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sticides degradation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4초

Polychlorinated Biphenyl의 토양 미생물 Aspergillus niger에 의한 생분해 경로 (Biodegradation Pathways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by Soil Fungus Aspergillus niger)

  • 김창수;임도형;금영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3
    • /
    • 2016
  • Polychlorinated biphenyl은 현재 대부분의 사용 금지된 염소계 농약과 함께, 대부분의 환경 매질에서 매우 일반적으로 검출되는 잔류성 유기물로서, 209종의 이성질체가 존재하며, 내생호르몬 교란 효과 등, 다양한 생리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당 물질군의 환경 중, 분해소실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토양 등의 복잡한 매질을 주요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또한 개별 이성질체에 관한 연구보다는 Aroclor 등, 혼합물 위주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한편 개별 이성질체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polychlorinated biphenyl 이성질체 중, 구조적 특성이 상이한 5종의 이성질체를 합성하여, 토양 중 일반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미생물인 Aspergillus niger에 의한 대사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Biphenyl 및 polychlorinated biphenyl 이성질체 중, biphenyl, PCB-1, 및 PCB-3은 A. niger에 의하여 매우 빠른 속도로 대사되어 배양 7일 후, 38-65% 내외의 모화합물이 수용성 대사물로 전환되었으나, PCB-38의 경우, 극소량의 대사물이 형성되었고(2%), PCB-126은 모화합물의 대사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염소 치환기가 ortho-위치에 존재하는 PCB-1과 para-위치에 존재하는 PCB-3의 대사속도를 비교한 결과, PCB-3의 대사 속도가 현저히 큰 값을 보였으며, 이는 biphenyl ring의 3차원 형태와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미생물 반응 중, 형성된 주요 대사물은 mono- 및 di-hydroxy PCB로 사료되며, 해당 물질의 독성화학적 성상은 지속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토양에 잔류된 살충제 Chlorpyrifos의 오이 흡수이행 및 분포 양상 (Distribution Patterns of Organophosphorous Insecticide Chlorpyrifos Absorbed from Soil into Cucumber)

  • 황정인;전상오;이상협;이성은;허장현;김권래;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48-155
    • /
    • 2014
  • 토양 중 잔류하는 chlorpyrifos의 오이 흡수 이행과 잔류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생장상 내 실내시험과 시설재배 포장에서의 실외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내 및 실외시험 기간에 토양 중 chlorpyrifos의 분해 반감기는 각각 25.8~73.0일과 32.4~42.3일로 비슷하였다. 실내시험 오이 중 chlorpyrifos의 잔류량은 정식 후 15일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로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오이 뿌리로부터 흡수된 농약의 양은 초기 처리된 절대량의 1.0~1.3% 수준이었다. 흡수된 농약의 대부분은 뿌리에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줄기와 잎 순이었다. 반면에 실외시험 중 수확된 오이열매에서 chlorpyrifos의 잔류량은 LOQ (0.02 mg/kg) 미만으로 안전한 수준이었으며 오이 부위별 시료 분석결과, 실내시험에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뿌리에서 대부분의 잔류량이 검출되었다. 실외시험에서 오이 한 개체에 흡수된 chlorpyrifos는 초기 토양에 살포된 양의 0.03~0.04%로 실내시험에서의 흡수율에 비해 30배 낮은 수준이었다. 따라서 실제 토양환경 중 chlorpyrifos의 잔류수준은 본 시험에서 시험된 고농도(40 mg/kg) 처리구보다 낮은 수준이므로 안전한 농산물의 생산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멀칭재배시(栽培時) 농약(農藥)의 토양(土壤) 및 작물체중(作物體中) 잔류(殘留)에 관한 연구(硏究);제(第)4보(報) 제초제(除草劑) Alachlor, Pendimethalin, Diphenamid의 잔류성(殘留性) (Studies on Persistence of Pesticides in Soils and Crops under Polyethylene Film Mulching Culture;IV. Persistence of Herbicides Alachlor, Pendimethalin and Diphenamid)

  • 양환승;문영희;김낙응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4-20
    • /
    • 1988
  • 폴리에틸렌필름(P.E)멀칭이 제초제(除草劑) alachlor, pendimethalin, diphenamid의 토양(土壤) 및 수확물중(收穫物中)의 잔류성(殘留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대(對)하여 고추, 땅콩, 참깨포장(圃場)에서 로지조건(露地條件)을 대조(對照)로 하여 조사(調査)하였다. 토양중(土壤中)에 있어서 3종제초제(種除草劑)의 로지조건(露地條件)에서의 반감기(半減期)는 alachlor의 경우 땅콩과 참깨포장(圃場)에서 $3{\sim}4$ 일(日), pendimethalin은 고추포장(圃場)에서 30일(日), diphenamid는 고추, 땅콩, 참깨포장(圃場)에서 $24{\sim}46$ 일정도(日程度)였다. 분해(分解)가 빨랐던 alachlor의 반감기(半減期)는 로지조건(露地條件)과 P.E.피복조건(被覆條件)에서 거의 차(差)가 없었다. 분해(分解)가 느렸던 pendimethalin과 diphenamid는 로지조건(露地條件)에서보다 P.E.피복조건(被覆條件)에서 각각(各各) 30일(日)과 $20{\sim}90$ 일간(日間) 더 길었다. P.E.피복(被覆)의 유무(有無)에 관계(關係)없이 pendimethalin은 최종적(最終的)으로 수확(收穫)된 고추에서 검출(檢出)되지 않았으며 alachlor도 땅콩과 참깨에서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diphenamid의 땅콩중(中) 잔류량(殘留量)은 0.147ppm(투명(透明) P.E. 피복조건(被覆條件))${\sim}0.071ppm$(로지조건(露地條件))이었고, 참깨중(中) 잔류량(殘留量)은 0.022ppm(투명(透明) P.E. 피복조건(被覆條件))${\sim}0.129ppm$(로지조건(露地條件))이었는 바, 이는 양조건(兩條件)에서 잔류허용량(殘留許容量)(0.2ppm) 이하(以下)였다.

