothesis (Spinnler et al. 1996. Proc. Natl. A cad. Sci. USA 93: 3373-3376) that organic solvents, acting as "thermodynamic traps" for hydrophobic intermediates, can substantially alter metabolic fluxes.

  • PDF

숙지황(熟地黃)의 성분연구 (Phytochemical Studies on Rehmanniae Radix Preparata)

  • 이주영;이은주;김주선;이제현;강삼식
    • 생약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17-126
    • /
    • 2011
  • Twenty-two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70% ethanolic extract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Scrophulariaceae) and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three triterpenoids [oleanolic acid (1), pomonic acid (2) and ursolic acid (5)], an iridoid, catalpol (13), four furan derivatives [5-hydroxymethyl-2-furaldehyde acetate (3), 5-hydroxymethyl-2-furfural (6), 5-hydroxymethyl-2-furancarboxylic acid (7), and 5-(${\alpha}$-D-galactopyranosyloxymethyl)-2-furancarboxaldehyde (15)], three phenethyl alcohol glycosides [darendoside B (14), phenethyl alcohol 2-O-${\beta}$-D-xyl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 (17), and salidroside (19)], four sugar derivatives [L-arabinose (11), raffinose (20), stachyose (21), and mannitol (22)], and seven others [2,5-dihydroxyacetophenone (4), succinic acid (8), daucosterol (9), ${\beta}$-sitosterol (10), adenosine (16), uridine (18) jio-cerebroside (12)].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methods and comparison with literature value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triterpenoids oleanolic acid (1), pomonic acid (2), and ursolic acid (5) from the genus Rehmannia, as well as the first report of compounds 5-hydroxymethyl-2-furaldehyde acetate (3), 2,5-dihydroxyacetophenone (4), daucosterol (9), darendoside B (14), 5-(${\alpha}$-D-galactopyranosyloxymethyl)-2-furancarboxaldehyde (15), adenosine (16), phenethyl alcohol 2-O-${\beta}$-D-xyl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 (17), and salidroside (19) from the Rehmanniae Radix Preparata.

토양에서 분리한 Hansenula saturnus var. saturnus에 의한 휘발성 방향성분의 생성 (Aroma Compounds Produced by the Yeast Hansenula saturnus var. saturnus Isolated from Soil)

  • 안병학;강훈승;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18-723
    • /
    • 1988
  • 미생물에 의한 방향성 화합물의 생성을 목적으로 토양으로부터 꽃향, 또는 과일향의 생성능력이 강한 효모를 분리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Hansenula saturnus var. saturnus로 동정되었다. 방향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배지조성을 검토한 결과 탄소원으로는 포도당이 질소원으로는 질산 나트륨과 페닐알라닌이 가장 좋은 방향을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양액의 농축물로부터 GC 또는 GC-MS를 이용하여 17개의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이중 ethyl alcohol, isobutyl alcohol, isoamyl alcohol, phenethyl alcohol과 이들의 acetate 에스터 및 ethyl caprylate가 주된 성분으로 밝혀졌다. 또한 미생물에 의한 생성물로 보고된 바가 없는 것으로 조사된 dibutyl disulfide, 3-methyl pentanoic acid 및 methyl pentanoate가 분리, 동정되었다.

  • PDF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및 질량분석법에 의한 민속 소주중의 알코올 동족체 분석 (Gas Chromatographic and Mass Spectrometric Determination of Alcohol Homologues in the Korean Folk Sojues (Distilled Liquor))

  • 이동선;박혜성;김건;이택수;노봉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640-652
    • /
    • 1994
  • 전통 민속소주의 향기성분의 실체를 규명할 목적으로 안동소주, 문배술, 이강주, 진도홍주 중에 존재하는 알코올 동족체인 퓨젤유 성분을 GC-FID-MS로 분석하여 중국산 카오량츄인 Moutainchiew, Ergoutoutiu 등과 비교하였다. 다공성 중합체인 Porapak Q를 이용한 고체상 추출법과 수증기 증류법, 용매추출법 등의 시료전처리 방법을 비교 실험하고 분석조건에 따른 알코올 동족체의 용리거동을 검토하였다. 컬럼오븐온도 변화와 분자량, 끓는점, 용량계수 사이에는 직선적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알코올 동족체의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머무름시간, 분자량, 끓는점, 용량계수의 log값들은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알코올 동족체의 유전상수가 클수록 머무름 시간은 짧아지고 용량계수는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탄소수 4개의 sec-butyl alcohol은 유전상수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탄소수 3개인 n-propyl alcohol보다 머무름시간이 짧았다. Ethyl alcohol 이외에 methyl alcohol, n-propyl alcohol, isobutyl alcohol, isopentyl alcohol, phenethyl alcohol 등이 검출되었다. 중국산 고량주에는 n-propyl alcohol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은데 비하여 우리나라 소주에는 isopentyl alcohol의 함량이 높았다. 관능검사보다 객관적인 객관적인 함량형태 인식을 위하여 다변량통계해석법(주성분분석)을 사용하여 고찰한 결과 우리나라 민속소주는 중국산 고량주와는 완전히 다른 형태를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