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aeophyt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Macroalgal Flora of Maxwell Bay,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I. Chlorophyta, Chrysophyta and Phaeophyta

  • Kim, Ji-Hee;Chung, Ho-Sung;Oh, Yoon-Sik;Lee, In-Kyu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209-221
    • /
    • 2001
  • Taxonomic composition of marine benthic algal flora was investigated in an Antarctic bay. Specimens of chlorophyte, chrysophyte and phaeophyte were collected and examined over the period from January 1988 to January 1995 from Maxwell Bay, King George Island. A total of 19 genera and 23 species (7 chlorophytes, 1 chrysophyte and 15 phaeophytes) were identified and described. A chlorophyte Lambia antarctica (Skottsberg) Delepine and a phaeophyte Alethocladus corymbosus (Dickie) Sauvageau were recorded in Maxwell Bay for the first time. Taxonomic keys for the chlorophytes and the phaeophytes were also provided.

  • PDF

북극 스발바드 군도 Kongsfjorden의 해조상 (Macroalgal Flora of Kongsfjorden in Svalbard Islands, the Arctic)

  • 김지희;정호성;최한구;김예동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569-591
    • /
    • 2003
  • Marine benthic flora was investigated in an Arctic bay. Specimens of chlorophyte, phaeophyte, and rhodophyte were collected and examined over the period from July to August 2003 from Kongsfjorden Spitsbergen in Svalbard Islands. A total of 28 genera and 32 species (5 chlorophytes, 18 phaeophytes, and 9 rhodophytes) was identified and described. A green alga Enteromorpha linza(Linnaeus) J. Agardh, a brown alga Asperococcus compresus Griffiths ex Hooker, and three red algae Gracilaria gracilis (Stackhouse) Steentoft et al., Rhodymenia pacifica Kylin and Schizochlaenion rhodotrichum Wynne et Norris were recorded in Svalbard Islands for the first time.

A Harpacticoid Copepod Parasitic in the Cultivated Brown Alga Undaria pinnatifida in Korea

  • PARK Tai-Soo;RHO Yong-Gil;GONG Yong-Gun;LEE Dong-Yeub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39-442
    • /
    • 1990
  • 우리나라 양식미역에 바늘구멍을 뚫는 요각류 유생을 동정하기 위하여 남해안의 양식미역에 서식하는 요각류를 조사하고 미역에 바늘구멍을 뚫는 요각류 유생을 실험실에서 직접사육했다. 남해안의 양식미역 엽체에 서식하고 있는 요각류는 여러 종이 있는데, 이들 중 Ho와 Hong이 기술한 Amenephia orientalis와 다른 미동정종인 Scutellidium sp.가 이번 연구중 미역엽체 세척액속에 계속적으로 많은 양이 출현하였다. 이 두 종에 속하는 암컷중에는 포난개체가 많았다. 사육실험 결과를 보면, $15^{\circ}C$에서 구멍을 뚫는 유생은 15일만에 성체 또는 성체에 가까운 미성체까지 성장했다. 이들 성체 혹은 미성체는 모두 Amenephia orientalis로 동정되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양식미역에 기생하면서 미역엽체에 구멍을 뚫는 종은 Amenephia orientalis로 밝혀졌다.

  • PDF

전복에서의 갈조류 곰피의 섭취 및 phlorotannin 축적 (Dietary Intake and Accumulation of Phlorotannins in Abalone after Feeding the Phaeophyte Ecklonia stolonifera)

  • 이싸 방구라;홍용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80-785
    • /
    • 2015
  • 전복을 4일간 굶긴 후 phlorotannin-고함유 곰피를 제공하여 이의 섭취 및 phlorotannin 축적정도를 조사하였다. 전복의 성장속도는 곰피 혹은 일반 사료로 쓰이는 다시마를 20일간 투여한 경우 서로 비슷하였다. 주된 phlorotannin 성분인 7-phloroeckol 및 eckol은 역상 HPLC로서 측정하였다. 7-phloroeckolol은 섭취 6일만에 전복 건조육 1g당 0.58±0.13 mg 정도 축적되었다. Eckol은 6일만에 전복 건조육 1g당 0.25±0.05 mg 정도 축적되었으며 실험기간 내 그 정도를 유지하였다. 대조군로서의 다시마 투여 전복은 phlorotannin을 전혀 함유하지 않았다. Phlorotannin은 전복 조직내에서의 구성효소들에 의하여 분해되어 지는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phlorotannin 물질들을 가진 고부가 가치의 전복 생산은 전복수확 6일전부터 간단히 사료만 phlorotannin-고함유 곰피로 바꾸어 공급함으로서 생산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