  • PDF

골프장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Generated on Golf Course)

  • 신민환;최재완;최용훈;박운지;원철희;신동석;임경재;최중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84-793
    • /
    • 2011
  • Activities on golf courses are believed to contribute to the degradation of water quality in receiving waters due to the excessive use of farm chemicals including fertilizers and pesticid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basic data that could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NPS) pollution discharged from a golf course. Twenty seven water quality monitoring was conducted at a golf course during the rainy season of 2008 and 2009.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anges of the Event Mean Concentration (EMC) at the golf course were $BOD_5$ 1.8~11.3 (ave. 5.6) mg/L, $COD_{Mn}$ 19.2~51.4 (ave. 39.6) mg/L, TOC 11.0~31.0 (ave. 16.8) mg/L, TN 1.545~16.098 (ave. 5.623) mg/L, TP 0.230~4.528 (ave. 1.525) mg/L, and SS 2.2~57.3 (ave. 10.1) mg/L. The unit loads of the golf course estimated were $BOD_5$ $3.35kg/km^2/day$, SS $6.43kg/km^2/day$, $COD_{Mn}$ $30.00kg/km^2/day$, TN $4.04kg/km^2/day$, TP $1.14kg/km^2/day$, and TOC $12.16kg/km^2/day$. Golf courses are currently classified as a grass field in which the unit loads are different from golf courses. Therefore, it was recommended that golf courses need to be separated from the grass field when the surveys and modelings for Total Maximum Daily Load (TMDL) development and the evaluation of TMDL implementation were performed.

과실 및 채소류에 대한 유기 인계 농약의 잔류소장 (Disappearance of Organic Phosphate Insecticides Residue on Vegetables and Fruit Crops)

  • 우기대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229-238
    • /
    • 1977
  • 유기인계(有機燐系) 농약(農藥)의 잔류소장(殘留消長)을 파악(把握)하여 작물(作物)에 대(對)한 농약(農藥)의 사용(使用)을 기(期)하고저 배추, 오이, 토마토, 포도, 복숭아에 대(對)해 Diazine에 EPN, Parathion, Malathion, Diazinon, Sumithion의 경전잔류(經前殘留)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1. 배추에 대(對)한 Diazinone의 잔류소장(殘留消長)은 약제살포(藥劑撒布) 21일후(日後)에 0.25~0.38p.p.m이 EPN은 1 회(回) 살포시(撒布時)는 7일후(日後)에 1.39~2.69p.p.m이 2살(撒) 포시(布時) 14 0.96~2.34p.p.m 검출(檢出)되었다. 2. 포되에 대(對)한 EPN의 잔류소장(殘留消長)은 약제살포(藥劑撒布) 7일후(日後) 1.09~1.80p.p.m이 Sumithion은 14일후(日後) 0.17~0.53p.p.m이 검출(檢出)되었다. 3. 복숭아에 대(對)한 Parathion의 잔류소장(殘留消長)은 약제살포(藥劑撒布) 14일후(日後)에 0.40~0.61p.p.m이 검출(檢出)되었다. 4. 토마토에 대(對)한 Dimethoate의 잔류소장(殘留消長)은 약제살포(藥劑撒布) 7일후(日後)에 0.141p.p.m이 검출(檢出)되었다. 5. 오이에 대(對)한 EPN의 잔류소장(殘留消長)은 약제살포(藥劑撒布) 3일후(日後)에 2.11~2.14p.p.m이 검출(檢出)되었고 Malathion은 약제살포당일(藥劑撒布當日)에 0.46p.p.m 3일후(日後)에 0.062~0.025p.p.m이 검출(檢出)되었다. 6. 과실(果實)및 채소류(菜蔬類)에 대(對)한 약제간(藥劑間) 경시분해도(經時分解度)가 반감기간(半減期間)에는 역(逆)의 관계(關係)가 성립(成立)되었다. 7. 배추 포도 오이에 대(對)한 EPN의 수확전(收穫前) 사용금지기간(使用禁止期間)은 배추는 1회(回) 살포기(撒布期) 7일간(日間), 2회살포기(回撒布期) 14일간(日間), 오이는 3일간(日間), 포도는 7일간(日間)이고 8. 복숭아에 대(對)한 Parathion의 수확전(收穫前) 사용금지기간(使用禁止期間)은 14일간(日間) 9. 토마토에 대(對)한 Dimethoate의 수확전(收穫前) 사용금지기간(使用禁止期間)은 7일간(日間) 10. 오이에 대(對)한 Malathion의 수확전(收穫前) 사용금지(使用禁止) 기간(期間)은 0~3일간(日間) 11. 포도에 대(對)한 Sumithion의 수확전(收穫前) 사용금지(使用禁止) 기간(期間)은 21일간(日間) 12. 배추에 대(對)한 Diazinon의 수확전(收穫前) 사용금지(使用禁止) 기간(期間)은 21일간(日間)으로 정(定)하여 농약(農藥)을 사용(使用)함이 농산물(農産物)의 안전유통(安全流通)을 위(爲)해 좋은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